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권말소등기등

사건번호:

2005다47663

선고일자:

200804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전세권이 기간만료로 종료된 경우, 전세권을 목적으로 한 저당권의 소멸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312조, 제371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9. 9. 17. 선고 98다31301 판결(공1999하, 2178)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부산지법 2005. 7. 8. 선고 2004나13561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지방법원 본원 합의부로 환송한다. 【이 유】 상고 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 3점에 관하여 우리 민법상 저당권은 담보물권을 목적으로 할 수 없으므로, 전세권에 대하여 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그 전세권이 기간만료로 종료되면 전세권을 목적으로 하는 저당권은 당연히 소멸된다( 대법원 1999. 9. 17. 선고 98다31301 판결 참조). 원심이 적법하게 채택한 증거에 의하면, 원고가 2002. 4. 6. 소외인에게 이 사건 건물과 그 대지에 대하여 전세금 4,500만 원, 존속기간 2004. 3. 25.까지의 전세권설정등기를 경료해 주었고, 소외인은 같은 날 피고에게 위 전세권에 대하여 채권액 4,500만 원의 전세권저당권설정등기를 경료해 준 사실, 그런데 원심 변론종결일인 2005. 5. 13. 이전에 이미 위 전세권의 존속기간이 경과한 사실 등을 알 수 있는바, 사정이 이와 같다면, 이 사건 전세권은 존속기간 만료로 소멸되었고 이에 대한 피고의 저당권 역시 소멸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이와 다른 견해에서 이 사건 전세권에 대한 피고 명의의 저당권의 말소를 구하는 이 사건 청구를 배척하고 말았으니, 이러한 원심판결은 전세권에 대한 저당권의 효력 등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2. 결 론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할 필요 없이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김황식 이홍훈(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전세권에 저당권 설정 후 전세 만료 시, 돈 받는 방법!

전세권에 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전세 기간이 끝나면 전세권 자체는 사라지므로 저당권을 직접 실행할 수 없습니다. 대신 전세금반환채권에 대해 저당권을 행사해야 합니다.

#전세권#저당권#전세 만료#전세금반환채권

민사판례

전세 계약 끝났는데, 전세금은 누구에게 돌려줘야 할까요? (전세권 저당권 설정 시)

전세 계약 기간이 끝나면 전세권과 그에 붙은 저당권은 자동으로 없어지며, 집주인은 다른 채권자가 압류 등을 하지 않았다면 원래 전세권자에게만 전세금을 돌려주면 된다. 저당권자는 전세금을 직접 받을 권리가 없고, 전세금반환채권에 대해 압류 등의 조치를 취해야 받을 수 있다.

#전세권#저당권#전세금반환채무#기간만료

상담사례

전세권에 저당권 설정, 전세 끝나면 어떻게 돈 받나요?

전세권에 설정된 저당권은 전세 만료 후 소멸되지만, 저당권자는 전세금 반환채권에 대해 압류 및 추심/전부명령 또는 배당요구를 통해 변제받을 수 있다.

#전세권#저당권#전세금반환채권#압류추심명령

상담사례

전세 끝났는데 세입자 돈 안 갚아요! 전세권에 저당 잡았는데 어떡하죠?

전세권 저당 설정 후 전세 계약 종료시 전세권은 소멸되지만, 발생하는 전세금반환채권에 대해 압류 및 추심, 전부명령, 배당요구 등의 법적 조치를 통해 저당권자는 돈을 회수할 수 있다. (빠른 조치 필수)

#전세금반환채권#압류#추심명령#전부명령

민사판례

전세권 저당 잡혔을 때, 집주인도 세입자에게 돈 받을 권리 주장할 수 있을까?

전세권에 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전세 계약이 끝나면 저당권자는 전세금을 돌려받을 권리(전세금반환채권)에 대해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집주인(전세권설정자)이 세입자(전세권자)에게 돈을 빌려준 경우 등으로 세입자에게 받을 돈이 있다면, 이를 전세금에서 빼고 줄 수 있는지(상계)가 문제됩니다. 이 판례는 특정 조건에서는 집주인이 상계할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전세권#저당권#상계#전세금반환채권

민사판례

전세권, 저당권, 그리고 전세금 반환 - 복잡한 권리 관계 정리

전세권에 저당권이 설정된 후 전세 계약이 끝났을 때, 저당권자는 전세금을 어떻게 받을 수 있을까요? 이 판례는 저당권자가 전세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과 다른 채권자보다 우선적으로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에 대해 다룹니다. 특히, 다른 채권자가 먼저 압류를 했더라도 저당권자가 전부명령을 받았다면 유효하다는 것을 명시합니다.

#전세권#저당권#전세금반환채권#물상대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