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명령등취소

사건번호:

2001두1239

선고일자:

200302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구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 제19조 제5항에 의한 추정과 그 복멸 [2] 맥주 3사의 동일한 가격인상률에 의한 맥주가격인상이 맥주 3사 간의 의사 연락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부당한 공동행위의 합의가 있었다는 추정이 복멸되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구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1999. 2. 5. 법률 제581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9조 제5항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가 '2 이상의 사업자가 법 제19조 제1항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고 있다.'는 사실과 그것이 '일정한 거래분야에서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행위'라는 사실을 입증하면, 이에 추가하여 사업자들의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합의 또는 양해를 추정하게 할 정황사실을 입증할 필요 없이, 그 사업자들이 그러한 공동행위를 할 것을 합의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러한 추정을 받는 사업자들로서는 공동행위의 합의가 없었다는 사실을 입증하거나 위 일치된 행위가 합의에 따른 공동행위가 아니라는 점을 수긍할 수 있는 정황을 입증하여 그 추정을 복멸시킬 수 있다. [2] 맥주 3사의 동일한 가격인상률에 의한 맥주가격인상이 맥주 3사 간의 의사 연락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부당한 공동행위의 합의가 있었다는 추정이 복멸되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구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1999. 2. 5. 법률 제581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9조 제1항, 제5항/ [2] 구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1999. 2. 5. 법률 제581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9조 제1항, 제5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2. 3. 15. 선고 99두6514, 6521 판결(공2002상, 903), 대법원 2002. 5. 28. 선고 2000두1386 판결(공2002하, 1548), 대법원 2002. 5. 28. 선고 2000두6107 판결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정리회사 진로쿠어스맥주 주식회사의 관리인 【피고,상고인】 공정거래위원회 (소송대리인 변호사 최경준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1. 1. 9. 선고 99누7311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구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1999. 2. 5. 법률 제581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법'이라 한다) 제19조 제5항에 따라, 공정거래위원회가 '2 이상의 사업자가 법 제19조 제1항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고 있다.'는 사실과 그것이 '일정한 거래분야에서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행위'라는 사실을 입증하면, 이에 추가하여 사업자들의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합의 또는 양해를 추정하게 할 정황사실을 입증할 필요 없이, 그 사업자들이 그러한 공동행위를 할 것을 합의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 대법원 2002. 3. 15. 선고 99두6514, 6521(병합) 판결, 2002. 5. 28. 선고 2000두1386 판결, 2002. 5. 28. 선고 2000두6107 판결 등 참조}, 그러한 추정을 받는 사업자들로서는 공동행위의 합의가 없었다는 사실을 입증하거나 위 일치된 행위가 합의에 따른 공동행위가 아니라는 점을 수긍할 수 있는 정황을 입증하여 그 추정을 복멸시킬 수 있다 할 것이다. 원심은, 그 채택한 증거에 의하여 그 판시 사실을 인정한 다음, 1997.말 국내 맥주 공급시장의 99.9%를 점유하고 있는 하이트맥주 주식회사, 오비맥주 주식회사, 진로쿠어스맥주 주식회사(이하 이들을 '하이트맥주', '오비맥주', '진로쿠어스'라고 하고, 이들 3개 회사를 모두 가리켜 '맥주 3사'라고 한다.)가 1998. 2. 21.과 같은 달 23. 및 같은 달 24. 맥주의 종류별, 규격별 가격을 동일한 비율로 순차 인상하여 유지한 것은 법 제19조 제1항 제1호의 '가격을 결정ㆍ유지 또는 변경하는 행위'에 해당할 뿐만 아니라, 국내 맥주 공급시장에서 경쟁을 실질적으로 제한하는 행위에 해당하므로, 법 제19조 제5항에 따라 부당한 공동행위를 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① 맥주회사가 맥주가격을 인상하는 경우 재정경제원이나 국세청과 사전협의를 하거나 사전승인을 받도록 하는 법령상의 명문의 규정은 없으나, 재정경제원은 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이유로, 국세청은 주세법 제38조, 주세사무처리규정 제70조 등에 따른 국세청장의 가격에 관한 명령권 등에 의하여 각 행정지도를 함으로써 사실상 맥주가격의 인상에 관여하여 왔는데, 재정경제원과 국세청은 맥주 3사의 가격인상 요구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인상률만을 허용함으로써 맥주 3사는 허용된 인상률 전부를 가격인상에 반영할 수밖에 없게 되어 맥주 3사의 맥주가격인상률이 동일해질 수밖에 없는 점, ② 국세청은 가격 선도업체와 협의된 종류별, 용량별 구체적인 가격인상 내역을 다른 맥주 제조업체에게 제공하고, 다른 업체가 이를 모방한 인상안을 제시하면 그대로 승인하여 왔고, 그 인상시점 또한 국세청의 지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사건 가격인상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 점, ③ 이 사건 가격인상과 관련하여 국세청과 협의를 앞두고, 맥주 3사 간에 인상률에 대한 별도의 합의를 한 후 국세청과 협의에 임하였다거나, 또는 국세청과의 인상률에 대한 협의를 기화로 그 행정지도에 따른 인상률을 동일하게 유지하기로 하는 별도의 합의를 한 것으로는 인정되지 않는 점 등을 종합하여 볼 때, 맥주 3사의 이 사건 가격인상은 결과적으로 맥주 3사의 가격인상률이 동일하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맥주 3사 간의 의사의 연락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맥주 3사 사이에 부당한 공동행위의 합의가 있었다는 추정은 복멸된다고 판단하였다. 기록과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법 제19조 제5항에 의한 추정의 성격과 그 추정의 복멸에 관한 법리오해나 채증법칙 위배, 심리미진, 이유불비, 이유모순 등으로 결론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유지담(재판장) 조무제 강신욱 손지열(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소주 가격 담합? 증거 부족으로 다시 재판!

