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증권변조·변조유가증권행사

사건번호:

2001도6553

선고일자:

200301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어음의 발행인이 약속어음을 회수한 후 지급일자를 임의로 변경한 행위가 형법 제214조 제2항 소정의 유가증권 변조에 해당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214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지법 2001. 11. 21. 선고 2001노7642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형법 제214조 제2항에 규정된 '유가증권의 권리의무에 관한 기재를 변조한다'는 것은 진정하게 성립된 타인 명의의 부수적 증권행위에 관한 유가증권의 기재내용에 작성권한이 없는 자가 변경을 가하는 것을 말하고( 대법원 1989. 12. 8. 선고 88도753 판결 참조), 어음발행인이라 하더라도 어음상에 권리의무를 가진 자가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자의 동의를 받지 아니하고 어음의 기재 내용에 변경을 가하였다면 이는 유가증권의 권리의무에 관한 기재를 변조한 것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공소외 주식회사 미륭상사에게 물품대금의 지급담보조로 자신이 발행한 약속어음 8매를 교부하였다가 그 대금을 지급하거나 새로운 어음으로 교체하는 방법으로 위 어음들을 회수한 후 어음에 남아있는 미륭상사 명의 배서의 담보적 효력을 이용하기 위하여 이미 경과된 지급기일을 임의로 그 후의 날짜로 변경한 후 공소외 이복환에게 이를 교부하였다는 것이므로 원심이 이러한 피고인의 행위가 형법 제214조 제2항 소정의 유가증권변조죄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은 위 법리에 따른 것으로 정당하고, 거기에 유가증권변조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상고인이 들고 있는 대법원 1980. 4. 22. 선고 79도3034 판결은 사안을 달리하므로 이 사건에서 원용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손지열(재판장) 조무제 유지담(주심) 강신욱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이미 변조된 어음, 또 변조하면 유죄일까?

이미 위조된 유가증권을 다시 위조하더라도 유가증권변조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유가증권변조죄#위조#성립요건#이미 위조된 유가증권

형사판례

이미 위조된 어음의 금액 변경, 위조죄일까?

이미 위조된 어음의 금액을 다시 바꾸는 행위는 어음 위조 또는 변조죄로 처벌할 수 없다.

#위조어음#금액변경#위조변조죄#무죄

민사판례

약속어음 변조와 배서인의 책임

약속어음이 변조된 경우, 변조 전에 배서한 사람은 변조된 내용에는 책임이 없지만 원래 내용대로라면 책임이 있습니다. 하지만, 어음을 소지한 사람이 변조 전 원래 지급기일에 제시하지 않으면 배서인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습니다.

#약속어음#변조#배서인#책임

상담사례

약속어음 지급기일 변조?! 당황하지 마세요! 🧐

약속어음 지급기일이 변조되었더라도 본인이 변조에 관여하지 않았다면 원래 약속된 지급기일에 따라 돈을 갚으면 되며, 변조된 내용대로 갚을 의무는 없다.

#약속어음#지급기일#변조#원래 약속

형사판례

가짜 어음, 금액 바꾸면 또 다른 위조일까? (유가증권변조죄)

이미 위조된 어음의 금액을 다시 변경하는 행위는 유가증권변조죄가 아닙니다. 변조죄는 진짜 어음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성립하기 때문입니다.

#유가증권변조죄#위조어음#금액변경#불성립

민사판례

약속어음에 발행일이 없으면 어떻게 될까요?

약속어음에 발행일이 기재되어 있지 않으면, 나중에 발행일을 보충하더라도 그 전에 지급제시가 이루어졌다면 소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약속어음#발행일미기재#지급제시#소구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