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미수·변조외국통화취득·변조외국통화행사

사건번호:

2003도5640

선고일자:

200403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통화변조에 해당하기 위한 요건 [2] 진정한 통화인 미화 1달러 및 2달러 지폐의 발행연도, 발행번호, 미국 재무부를 상징하는 문양, 재무부장관의 사인, 일부 색상을 고친 것만으로는 통화가 변조되었다고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207조 / [2] 형법 제207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79. 8. 28. 선고 79도639 판결(공1979, 12202), 대법원 1985. 4. 23. 선고 85도570 판결(공1985, 819), 대법원 1986. 3. 25. 선고 86도255 판결(공1986, 740), 대법원 2002. 1. 11. 선고 2000도3950 판결(공2002상, 500)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변호인】 변호사 임연섭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3. 9. 8. 선고 2003노1350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1. 피고인 2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결과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의 채용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 2에 대한 이 사건 사기미수의 범죄사실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고,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하거나 사기죄의 범의 내지 실행의 착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피고인 3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결과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의 채용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 3에 대한 이 사건 사기미수의 각 범죄사실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고,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잘못 인정하거나 이유모순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검사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진정한 통화에 대한 가공행위로 인하여 기존 통화의 명목가치나 실질가치가 변경되었다거나 객관적으로 보아 일반인으로 하여금 기존 통화와 다른 진정한 화폐로 오신하게 할 정도의 새로운 물건을 만들어 낸 것으로 볼 수 없다면 통화가 변조되었다고 볼 수 없다( 대법원 2002. 1. 11. 선고 2000도3950 판결 등 참조). 원심이 확정한 사실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 2가 2002. 7. 중순경 취득한 미화 1달러권 지폐 500매와 미화 2달러권 지폐 400매, 그리고 위 화폐 중 피고인 1, 피고인 2가 공모하여 2002. 8. 27. 행사한 미화 1달러권 지폐 400매와 미화 2달러권 지폐 400매는 모두 1995.에 미국에서 진정하게 발행된 통화인데, 성명불상자가 이것을 화폐수집가들이 골드라고 부르며 수집하는 희귀화폐인 것처럼 만들기 위하여 발행연도 1995.을 1928.으로 빨간색으로 고치고, 발행번호와 미국 재무부를 상징하는 문양 및 재무부장관의 사인 부분을 지운 후 빨간색으로 다시 가공한 사실을 알 수 있는바, 위와 같은 정도의 가공행위만으로는 기존 통화의 명목가치나 실질가치가 변경되었다거나 객관적으로 보아 일반인으로 하여금 기존 통화와 다른 진정한 화폐로 오신하게 할 정도의 새로운 물건을 만들어 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이 사건 공소사실 중 피고인 2에 대한 변조외국통화취득의 점과 피고인 1, 피고인 2에 대한 변조외국통화행사의 점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것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외국통화변조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4.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현철(재판장) 변재승 윤재식(주심) 강신욱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100만 달러짜리 위조지폐?! 그런 게 있어요? (형법 제207조 위조지폐죄)

미국에서 발행되지 않은 100만 달러짜리 가짜 지폐와 현재 통용되지 않는 10만 달러짜리 가짜 지폐를 소지한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한 사례. 법에 명시된 '외국에서 통용하는 지폐'는 실제로 그 나라에서 법적으로 사용 가능한 돈을 의미하며, 단순히 진짜처럼 보이는 가짜 돈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판결.

#가짜 외국 돈#위조지폐#무죄#통용성

형사판례

돈 자랑하려고 위조지폐 만들었는데… 이게 죄가 될까요? (통화위조죄)

단순히 자랑하려고 위조지폐를 만들었다면 위조지폐죄로 처벌할 수 없다. 위조지폐죄가 성립하려면 실제 돈처럼 사용하려는 목적이 있어야 하고, 일반 사람들이 진짜 돈으로 착각할 정도의 품질이어야 한다.

#위조지폐#자랑#사용목적#유통목적

형사판례

가짜 돈, 위조지폐죄? 위조문서죄? 헷갈리는 처벌 기준!

국내에서 유통되지 않고, 외국에서도 강제통용력이 없는 위조 외국 화폐를 사용한 경우, 위조통화행사죄가 아니라 위조사문서행사죄나 위조사도화행사죄로 처벌될 수 있다.

#위조외국화폐#위조통화행사죄#위조사문서행사죄#위조사도화행사죄

형사판례

이미 변조된 어음, 또 변조하면 유죄일까?

이미 위조된 유가증권을 다시 위조하더라도 유가증권변조죄는 성립하지 않는다.

#유가증권변조죄#위조#성립요건#이미 위조된 유가증권

형사판례

500원 동전 깎아서 일본 자판기에 쓴다고 위조지폐? 아니라고요!

한국 500원 동전을 깎아 일본 500엔 동전처럼 사용했더라도, 동전의 본질적인 가치가 바뀐 것이 아니므로 통화변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500원 동전#깎아 사용#일본 자판기#통화변조죄

형사판례

가짜 어음, 금액 바꾸면 또 다른 위조일까? (유가증권변조죄)

이미 위조된 어음의 금액을 다시 변경하는 행위는 유가증권변조죄가 아닙니다. 변조죄는 진짜 어음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성립하기 때문입니다.

#유가증권변조죄#위조어음#금액변경#불성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