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점용료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00두390

선고일자:

2001090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도로법상 도로관리청이 점용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도시계획법에 의한 도시계획사업으로 설치된 도로를 점용한 자에 대하여 그 점용기간에 대한 점용료 상당액을 부당이득금으로 징수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와 도시계획사업으로 설치된 도로가 구 도로법 규정을 준용할 수 있는 도로가 되기 위하여는 노선인정공고나 준용도로공고 등의 절차가 필요한지 여부(소극) 및 도로관리청이 도시계획사업으로 설치된 도로를 관리함에 있어서 도로대장의 작성·보관이 필요한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구 도로법(1999. 2. 8. 법률 제589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0조, 제80조의2, 같은법시행령(1999. 8. 6. 대통령령 제165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0조, 제10조의2의 각 규정을 종합하면, 도로의 관리청은 점용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같은법시행령 제10조의2 소정의 '도시계획법에 의한 도시계획사업으로 설치된 도로'를 점용한 자에 대하여 그 점용기간에 대한 점용료 상당액을 부당이득금으로 징수할 수 있고, 한편 도시계획사업으로 설치된 도로가 같은 법의 규정을 준용할 수 있는 도로가 되기 위하여 같은 법 제19조 소정의 노선인정공고나 같은법시행령 제10조 제1항 소정의 준용도로공고 등의 절차를 밟을 것을 요하는 것도 아니며, 도로의 관리청이 도시계획사업으로 설치된 도로를 관리함에 있어서 같은 법 제38조 소정의 도로대장을 작성하여 보관할 것을 요하는 것도 아니다.

참조조문

구 도로법(1999. 2. 8. 법률 제589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 제10조 , 제11조 , 제19조 , 제38조 , 제40조 , 제80조의2 , 구 도로법시행령(1999. 8. 6. 대통령령 제165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0조 , 제10조의2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성동구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9. 12. 10. 선고 99누165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구 도로법(1999. 2. 8. 법률 제589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법'이라고 한다) 제10조, 제80조의2, 같은법시행령(1999. 8. 6. 대통령령 제165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시행령'이라고 한다) 제10조, 제10조의2의 각 규정을 종합하면, 도로의 관리청은 점용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시행령 제10조의2 소정의 '도시계획법에 의한 도시계획사업으로 설치된 도로'를 점용한 자에 대하여 그 점용기간에 대한 점용료 상당액을 부당이득금으로 징수할 수 있고, 한편 도시계획사업으로 설치된 도로가 법의 규정을 준용할 수 있는 도로가 되기 위하여 법 제19조 소정의 노선인정공고나 시행령 제10조 제1항 소정의 준용도로공고 등의 절차를 밟을 것을 요하는 것도 아니며, 도로의 관리청이 도시계획사업으로 설치된 도로를 관리함에 있어서 법 제38조 소정의 도로대장을 작성하여 보관할 것을 요하는 것도 아니다. 관련 법령 규정의 취지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이 사건 도로는 시행령 제10조의2 소정의 '도시계획법에 의한 도시계획사업으로 설치된 도로'에 해당하고, 원고가 판시 기간 동안 이 사건 도로 부분을 원고 소유의 건물의 마당 및 주차장 등으로 사용함으로써 이를 점용하여 온 사실을 인정하고, 위 인정 사실에 터잡아 피고가 원고에 대하여 법 제80조의2 소정 부당이득금을 부과한 이 사건 처분은 적법하다고 판단한 조치는 정당하다고 보여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은 사실을 오인하여 판결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거나 '도시계획법에 의한 도시계획사업으로 설치된 도로' 등에 대한 법리를 오해한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재식(재판장) 송진훈 이규홍 손지열(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도로점용허가 받았지만 실제 사용 안 했다면? 점용료 내야 할까?

도로점용허가를 받았다면 실제 도로를 점용하지 않았더라도 점용료를 내야 한다.

#도로점용허가#점용료 납부 의무#실제 점용 여부 무관#도로법

일반행정판례

도로 무단점용, 점용료 내야 할까? 돈 안 벌었으면 안 내도 될까?

허가 없이 도로를 점용하여 이득을 얻었다면, 실제 얻은 이득이 적거나 손해와의 인과관계가 부족하다는 주장으로 점용료 납부를 거부할 수 없다. 법에서 정한 점용료를 내야 한다.

#도로 무단 점용#점용료 부과#정당#이득

일반행정판례

아파트 건설과 도로 점용료, 제대로 알고 내야죠!

아파트 건설 사업계획 승인 시 도로점용허가를 받은 것으로 간주되더라도, 지자체는 도로점용료 부과 시 정확한 위치와 산출근거를 명시해야 합니다.

#도로점용료#아파트 건설#산출근거#부과대상

민사판례

아파트 건설과 도로 점용, 점용료와 대부료는 누가 내야 할까?

주택건설사업 승인 시 도로점용허가가 의제되더라도, 관리청이 별도로 점용료를 부과하지 않았다면 사업시행자가 점용료 상당액을 부당이득한 것은 아니다. 또한, 도로 용도의 공유재산 대부료는 점유자가 토지의 현황을 변경시켰더라도 점유 개시 당시의 상태를 기준으로 산정해야 한다.

#도로점용#점용료#부당이득#공유재산

일반행정판례

도로 점용료, 제대로 계산됐을까? - 서울시 구로구 도로 점용료 분쟁 사례

도로로 지정되지 않은 땅을 점유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료는 도로법이 아닌 지방재정법과 관련 조례에 따라 계산해야 하며, 사용료 감액 규정의 적용 시점을 잘못 판단한 원심 판결을 파기함.

#미지정도로#사용료#지방재정법#조례

일반행정판례

도로 무단점용, 소유권 없어도 변상금 부과 가능!

도로 관리청은 도로 부지의 소유권이 없더라도 무단점용자에게 변상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도로 무단점용#변상금#도로 관리청#소유권 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