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명도

사건번호:

2002다41633

선고일자:

200209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주택임대차보호법에 따라 묵시적으로 갱신된 임대차계약의 존속기간

판결요지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 제1항에 따라 임대차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되면 그 임대차기간은 같은 법 제6조 제2항, 제4조 제1항에 따라 2년으로 된다.

참조조문

주택임대차보호법 제4조 제1항 , 제6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1. 17. 선고 91다25017 판결(공1992, 864)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편승훈 【피고,피상고인】 박화자 외 2인 (소송대리인 제일종합법무법인 담당변호사 김영호) 【원심판결】 수원지법 2002. 5. 3 1. 선고 2001나17647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 제1항에 따라 임대차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되면 그 임대차기간은 같은 법 제6조 제2항, 제4조 제1항에 따라 2년으로 된다 ( 대법원 1992. 1. 17. 선고 91다25017 판결 참조).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임대차는 묵시적으로 갱신된 뒤 2년의 임대차기간이 만료되지 아니하였고, 임대인인 원고가 위 임대차기간의 만료 이전에 이 사건 임대차계약의 해지통고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효력이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피고들에 대한 명도청구를 모두 배척한 것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없다. 따라서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소송비용의 부담을 정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서성(주심) 이용우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묵시적 갱신, 그 후 계약기간은 어떻게 될까요?

전월세 계약 묵시적 갱신 시, 계약 기간은 기존 계약 기간과 무관하게 2년이며, 집주인과 세입자 모두 특별한 사유 없이는 2년간 계약을 유지해야 한다.

#묵시적 갱신#계약기간 2년#주거 안정

상담사례

전/월세 계약 1년으로 했는데, 묵시적 갱신되면 기간은 2년! 🤔

전/월세 1년 계약 후 묵시적 갱신 시, 계약 기간은 3년이 아닌 2년으로 갱신된다.

#전세/월세#묵시적갱신#1년계약#2년

민사판례

전세 계약, 2년보다 짧게 했다면? 묵시적 갱신과 임대차 기간에 대한 이야기

전세나 월세 계약 기간을 2년보다 짧게 정했더라도, 계약 기간이 끝난 후 별다른 말 없이 계속 살면 2년 계약이 자동 연장된 것으로 본다는 판결입니다. 짧은 계약 기간을 주장하며 나가라고 할 수 없습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임대차기간#2년#묵시적갱신

민사판례

묵시적 갱신과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 임대차 기간은 어떻게 될까?

전세 계약 기간 만료일에 법이 바뀌었을 때, 묵시적으로 갱신된 계약에는 새 법이 적용되어 임대차 기간이 2년으로 된다는 판결입니다.

#묵시적 갱신#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임대차 기간 2년#법 개정 시점

상담사례

1989년 전세계약 갱신, 기간은 2년! (묵시적 갱신과 주택임대차보호법)

1989년 12월 30일에 묵시적 갱신된 전세 계약은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 적용으로 2년 계약으로 간주된다.

#전세#묵시적 갱신#1989년 12월 30일#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

상담사례

상가 임대차 계약, 묵시적 갱신되면 기간은 얼마나 될까요?

상가 임대차 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되면 계약 조건은 동일하지만, 기간은 2년이 아닌 1년으로 연장된다.

#상가 임대차#묵시적 갱신#기간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