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경쟁방지및영업비밀보호에관한법률위반

사건번호:

2004도5124

선고일자:

20060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마)목에 정한 상품의 생산, 제조, 가공 지역의 오인을 일으키게 하는 표지의 의미 [2] ‘초당’이 바닷물을 직접 간수로 사용하여 특별한 맛을 지닌 두부를 생산하는 지역의 명칭에 해당한다고 보아 ‘초당’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하는 두부제품에 ‘초당’을 사용하는 행위가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마)목에서 정한 상품의 생산, 제조, 가공 지역의 오인을 일으키는 것으로 본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1]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마)목에서 ‘상품의 생산, 제조, 가공 지역의 오인을 일으킨다’ 함은 거래 상대방이 실제로 오인에 이를 것을 요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거래자 즉 평균인의 주의력을 기준으로 거래관념상 사실과 다르게 이해될 위험성이 있음을 뜻하며, 이러한 오인을 일으키는 표지에는 직접적으로 상품에 관하여 허위 표시를 하는 것은 물론, 간접적으로 상품에 관하여 위와 같은 오인을 일으킬만한 암시적인 표시를 하는 것도 포함된다. [2] ‘초당’이 바닷물을 직접 간수로 사용하여 특별한 맛을 지닌 두부를 생산하는 지역의 명칭에 해당한다고 보아 ‘초당’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하는 두부제품에 ‘초당’을 사용하는 행위가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마)목에서 정한 상품의 생산, 제조, 가공 지역의 오인을 일으키는 것으로 본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1]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마)목 / [2]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마)목, 제18조 제3항 제1호

참조판례

[1] 대법원 1999. 1. 26. 선고 97도2903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세종 담당변호사 서성외 2인 【원심판결】 수원지법 2004. 7. 12. 선고 2004노19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이 두부제품에 ‘초당’이라는 명칭을 포함하는 표지를 사용하기 이전에 이미 ‘초당’이라는 명칭이 다른 지방에서 생산되는 두부와는 달리 바닷물을 직접 간수로 사용하여 특별한 맛을 지닌 두부를 생산하는 강릉시 초당마을을 나타내는 지리적 명칭으로서 널리 알려졌을 뿐, 두부에 관하여 보통명칭이나 관용표장으로 된 것은 아니므로, ‘초당’이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마)목이 정한 상품을 생산, 제조 또는 가공하는 지역의 명칭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원심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보통명칭, 관용표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제1호 (마)목에서 ‘상품의 생산, 제조, 가공 지역의 오인을 일으킨다’ 함은 거래 상대방이 실제로 오인에 이를 것을 요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거래자 즉 평균인의 주의력을 기준으로 거래관념상 사실과 다르게 이해될 위험성이 있음을 뜻하며, 이러한 오인을 일으키는 표지에는 직접적으로 상품에 관하여 허위 표시를 하는 것은 물론, 간접적으로 상품에 관하여 위와 같은 오인을 일으킬만한 암시적인 표시를 하는 것도 포함된다 ( 대법원 1999. 1. 26. 선고 97도2903 판결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의하면, 원심이 원심 및 제1심이 채용한 증거를 종합하여 피고인이 ‘초당’이라는 명칭을 포함한 표지를 두부의 운반용기 및 비닐포장에 사용한 결과 일반 수요자들이 위와 같은 운반용기에 담겨서 또는 비닐포장에 싸여서 판매된 두부가 ‘초당’이라는 지역에서 생산 또는 가공된 것으로 오인할 위험성이 있게 되었다는 취지로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위 법률 제2조 제1호 (마)목에 관한 법리오해나 채증법칙 위반 등의 위법이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강신욱(재판장) 고현철 양승태(주심) 김지형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남의 회사 이름 함부로 쓰면 안 돼요! 부정경쟁행위 주의보!

널리 알려지지 않은 회사의 영문 표기를 자기 상품에 붙여 판매했다고 해서 바로 부정경쟁행위로 처벌할 수는 없다. 해당 표기가 국내에서 널리 인식되었다는 점이 입증되어야 한다.

#부정경쟁행위#영문표기#주지성#무죄취지

특허판례

내 상표인데 왜 못쓰나요? - 상표권과 부정경쟁행위

이 판결은 국내에 등록되지 않은 상표라도, 이미 널리 알려진 상표와 유사해서 소비자들이 혼동할 우려가 있다면 보호받을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했습니다. 기존 판례 중 일부 상반된 판례도 변경했습니다.

#미등록상표#상표권침해#소비자혼동#상표법

민사판례

우리 동네 빵집 이름이 똑같아요?! - 상호권 분쟁 이야기

서울에 본점을 둔 유명 제과점 "고려당"의 마산 분점이 마산에 이미 존재하는 "고려당"이라는 상호를 사용했을 때, 부정경쟁의 목적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분점이 본점의 명성을 이용하려 했을 뿐, 기존 마산 "고려당"의 명성을 이용하려는 부정한 목적은 없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상호#부정경쟁#고려당#마산

민사판례

비아그라 도메인, 부정경쟁행위일까?

유명한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 상표와 유사한 도메인 이름('viagra.co.kr')을 사용하여 다른 상품을 판매하는 행위는 비아그라 상표의 식별력을 손상시키는 부정경쟁행위에 해당한다.

#비아그라#도메인이름분쟁#부정경쟁행위#식별력손상

특허판례

유명 탁구 브랜드 상표, 청바지에도 적용될까? - 상표권 범위에 대한 이야기

이미 알려진 상표와 유사한 상표라도, 사용되는 상품이 서로 관련 없다면 소비자 혼동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상표 등록 무효 사유가 될 수 없다.

#상표#유사성#소비자 혼동#상품 관련성

형사판례

국산 홍삼, 지역 이름 붙여도 괜찮을까?

국내산 수삼만 사용하여 만든 홍삼은 원산지를 '국산'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제품명에 특정 지역명을 사용하더라도 원산지 혼동으로 보기 어렵다는 판결.

#홍삼#원산지#국산#지역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