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복구이행처분취소

사건번호:

2001두7985

선고일자:

200207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산림법에 의한 허가나 신고 없이 개간된 산림이 개간 후 농지로 이용되고 있는 경우, 구 산림법 제90조 제5항 소정의 원상회복에 필요한 조치의 대상이 되는 '산림'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구 농지법(2002. 1. 14. 법률 제659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 제1항은 농지의 전용허가를 규정하면서 그 예외사유 중 하나로 제4호에서, 산림법에 의한 산림훼손의 허가를 받지 아니하거나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불법으로 개간된 농지를 산림으로 복구하는 경우를 들고 있는바, 이는 산림법에 의한 허가나 신고 없이 개간된 농지에 대하여는 산림법이 적용됨을 전제로 농지전용허가 대상에서 제외한 것이라 할 것이고, 따라서 산림법에 의한 허가나 신고 없이 개간된 산림은, 비록 그것이 개간 후 농지로 이용되고 있다 하더라도, 구 산림법(1999. 2. 5. 법률 제576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0조 제5항 소정의 원상회복에 필요한 조치의 대상이 되는 '산림'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구 농지법(2002. 1. 14. 법률 제659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 제1항 제4호 , 구 산림법(1999. 2. 5. 법률 제576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0조 제5항(현행 제90조 제11항 참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겸부대상고인】 신창선 (소송대리인 변호사 권태섭) 【피고,상고인겸부대피상고인】 삼척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 1. 8. 16. 선고 2000누9993 판결 【주문】 피고의 상고 및 원고의 부대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대상고비용은 원고의 각 부담으로 한다. 【이유】 1. 피고의 상고에 대하여 원심은, 원고가 보전임지인 이 사건 임야 중 그 판시의 7,900㎡를 허가 없이 형질변경하였음은 인정되나, 이를 초과하여 형질변경하였음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고 하여, 이 사건 처분 중 위 7,900㎡를 초과하여 산림복구를 명한 부분은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옳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등의 위법이 없다. 피고의 상고이유 주장은 이유 없다. 2. 원고의 부대상고에 대하여 가. 구 농지법(2002. 1. 14. 법률 제659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 제1항은 농지의 전용허가를 규정하면서 그 예외사유 중 하나로 제4호에서, 산림법에 의한 산림훼손의 허가를 받지 아니하거나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불법으로 개간된 농지를 산림으로 복구하는 경우를 들고 있는바, 이는 산림법에 의한 허가나 신고 없이 개간된 농지에 대하여는 산림법이 적용됨을 전제로 농지전용허가 대상에서 제외한 것이라 할 것이고, 따라서 산림법에 의한 허가나 신고 없이 개간된 산림은, 비록 그것이 개간 후 농지로 이용되고 있다 하더라도, 구 산림법(1999. 2. 5. 법률 제576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0조 제5항 소정의 원상회복에 필요한 조치의 대상이 되는 '산림'에 해당한다. 원심이 이 사건 처분의 법적 근거가 없다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부대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나.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피고의 이 사건 처분에 재량권 일탈·남용의 위법이 없다고 본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부대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이 점에 관한 부대상고이유의 주장 역시 이유 없다. 3. 그러므로 피고의 상고 및 원고의 부대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대상고비용은 원고의 각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송진훈(재판장) 윤재식 이규홍(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불법 개간된 산지는 농지일까요? 산지일까요?

허가 없이 산을 개간하여 농지로 사용하더라도, 산지관리법상 여전히 '산지'로 간주되어 복구 명령 대상이 된다. 농지로 인정받으려면 1961년 6월 27일 이전에 합법적으로 개간되었거나, 이후 허가를 받아 개간되었음을 입증해야 한다.

#불법 개간#산지#농지#산지관리법

일반행정판례

불법 전용된 산지, 여전히 산지일까? - 산지 복구 의무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허가 없이 불법으로 용도 변경된 산지는, 현재 나무가 없고 다른 용도로 쓰이고 있더라도 여전히 산지로 간주하여 산지 관련 규정을 적용한다.

#불법 산지전용#산지#대체산림자원조성비#산지관리법

일반행정판례

불법 개간된 산지는 농지일까요? 농지보전부담금 부과 논란!

산지전용허가 없이 불법으로 개간하여 농작물을 재배하는 땅은 농지보전부담금을 부과하는 농지가 아닙니다. 지목이 '임야'인 땅을 농지라고 주장하려면 행정청이 적법한 개간 절차를 거쳤다는 것을 입증해야 합니다.

#불법개간#농지보전부담금#농지#임야

일반행정판례

불법 전용된 땅, 농지일까? 아닐까? - 농지의 정의와 원상회복 의무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농지전용허가 없이 다른 용도로 사용 중인 땅이라도 과거 농지였다면 여전히 농지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 농지의 현실적인 이용 상태보다 농지 보전이라는 법의 취지가 더 중요함을 강조.

#농지#불법전용#농지취득자격증명#대법원

형사판례

일시적으로 용도 변경된 땅도 농지일까? 농지법 위반 판결 파헤치기!

농지에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일시사용허가를 받았더라도, 허가 기간이 끝나면 농지로 복구해야 하고 복구가 가능하다면 여전히 농지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농지#일시사용허가#원상복구#농지법

일반행정판례

불법 형질변경된 토지도 농지일까? 농지 판단 기준에 대해 알아보자

과거 논으로 사용되다가 불법으로 건물, 주차장, 잔디밭 등으로 바뀐 땅도 쉽게 원상복구가 가능하다면 여전히 농지로 봐야 하며, 따라서 농지조성비를 내야 한다.

#농지#불법형질변경#원상복구가능성#농지조성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