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무부존재확인

사건번호:

2003두7019

선고일자:

2004041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결손처분취소처분에 중대하고도 명백한 하자가 있는 경우 당연무효인지 여부(적극) 및 그 하자가 명백하다고 하기 위한 판단 기준 [2] 체납처분에 의한 채권압류의 효력이 적어도 채권압류에 기한 배당절차가 종료될 때까지 존속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1996. 12. 30. 법률 제5189호로 국세기본법이 개정되기 이전에 이루어진 결손처분을 취소하는 처분은, 결손처분에 의하여 일단 소멸된 납세의무를 부활시켜 다시 체납처분을 가능하게 하는 행정처분으로서 그 처분에 중대하고도 명백한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처분은 당연무효가 된다고 할 것이고, 하자가 명백하다고 하기 위하여는 그 사실관계 오인의 근거가 된 자료가 외형상 상태성(常態性)을 결여하거나 또는 객관적으로 그 성립이나 내용의 진정을 인정할 수 없는 것임이 명백한 경우라야 할 것이고 사실관계의 자료를 정확히 조사하여야 비로소 그 하자 유무가 밝혀질 수 있는 경우라면 이러한 하자는 외관상 명백하다고 할 수는 없다. [2] 체납처분에 의한 채권압류의 효력이 적어도 채권압류에 기한 배당절차가 종료될 때까지 존속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구 국세기본법(1996. 12. 30. 법률 제518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 제1호 , 구 국세징수법(1996. 12. 30. 법률 제519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6조 제2항 , 행정소송법 제19조 / [2] 국세기본법 제26조 제3호 , 제27조 제1항 , 제28조 제1항 제4호 , 제2항 제4호 , 국세징수법 제41조 , 제42조 , 제53조 , 제54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4. 2. 28. 선고 82누154 판결(공1984, 612), 대법원 1985. 11. 12. 선고 84누250 판결(공1986, 40), 대법원 1992. 4. 28. 선고 91누6863 판결(공1992, 1742), 대법원 2001. 7. 13. 선고 2000두5333 판결(공2001하, 1868)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화성도시가스 주식회사(소송대리인 변호사 정연조) 【피고,피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2003. 6. 5. 선고 2001누16417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1996. 12. 30. 법률 제5189호로 국세기본법이 개정되기 이전에 이루어진 결손처분을 취소하는 처분은, 결손처분에 의하여 일단 소멸된 납세의무를 부활시켜 다시 체납처분을 가능하게 하는 행정처분( 대법원 2001. 7. 13. 선고 2000두5333 판결 참조)으로서 그 처분에 중대하고도 명백한 하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처분은 당연무효가 된다고 할 것이고, 하자가 명백하다고 하기 위하여는 그 사실관계 오인의 근거가 된 자료가 외형상 상태성(常態性)을 결여하거나 또는 객관적으로 그 성립이나 내용의 진정을 인정할 수 없는 것임이 명백한 경우라야 할 것이고 사실관계의 자료를 정확히 조사하여야 비로소 그 하자 유무가 밝혀질 수 있는 경우라면 이러한 하자는 외관상 명백하다고 할 수는 없다 할 것이다 ( 대법원 1985. 11. 12. 선고 84누250 판결, 1992. 4. 28. 선고 91누6863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피고 산하 원주세무서장은 원고가 2,238,522,180원의 법인세를 체납하자 1995. 3. 20.경 원고의 소외 원주도시가스공업 주식회사(이하 '소외 회사'라고 한다)에 대한 자산매매잔대금채권 10,700,000,000원 중 이미 지급되었다고 판단한 부분을 차감한 268,009,628원을 압류하였다가 1996. 6. 22. 채권배당절차에서 압류금액 중 일부인 205,447,390원을 배당받은 다음, 1996. 6. 30. 나머지 체납세액에 대하여 이 사건 결손처분을 한 사실, 한편 원주세무서장은 2000. 8. 7. 위 매매잔대금채권 중 당초에 소멸한 것으로 판단하여 압류하지 않았던 부분이 소멸하지 아니한 채 남아 있는 것을 발견하고 위와 같이 결손처분하였던 법인세(2,154,989,960원) 중 88,247,260원에 대하여 결손처분을 취소하고, 같은 해 8. 8. 원고의 소외 회사에 대한 위 매매잔대금채권 10,700,000,000원 중 이미 납부한 세액 상당액을 공제한 미지급금액 가운데 88,247,260원을 압류한 사실을 알 수 있는바, 사정이 그러하다면 원주세무서장이 압류한 위 88,247,262원의 매매잔대금채권의 존재 여부는 사실관계를 정확히 조사하여야 비로소 밝혀질 수 있는 것으로서, 이 사건 결손처분취소처분이 당연무효의 처분이라고 할 수는 없다. 원심판시는 이유 설시에 있어서 다소 미흡하기는 하나 이 사건 결손처분취소처분이 당연무효라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원고의 주장을 배척한 결론에 있어서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드는 바와 같은 판단유탈이나 결손처분취소처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 등이 없다. 따라서 이 부분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 산하 원주세무서장이 1995. 3. 20. 국세징수법에 의한 채권압류의 통지를 함으로써 피압류채권이 법률상 압류채무자로부터 체납처분에 의한 압류채권자에게 이전함과 동시에 체납절차로서 채권압류절차가 종료되고, 그 다음날부터 국세징수법에 의한 채권압류로 중단되었던 이 사건 법인세에 대한 국세징수권의 소멸시효가 다시 진행되고 그로부터 5년이 경과한 2000. 3. 21.에 시효가 완성되었다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피고 산하 원주세무서장이 이 사건 법인세의 납부기한 이후인 1995. 3. 20. 원고의 소외 원주도시가스공업 주식회사에 대한 매매잔대금채권을 압류하였으므로 이 사건 법인세에 대한 국세징수권의 소멸시효가 중단되었고, 그 압류의 효력은 적어도 채권압류에 기한 채권배당절차가 종료된 1996. 6. 22.경까지는 존속한다고 할 것이므로, 원고의 주장과 같이 채권압류통지와 동시에 압류의 효력이 소멸하여 그 다음날부터 5년이 경과한 2000. 3. 21.에 시효가 완성되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관계 법령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과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체납처분으로서 채권압류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따라서 이 부분 상고이유의 주장도 이유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무제 (재판장) 이용우 이규홍(주심)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세금 체납으로 압류당했는데, 절차상 문제가 있다면 압류는 무효일까?

