강도상해·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윤락행위등방지법위반방조·사기

사건번호:

2000도4398

선고일자:

200011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형사소송규칙 제15조 제2항 소정의 '피고인 수인간에 이해가 상반되지 아니할 때'의 의미 및 그 판단 기준 [2] 공소사실 자체로 공동피고인들간에 이해가 상반된다고 보아 동일한 국선변호인을 선정한 것은 형사소송규칙 제15조 제2항에 위배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공범관계에 있지 않은 공동피고인들 사이에서도 공소사실의 기재 자체로 보아 어느 피고인에 대한 유리한 변론이 다른 피고인에 대하여는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사건에 있어서는 공동피고인들 사이에 이해가 상반된다고 할 것이어서, 그 공동피고인들에 대하여 선정된 동일한 국선변호인이 공동피고인들을 함께 변론한 경우에는 형사소송규칙 제15조 제2항에 위반된다고 할 것이며, 그러한 공동피고인들 사이의 이해상반 여부의 판단은 모든 사정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공동피고인들에 대하여 형을 정함에 있어 영향을 미친다고 보이는 구체적 사정을 종합하여 실질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2] 피고인에 대한 공소사실 범행의 피해자가 공동피고인이고 범행동기도 공동피고인에 대한 공소사실 범행에 있어 피고인에 대한 유리한 변론은 공동피고인의 정상에 대하여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므로 공소사실들 자체로 피고인과 공동피고인은 이해가 상반되는 관계에 있다고 보아 동일한 국선변호인을 선정한 것은 형사소송규칙 제15조 제2항에 위배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282조 , 제283조 , 형사소송규칙 제15조 제2항 / [2] 형사소송법 제282조 , 제283조 , 형사소송규칙 제15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변호인】 변호사 박수춘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0. 9. 22. 선고 2000노 1625 판결 【주문】 원심판결 중 피고인에 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1. 공범관계에 있지 않은 공동피고인들 사이에서도 공소사실의 기재 자체로 보아 어느 피고인에 대한 유리한 변론이 다른 피고인에 대하여는 불리한 결과를 초래하는 사건에 있어서는 공동피고인들 사이에 이해가 상반된다고 할 것이어서, 그 공동피고인들에 대하여 선정된 동일한 국선변호인이 공동피고인들을 함께 변론한 경우에는 형사소송규칙 제15조 제2항에 위반된다고 할 것이며, 그러한 공동피고인들 사이의 이해상반 여부의 판단은 모든 사정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공동피고인들에 대하여 형을 정함에 있어 영향을 미친다고 보이는 구체적 사정을 종합하여 실질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그런데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원심 공동피고인(이하 '공동피고인'이라고 한다)에 대한 공소사실의 요지는 '공동피고인이 2000. 3. 18. 05:30경 공소외 1을 등산용 칼로 위협하고 폭행을 하였다'는 것이고, 피고인 1에 대한 공소사실의 요지는 '피고인 1이 위 공소외 1로부터 위와 같이 공동피고인에게 폭행을 당하였다는 말을 듣고, 공소외 2와 공동피고인을 납치하여 돈을 빼앗기로 공모하여, 같은 달 19일 14:00경부터 같은 날 18:00경까지 사이에 피해자인 공동피고인을 승용차에 강제로 태우고 다니면서 야구방망이 등으로 여러 번 폭행하여 공동피고인으로부터 자기앞수표 등을 강취하고, 이로 인하여 공동피고인에게 상해를 가하였다'는 것이며, 원심은 피고인 1 및 공동피고인에 대하여 동일한 국선변호인을 선정하여 그 국선변호인의 변론을 거친 다음 판결을 선고하였음을 알 수 있는바, 피고인 1에 대한 위 공소사실 범행의 피해자가 공동피고인인데다가 그 범행의 동기 또한 공동피고인에 대한 위 공소사실 범행에 있다 할 것이어서 피고인 1에 대한 유리한 변론은 공동피고인의 범죄성, 범행의 죄질 등 정상에 대하여는 당연히 불리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므로, 위 공소사실들 자체로서 피고인 1과 공동피고인은 이해가 상반되는 관계에 있음이 명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피고인 1과 공동피고인에 대하여 동일한 국선변호인을 선정한 다음 그 국선변호인의 변론을 거쳐 심리를 마친 과정에는 소송절차에 관한 형사소송규칙 제15조 제2항을 위반한 위법이 있고, 이러한 위법은 피고인 1로 하여금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아 효과적인 방어권을 행사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2. 그러므로 다른 상고이유의 주장에 관하여 나아가 살필 것도 없이 원심판결 중 피고인 1에 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손지열(재판장) 송진훈 윤재식(주심) 이규홍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한 명의 국선변호인이 서로 다르게 주장하는 두 피고인을 변호할 수 있을까?

서로 싸운 두 사람이 피고인인데, 한 사람에게 유리한 주장이 다른 사람에게는 불리한 상황이라면 같은 변호사를 붙여주면 안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두 사람의 이해관계가 충돌하기 때문입니다.

#이해충돌#공동피고인#변호인#방어권

형사판례

변호사 한 명이 서로 싸운 두 사람을 동시에 변호할 수 있을까? - 이해충돌 국선변호인 선정에 관한 대법원 판결 이야기

서로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공동피고인의 경우, 한 피고인의 사선 변호인을 다른 피고인의 국선변호인으로 선임하는 것은 위법하다. 피고인은 누구나 변호인의 충분한 조력을 받을 권리가 있으며, 국가는 이를 보장해야 할 의무가 있다.

#공동피고인#이해상반#국선변호인#선임

상담사례

같은 변호사가 원고랑 피고 양쪽 다 대리한다고?! 괜찮을까?

같은 사건에서 변호사가 원고 대리 후 피고 대리로 바뀌더라도, 원고가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변호사의 소송 행위는 유효하다.

#변호사#원고#피고#양쪽 대리

민사판례

여러 사람이 함께 잘못했을 때, 소송 비용은 어떻게 나눠야 할까? (공동불법행위와 구상권)

여러 사람이 함께 불법행위를 저질러 손해배상 책임을 지게 된 경우, 한 사람이 혼자 소송을 당해서 배상하고 다른 사람들은 면책되었다면, 소송을 당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이 부담한 몫만큼 돌려받을 수 있다. 이때 소송 과정에서 발생한 변호사 비용 등도 구상 범위에 포함될 수 있지만, 다른 공동불법행위자가 소송에 보조참가한 경우에는 소송 비용을 구상할 수 없다.

#공동불법행위#소송비용#구상권#보조참가

형사판례

변호사 선임 후 사건 병합 시, 꼭 알아야 할 피고인의 권리

항소심에서 이미 변호인이 선임된 사건에 다른 사건이 병합될 경우, 법원은 변호인에게 병합된 사건에 대한 소송기록 접수통지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변호인에게 항소이유서 제출 기회를 주지 않은 채 판결을 내리는 것은 위법입니다.

#항소심#사건병합#변호인#소송기록 접수통지

민사판례

변호사가 같은 사건을 상대방으로부터 수임할 수 있을까? - '사건의 동일성'에 대한 판단

변호사는 이전에 한쪽 당사자로부터 상담을 받았더라도, 그 사건과 "동일하지 않은" 다른 사건에서는 상대방을 대리할 수 있다. "사건의 동일성"은 단순히 소송 종류나 소송물이 같은지가 아니라, 분쟁의 실질적인 내용이 같은지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변호사#상담#상대방 대리#사건 동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