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03두7088

선고일자:

200501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소득세법시행령 제40조의2 제3항에서 규정하는 '사업용 고정자산'을 토지·건물 및 부동산에 관한 권리로 한정하여 해석할 것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영업권의 양도로 인한 소득에 대한 관련 법규정의 체계나 구 소득세법(2000. 12. 29. 법률 제62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0조의2 규정의 신설 취지, 관련 법규정의 개정 취지에 비추어 볼 때, 구 소득세법시행령(1999. 12. 31. 대통령령 제1666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0조의2 제3항이 일시재산소득의 과세대상에서 제외한 '사업용 고정자산과 함께 양도하는 영업권'이라 함은 구 소득세법 제94조 제5호, 같은법시행령 제158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사업용 고정자산(토지·건물 및 부동산에 관한 권리를 말한다)과 함께 양도하는 영업권'을 의미한다.

참조조문

구 소득세법(1995. 12. 29. 법률 제503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1조 제1항 제7호 , 구 소득세법(2000. 12. 29. 법률 제62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0조의2 제1항 제2호 , 제94조 제5호 (현행 제94조 제1항 제4호 참조) 구 소득세법시행령(1995. 12. 30. 대통령령 제1486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8조 제1항 제3호 {현행 소득세법 제94조 제1항 제4호 (가)목} 구 소득세법시행령(1999. 12. 31. 대통령령 제1666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0조의2 제3항 , 제158조 제1항 제3호{현행 소득세법 제94조 제1항 제4호 (가)목}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이연 (소송대리인 변호사 진행섭) 【피고,피상고인】 남대구세무서장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3. 6. 13. 선고 2002누3189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구 소득세법(2000. 12. 29. 법률 제62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법'이라 한다) 제20조의2 제1항 제2호는 영업권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을 원칙적으로 일시재산소득의 과세대상으로 규정하면서, 다만 법 제94조 제5호, 구 소득세법시행령(1999. 12. 31. 대통령령 제1666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시행령'이라 한다) 제158조 제1항 제3호가 '사업용 고정자산(법 94조 제1호 및 제2호의 자산을 말한다)과 함께 양도하는 영업권'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을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양도소득세와 중복 과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행령 제40조의2 제3항이 일시재산소득의 과세대상이 되는 영업권의 범위에서 '사업용 고정자산과 함께 양도하는 영업권'을 제외하였다고 보는 것이 관련 법규정의 체계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해석이고, 또한 일시재산소득에 관한 법 제20조의2 규정이 신설되기 전의 구 소득세법(1995. 12. 29. 법률 제503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1조 제1항 제7호는 영업권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은 원칙적으로 모두 기타소득으로 과세하되, 다만 법 제94조 제5호 및 구 소득세법시행령(1995. 12. 30. 대통령령 제1486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8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기타 자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그 영업권의 양도로 인한 소득을 양도소득으로 과세하는 것으로 규정함으로써, 영업권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은 모두 기타소득 또는 양도소득으로 과세되고 과세대상에서 제외된 경우는 없었는데, 시행령 제40조의2 제3항 소정의 '사업용 고정자산'의 범위에 '법 제94조 제1호 및 제2호의 자산(토지·건물 및 부동산에 관한 권리)' 외에 유·무형의 모든 고정자산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면 결국 '토지·건물 및 부동산에 관한 권리' 외의 사업용 고정자산과 함께 양도하는 영업권은 양도소득으로도 과세하지 못하고 일시재산소득으로도 과세하지 못하는 결과가 되어 이는 법 제20조의2 규정의 신설 취지나 관련 법규정의 개정 취지에도 반하는 해석이 되므로, 시행령 제40조의2 제3항이 일시재산소득의 과세대상에서 제외한 '사업용 고정자산과 함께 양도하는 영업권'이라 함은 법 제94조 제5호, 시행령 제158조 제1항 제3호 소정의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사업용 고정자산( 법 제94조 제1호 및 제2호의 자산을 말한다)과 함께 양도하는 영업권'을 의미한다 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관련 법규정 및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일시재산소득의 과세대상에서 제외되는 '사업용 고정자산과 함께 양도하는 영업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 등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재윤(재판장) 변재승(주심) 강신욱 고현철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영업권 양도, 양도소득일까 기타소득일까?

영업권을 양도해서 얻은 소득은 양도소득세 부과 대상인 양도소득에 해당하며, 법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영업권을 빌려주고 받는 대가만 기타소득에 해당합니다.

#영업권#양도소득세#양도#기타소득

세무판례

폐업 시 사업용 고정자산 양도에 대한 부가가치세 과세 여부

사업자가 사업용 고정자산(예: 건물)을 양도할 때 부가가치세를 내야 하는지, 특히 폐업과 관련하여 양도할 경우 어떻게 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사업 목적으로 건물을 팔았다면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지만, 폐업 후 남은 재산을 처분하는 경우는 다를 수 있습니다.

#부가가치세#사업용 고정자산 양도#폐업#잔존재화

세무판례

사업용 건물 양도 시 부가가치세, 꼭 내야 할까?

사업 폐지를 위해 건물을 팔더라도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일반 과세자가 간이 과세자에게 건물을 양도할 때는 과세 유형 전환이나 폐업 시 잔존재화 관련 규정을 적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부가가치세 계산 방식을 적용한다.

#사업폐지#건물양도#부가가치세#과세대상

세무판례

건물 매매, 사업 양도로 볼 수 있을까? 부가가치세 쟁점 살펴보기

부동산 임대사업자가 건물을 팔았을 때, 단순히 건물만 판 것이라면 사업 양도로 볼 수 없어 부가가치세를 내야 한다.

#건물 매매#사업 양도#부가가치세#부가가치세 면제

세무판례

사업 양도? 아니면 재화의 공급? 부가가치세 납부를 둘러싼 분쟁 이야기

회사가 사업을 양도할 때, 영업권도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된다.

#사업양도#영업권#부가가치세#재화

세무판례

임대 사업 양도시 부가가치세, 꼭 알아두세요!

임대사업을 통째로 양도했지만, 세무서에 사업 양도 증빙서류를 제출하지 않아 일반 부동산 매매처럼 부가가치세가 부과되었는데, 이 처분은 당연 무효가 아니라는 판결.

#부동산#임대사업#양도#부가가치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