세금 체납으로 인한 재산 압류 처분에 일부 잘못이 있더라도 압류 자체가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며, 법원은 소송 당사자가 제기한 범위 내에서만 판단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세금 체납#압류#절차상 하자#무효

민사판례

세금 체납, 압류, 그리고 추심에 관한 이야기

이 판례는 국가가 체납된 세금을 징수하기 위해 채권을 압류할 때, 압류 통지서에 세금 정보가 일부 누락되더라도 압류 자체는 유효하며, 확정 전 세금에 대한 압류도 가능하고, 세금이 나중에 증액되더라도 추심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시합니다. 또한, 근로자의 임금에 대한 우선변제권이 있다 하더라도 국가의 세금 압류보다 우선할 수 없다는 점을 확인합니다.

#체납세금#채권압류#압류통지#확정전세금

민사판례

세금 체납으로 압류당했는데, 압류가 잘못되었다고요? 알고 보니...

## 제목: 압류조서 없이도 채권압류는 유효하지만, 압류통지서에 채무이행 금지 문구가 없으면 무효 세금 체납으로 인한 채권압류 시 압류조서가 없더라도 압류 자체는 유효하지만, 압류통지서에 채무이행 금지 문구가 없으면 압류는 무효입니다. 이는 지방세외수입금 체납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구체적인 내용:** * **압류조서의 역할:** 압류조서는 세금 체납 시 세무서에서 압류 사실을 기록하고 증명하는 문서입니다. 압류조서가 없더라도 채권압류 자체는 유효합니다. * **압류통지서의 중요성:** 압류통지서는 제3채무자(돈을 빌려준 사람)에게 체납자에게 돈을 지급하지 말라고 알려주는 문서입니다. 이 통지서에 채무이행 금지 문구가 없으면 압류는 효력이 없습니다. 즉, 제3채무자가 체납자에게 돈을 지급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 **지방세외수입금에도 동일 적용:** 이러한 법리는 지방세외수입금(과징금, 이행강제금 등) 체납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판결 내용:** 대전광역시 유성구청장이 이행강제금 체납을 이유로 원고의 토지 수용보상금 채권을 압류했지만, 압류통지서에 채무이행 금지 문구를 기재하지 않아 압류는 무효가 되었습니다. **참조조문:** * 국세징수법 제29조, 제41조 * 구 지방세외수입금의 징수 등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3조, 제19조 **참조판례:** * 대법원 1973. 11. 26.자 72마59 결정 * 대법원 1984. 8. 21. 선고 84도855 판결 * 대법원 1997. 4. 22. 선고 95다41611 판결

#채권압류#압류조서#압류통지서#채무이행금지

세무판례

결손처분 취소 후 체납처분, 어디까지 가능할까?

세금을 못 내서 결손처분을 받았더라도, 나중에 숨겨진 재산이 발견되면 세무서에서 결손처분을 취소하고 다시 세금을 징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징수 대상은 결손처분 당시 압류 가능했던 재산이나 그 재산을 처분해서 얻은 다른 재산으로 한정됩니다. 그리고 이를 증명할 책임은 세무서에 있습니다.

#결손처분#체납처분#재산압류#입증책임

민사판례

돈 압류해놨는데, 압류 풀었으면 땡!

돈을 받아야 할 권리(채권)에 대한 가압류를 취소했을 때, 그 효력은 언제 사라지는가? 그리고 가압류가 여러 건 겹쳐있을 때 잘못 발령된 전부명령(압류된 돈을 채권자에게 주라는 명령)은 나중에 가압류가 해제되면 다시 살아날 수 있는가?

#채권 가압류#취하#효력 소멸 시점#전부명령

세무판례

결손처분 취소와 관련된 법 개정, 어떤 영향을 미칠까?

세금을 못 내서 결손처분을 받았는데, 나중에 돈을 벌게 되면 세금을 다시 내야 할까요? 이때 결손처분 당시 법률을 적용해야 할까요, 아니면 나중에 바뀐 법률을 적용해야 할까요? 이 판례는 결손처분 당시의 법률을 적용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결손처분#취소#법률 적용 시점#소급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