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

사건번호:

2005다27935

선고일자:

200601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우선변제권 있는 임금채권이 국세징수법상 압류재산 매각대금의 분배대상에 포함된 경우, 체납처분절차 주관기관은 임금채권자에게 배분할 금액을 직권으로 확정하여 배분계산서를 작성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및 그 매각대금 배분시까지 배분요구를 하지 아니한 임금채권자가 그에게 배분되어야 할 금액 상당의 금원을 배분받은 후순위권리자를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국세징수법 제83조 제1항, 국세기본법 제35조 제1항 제5호, 근로기준법 제37조, 민법 제741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0. 6. 9. 선고 2000다15869 판결(공2000하, 1640), 대법원 2003. 1. 24. 선고 2002다64254 판결(공2003상, 726)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근로복지공단 【피고, 상고인】 한국자산관리공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대전제일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한원규외 5인) 【원심판결】 대전고법 2005. 4. 29. 선고 2004나621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 경과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이를 보충하는 범위에서)를 본다. 국세징수법 제83조 제1항 후문은 배분계산서의 작성과 관련하여 “이 경우 매각대금의 배분대상자는 세무서장이 배분계산서를 작성하기 전까지 배분요구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국세징수법이 위 조항의 후문을 위반한 자의 지위에 관하여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아니한 점, 민사집행법상의 강제집행절차가 경합하는 일반채권에 대한 할당변제에 의한 사법적 해결을 그 목적으로 함에 반하여 국세징수법상의 체납처분절차는 행정기관에 의한 조세채권의 신속한 만족을 그 목적으로 하는 점, 국세징수법이 민사집행법과는 달리 배당요구권자, 배당요구기한의 고지절차, 채권계산서 미제출에 의한 채권액 보충의 실기, 배당받을 채권자의 범위, 배당이의절차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지 아니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위 조항의 후문은 배분계산서를 작성할 때까지 배분요구를 하지 아니한 배분대상자를 배분에서 배제하는 취지의 규정이 아니라 주의적 규정에 불과하다고 할 것이므로, 국세기본법 제35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국세 또는 가산금에 우선하는 임금채권이 국세징수법상 압류재산 매각대금의 분배대상에 포함되면, 체납처분절차를 주관하는 기관은 비록 임금채권자의 배분요구가 없다고 하더라도 임금채권자에게 배분할 금액을 직권으로 확정하여 배분계산서를 작성하여야 하고, 만약 임금채권자가 체납처분의 청산절차에서 압류재산의 매각대금을 배분할 때까지 배분요구를 하지 아니하여 그에게 배분되어야 할 돈이 후순위권리자에게 배분되었다면, 임금채권자는 후순위권리자를 상대로 부당이득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 대법원 2003. 1. 24. 선고 2002다64254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과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판결에서 채용하고 있는 증거들을 종합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비록 임금채권 대위권자인 원고가 이 사건 공매절차에서 압류재산의 매각대금이 배분될 때까지 배분요구를 하지 아니하여 그에게 배분되어야 할 242,958,790원이 후순위권리자인 피고에게 배분되었다고 하더라도, 원고는 피고를 상대로 위 돈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을 구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국세징수법상의 배분요구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이규홍(주심) 김황식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밀린 월급, 국가가 압류한 재산에서도 받을 수 있을까?

회사가 세금 등을 체납하여 재산이 압류되어 매각될 경우, 근로자의 임금채권은 다른 채권보다 우선적으로 변제받을 권리가 있으며, 만약 후순위 채권자에게 잘못 배분되었다면 부당이득반환청구를 통해 돌려받을 수 있다.

#임금채권#우선변제권#체납처분#부당이득반환청구

민사판례

못 받은 임금, 나중에라도 돌려받을 수 있을까? - 체당금과 공매, 그리고 부당이득

국세 체납으로 압류된 재산을 팔아서 돈을 나눠줄 때, 임금처럼 국세보다 먼저 받을 권리(우선변제권)가 있는 사람이 배분요구를 하지 않았더라도 나중에라도 자기 몫을 잘못 받아간 사람에게 돌려달라고 할 수 있다.

#체납처분#배분요구#우선변제권#부당이득반환청구권

민사판례

국세 체납 압류 vs. 근로자 임금 가압류, 누가 이길까?

국세 체납으로 국가가 압류한 돈에 대해, 근로자가 임금을 못 받아 가압류를 걸었더라도, 국가의 압류가 우선한다는 판결입니다. 즉, 회사가 체납 세금 때문에 압류당한 돈은 근로자의 임금보다 먼저 국가에 변제되어야 합니다.

#국세압류#임금가압류#우선순위#근로기준법

민사판례

세금 체납과 임금 가압류, 누가 먼저 받아갈까?

세금 체납으로 인한 압류와 일반 민사소송의 가압류가 동시에 걸린 경우, 제3채무자(돈을 갚아야 할 사람)는 공탁할 수 없고, 세금 징수 기관은 제3채무자에게 직접 돈을 요구할 수 있다.

#체납처분#압류#가압류#경합

생활법률

밀린 월급, 받을 수 있을까? 임금채권 우선변제 완벽 정리!

회사 폐업 시 최종 3개월분 임금/재해보상금, 3년간 퇴직금은 다른 채권보다 우선 변제되지만, 반드시 배당요구를 해야 받을 수 있다.

#임금채권#우선변제#배당요구#최종 3개월분 임금

민사판례

밀린 임금 vs. 은행 대출, 누가 먼저 돈 받을까? - 부동산 여러 개일 때 배당 순서

회사가 여러 부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받았는데, 그중 일부 부동산이 경매될 때 근로자들의 임금이 먼저 변제되어 저당권자가 손해를 본 경우, 저당권자는 다른 부동산 경매에서 손해 본 만큼 우선적으로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

#근저당#임금채권#우선변제#공동저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