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이사및임시공동대표이사선임

사건번호:

2001그113

선고일자:

20011206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1] 상법 제386조 소정의 '임시이사선임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의 의미 및 그 판단 기준 [2] 비송사건절차법 제84조 제1항의 '직무대행자의 선임에 관한 재판을 하는 경우 이사와 감사의 진술을 들어야 한다.'는 규정의 의미

판결요지

[1] 상법 제386조가 규정한 '임시이사선임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라 함은 이사가 사임하거나 장기간 부재중인 경우와 같이 퇴임이사로 하여금 이사로서의 권리의무를 가지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부적당한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의 필요성은 임시이사 제도의 취지와 관련하여 사안에 따라 개별적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2] 비송사건절차법 제84조에 의하여 이사와 감사의 진술을 할 기회를 부여한 이상 법원은 그 진술 중의 의견에 기속됨이 없이, 그 의견과 다른 인선을 결정할 수도 있는 터이어서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이사나 감사가 있는 경우 각 이해관계별로 빠짐없이 진술의 기회를 주지 않았다고 하여 그 사정이 재판의 결과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1] 상법 제386조 , 제389조 / [2] 상법 제386조 , 제389조 , 비송사건절차법 제84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0. 11. 17.자 2000마5632 결정(공2001상, 111) /[2] 대법원 1985. 5. 28.자 85그50 결정(공1985, 1297)

판례내용

【특별항고인】 펩시코 푸드 인터내셔널 홀딩스 인크 외 1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임수 외 4인) 【상대방】 동양제과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김 신 앤드 유 담당변호사 정경식 외 5인) 【사건본인】 오리온프리토레이 주식회사 【원심결정】 서울지법 200 1. 9. 14.자 2001파37 결정 【주문】 특별항고를 기각한다. 【이유】원심이 사건본인 법인의 임시이사 및 임시공동대표이사로 특별항고외인을 선임하는 결정을 한 데 대하여 특별항고인은 임시이사 선임의 요건에 해당하지 아니함에도 상대방이 법원에 허위의 진술을 하고 또한 합작투자회사인 신청인 회사측 이사에게 진술기회를 알려주지 않는 등 비송사건절차법 규정을 위반, 남용하여 법원의 그 결정을 받았으므로 그 결정에는 비송사건절차법 제84조, 상법 제386조, 제389조를 위반한 사유가 있다는 요지로 주장한다. 상법 제386조가 규정한 '임시이사선임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라 함은 이사가 사임하거나 장기간 부재중인 경우와 같이 퇴임이사로 하여금 이사로서의 권리의무를 가지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부적당한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의 필요성은 임시이사 제도의 취지와 관련하여 사안에 따라 개별적으로 판단되어야 하는 것이며, 한편, 비송사건절차법 제84조에 의하여 이사와 감사의 진술을 할 기회를 부여한 이상 법원은 그 진술 중의 의견에 기속됨이 없이, 그 의견과 다른 인선을 결정할 수도 있는 터이어서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이사나 감사가 있는 경우 각 이해관계별로 빠짐없이 진술의 기회를 주지 않았다고 하여 그 사정이 재판의 결과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은 아니다(대법원 1985. 5. 28.자 85그50 결정, 2000. 11. 17.자 2000마5632 결정 등 참조). 기록 중의 자료들과 대조하면서 위의 법리에 비추어 보니, 이 사건에서 원심이 임시이사 선임의 요건이 갖추어졌다고 보고 그 절차에 따라서 한 그 결정은 정당하고 그 결정에 상법 제386조, 제389조 비송사건절차법 제84조를 위반하여 재판에 영향을 끼친 사유는 없다. 그러므로 특별항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대법관들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에 쓴 바와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강신욱 조무제(주심) 유지담 손지열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사회복지법인 임시이사 해임: 언제, 어떻게?

사회복지법인의 임시이사는 정식이사 선임 보고가 수리되면 자동으로 해임되는 것이 아니라, 관할 행정청의 해임처분이 있어야 해임된다. 정식이사 선임 보고 수리 처분에는 임시이사 해임 의사가 묵시적으로 포함된 것으로 본다.

#사회복지법인#임시이사#해임#정식이사

민사판례

재단법인 임시이사회와 임시이사 선임에 관한 이야기

국내 유일 정식이사가 소집한 임시이사회에 임시이사 전원이 참석하여 소집절차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경우, 그 이사회 결의는 유효하며, 법원은 사정 변경 시 임시이사를 해임하고 새로운 임시이사를 선임할 수 있다.

#임시이사회#소집#적법성#임시이사

민사판례

임시이사 교체, 법원 마음대로?

법원이 선임한 임시이사를 바꿔달라는 요청은 법원이 알아서 판단할 사항이기 때문에, 이를 거부한 결정에 대해 항고할 수 없다.

#임시이사#교체#법원 직권#항고 불가

민사판례

법인 대표 부재 시 법원의 임시 대표 선임 가능성

법인의 이사장 등 대표자가 없거나, 있어도 제대로 역할을 못해서 법인에 손해가 생길 우려가 있을 경우, 법원이 임시로 대표자를 선임할 수 있다.

#법인#임시대표자#법원선임#대표자부재

일반행정판례

학교법인 임시이사 선임, 퇴임 이사의 긴급처리권이 있다면?

학교법인 이사 임기가 만료되었을 때, 후임 이사 선임 전까지 퇴임 이사가 긴급하게 학교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권한(긴급처리권)이 인정되지만, 긴급처리권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임시이사를 선임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학교 운영이 정말 어려운지, 긴급처리권이 제대로 기능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학교법인#임시이사#퇴임이사#긴급처리권

민사판례

임기 끝난 이사, 회사 일 계속 할 수 있을까?

임기가 끝난 이사는 원칙적으로 이사의 권한이 없지만, 후임 이사가 선임될 때까지 회사 운영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한해 제한적으로 업무를 볼 수 있다. 이미 해임되거나 사임한 이사의 선임 무효 소송은 소의 이익이 없다.

#이사 임기 만료#권한#소의 이익#업무수행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