여러 소주 회사들이 가격 인상을 담합했다는 공정거래위원회의 판단에 대해, 대법원은 증거가 부족하다며 일부 파기 환송했습니다. 특히 국세청의 가격 통제라는 특수한 시장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다만, 페트병 소주 경품 제공 제한 합의는 경쟁 제한 행위로 인정되었습니다.

#소주#가격인상#담합#공정거래위원회

일반행정판례

가격 담합? 억울해요! - 합의 추정에 대한 반박

여러 사업자가 비슷하게 가격을 올렸다면, 담합했다고 추정하는 공정거래법 조항이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판결입니다. 사업자는 담합하지 않았다는 걸 스스로 증명해야 하지만, 이것이 과도한 부담은 아니라고 법원이 판단했습니다.

#가격 담합#합의 추정#공정거래법#헌법

일반행정판례

음료수 회사들의 가격 담합, 시장 획정이 중요한 이유!

여러 음료 회사들이 함께 음료 가격을 올리기로 합의한 사건에서, 법원은 공정거래위원회가 너무 넓은 범위의 상품 시장을 기준으로 삼아 가격 담합을 판단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전체 음료 시장"이라는 범위는 너무 넓어서, 서로 경쟁 관계에 있지 않은 상품들까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부당한 공동행위 여부를 판단하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음료#가격 담합#관련 상품 시장#시장 획정

일반행정판례

주유소 휘발유 가격, 담합일까? 우연의 일치일까? - 공동행위 합의 추정에 대한 이야기

제주도에서 주유소에 휘발유를 공급하는 정유회사들이 서로 짜고 가격을 비슷하게 맞춰 판매한 행위가 공정거래법 위반(부당한 공동행위)으로 인정된 사건입니다. 법원은 정유회사들이 담합하지 않았다는 반대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으므로, 담합을 했다고 추정했습니다.

#휘발유#가격 담합#제주도#정유회사

일반행정판례

음료수 회사들의 가격 담합, 시장 획정이 중요한 이유!

여러 음료 회사들이 음료 가격을 함께 올리기로 합의한 사건에서, 법원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련상품시장'을 너무 넓게 설정했다고 판단하여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돌려보냈습니다. '관련상품시장'이란 서로 경쟁 관계에 있는 상품들의 범위를 말하는데, 이를 제대로 정해야 가격 담합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음료#가격 담합#관련상품시장#대법원

일반행정판례

커피값 담합? 아니라고요! - 경쟁제한성에 대한 오해 풀기

동서식품과 네슬레가 커피 가격을 비슷하게 올린 행위에 대해, 대법원은 담합(부당 공동행위)이 아닌 경쟁의 결과라고 판단했습니다. 당시 커피 시장의 특수한 상황과 소비자들의 인식을 고려했을 때, 가격 인상이 경쟁 제한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습니다.

#커피 가격 인상#담합#경쟁#대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