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상표시무효

사건번호:

2004도3029

선고일자:

200407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채무자가 불가피한 사정으로 채권자의 승낙을 얻어 압류물을 이동시켰으나 집행관의 승인은 얻지 못한 경우, 공무상표시무효죄의 성립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140조 제1항

참조판례

대법원 1972. 8. 29. 선고 72도1603 판결(집20-2, 형068), 대법원 1983. 8. 23. 선고 80도1545 판결(공1983, 1440), 대법원 1986. 3. 25. 선고 86도69 판결(공1986, 736), 대법원 1992. 5. 26. 선고 91도894 판결(공1992, 2061)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수원지법 2004. 5. 3. 선고 2003노314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용 증거에 의하여, 피고인은 당초 그가 경영하는 자동차용품점 내에서 집행관이 압류하고 그 뜻을 기재한 후 피고인에게 보관을 맡긴 이 사건 압류물을 보관하던 중 오산시장으로부터 2002. 3. 21. 위 자동차용품점 부지 일대는 교통체계개선사업으로 인한 도로확장예정지로 선정되어 2002. 4. 15.부터 2002. 12.경까지 도로공사를 시행하게 되니 위 가게를 이전하여 달라는 공문을 받고, 압류채권자인 공소외 1에게 도로공사로 인하여 위 가게를 용인시 기흥읍 소재 기흥초등학교 앞으로 이전하게 될 것이라는 사정을 말하였고, 이에 대하여 공소외 1이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하자 피고인은 2002. 4. 15.경 위 가게를 기흥초등학교 앞으로 이전하면서 가게 안에서 보관하고 있던 이 사건 압류물을 같이 이동시킨 사실, 그 후 피고인은 2002. 5. 7.경 공소외 1을 만나 이전한 가게의 전화번호를 알려 준 사실, 피고인과 공소외 1은 위 가게의 이전 전후로 계속하여 연락을 취하고 있었던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인정 사실에 의하면 피고인은 이 사건 압류물을 이동시키기 전에 공소외 1에게 그 이동사실 및 이동장소를 알려주고 공소외 1로부터 묵시적인 승낙을 얻어 이를 이동시켰다 할 것이고, 사정이 이와 같다면 피고인의 이 사건 압류물 이동이 객관적으로 강제집행을 곤란하게 하여 압류의 효용을 해하는 정도에 이르렀다고 보기 어렵고, 피고인에게 강제집행을 곤란하게 하여 압류의 효용을 해할 범의가 있었다고 할 수도 없다는 이유로, 피고인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제1심판결을 유지하였다. 집행관이 그 점유를 옮기고 압류표시를 한 다음 채무자에게 보관을 명한 유체동산에 관하여 채무자가 이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야 할 특별한 사정이 있고, 그 이동에 앞서 채권자에게 이동사실 및 이동장소를 고지하여 승낙을 얻은 때에는 비록 집행관의 승인을 얻지 못한 채 압류물을 이동시켰다 하더라도형법 제140조 제1항소정의 '기타의 방법으로 그 효용을 해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공무상표시무효죄의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현철(재판장) 변재승 윤재식(주심) 강신욱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압류물 함부로 옮기면 큰일나요!

법원의 압류 결정이 내려진 물건을 집달관 허락 없이 다른 곳으로 옮기면 불법이며, 설령 변호사에게 자문을 받았더라도 죄가 성립한다.

#압류물 무단 이동#유죄#변호사 자문#공무상비밀표시무효죄

형사판례

압류된 물건 함부로 팔았다간… 범죄?!

법원에서 가압류한 물건에 압류 표시를 붙여놓았는데, 그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팔아넘기면 압류 표시의 효력을 없애는 행위로 '공무상표시무효죄'가 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소유권만 넘긴 경우에도, 물건이 그 자리에 그대로 있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가압류#공무상표시무효죄#판매#소유권 이전

민사판례

창고에 쌓인 물건 일부 압류, 제대로 표시 안 하면 무효!

창고에 있는 같은 종류의 물건 중 일부만 압류할 때는 압류한 물건을 명확하게 구분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압류와 경매 모두 효력이 없습니다. 또한, 경매가 무효가 되었다고 해서 경락인(낙찰자)이 바로 손해를 입은 것은 아닙니다.

#압류#구별표시#경매#효력

형사판례

압류 딱지 떼면 무조건 불법일까? 공무상표시무효죄, 알고 갑시다!

공무원의 압류 등의 표시에 절차나 내용상 하자가 있더라도, 일반적으로 공무원의 직무상 표시로 인정될 수 있는 상태라면, 적법한 절차로 취소되기 전까지는 함부로 손상해서는 안 된다. 나중에 압류의 근거가 된 권리가 없었던 것으로 밝혀지더라도, 압류 표시를 훼손하면 공무상표시무효죄가 성립한다.

#공무상표시무효죄#압류표시#절차상하자#적법절차

민사판례

압류된 부동산, 제3자에게 넘어갈 수 있을까?

다른 사람에게 돈을 받을 권리(채권)를 압류했는데, 채무자가 그 권리와 관련된 부동산을 제3자에게 팔아버렸다면, 압류한 채권자는 제3자에게 직접 등기 말소를 요구할 수는 없고, 대신 채무자와 부동산을 팔아넘긴 사람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해야 한다.

#압류#부동산#채권#손해배상

민사판례

남의 물건 압류당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

빚진 사람(채무자)이 아닌 다른 사람(제3자)의 물건을 압류하여 경매한 경우, 돈을 받아간 채권자는 그 제3자에게 부당이득을 반환해야 하고, 채권자가 압류 당시 그 물건이 제3자의 것임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도 진다. 미래에 얻을 수 있었던 수익(일실이익)에 대한 손해배상은 그 개연성이 입증되어야 하고, 압류된 물건 값을 넘는 손해는 특별한 사정으로 보아 채권자가 그 사정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만 배상해야 한다.

#타인 소유 동산#압류#경매#채권자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