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재판정취소의소

사건번호:

2005다74344

선고일자:

2007053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중재합의의 의미와 요건 및 그 효력 범위 [2] 구 건설산업기본법 제36조 및 구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6조가 원도급금액을 초과하여 하도급금액을 정하고 이를 지급하는 것 자체를 금지하는 취지의 규정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중재법이 적용되는 중재합의란 계약상의 분쟁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일정한 법률관계에 관하여 당사자 간에 이미 발생하였거나 장래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중재에 의하여 해결하도록 하는 당사자 간의 합의를 말하는 것이므로, 장래 분쟁을 중재에 의하여 해결하겠다는 명시적인 의사표시가 있는 한 비록 중재기관, 준거법이나 중재지의 명시가 되어 있지 않더라도 유효한 중재합의로서의 요건은 충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중재합의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달리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당사자들 사이의 특정한 법률관계에서 비롯되는 모든 분쟁을 중재에 의하여 해결하기로 정한 것으로 봄이 상당하다. [2] 구 건설산업기본법(2004. 12. 31. 법률 제730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및 구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2005. 3. 31. 법률 제748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6조는 하수급인의 보호를 위한 규정으로서 원도급금액을 초과하여 하도급금액을 정하고 이를 지급하는 것 자체를 금지하는 취지는 아니다.

참조조문

[1] 중재법 제3조 제2호 / [2] 구 건설산업기본법(2004. 12. 31. 법률 제730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 구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2005. 3. 31. 법률 제748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광장 담당변호사 박준서외 1인) 【피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한신스틸콘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현만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10. 28. 선고 2004나7442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중재법이 적용되는 중재합의란 계약상의 분쟁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일정한 법률관계에 관하여 당사자 간에 이미 발생하였거나 장래 발생할 수 있는 분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중재에 의하여 해결하도록 하는 당사자 간의 합의를 말하는 것이므로( 중재법 제3조 제2호), 장래 분쟁을 중재에 의하여 해결하겠다는 명시적인 의사표시가 있는 한 비록 중재기관, 준거법이나 중재지의 명시가 되어 있지 않더라도 유효한 중재합의로서의 요건은 충족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중재합의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달리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당사자들 사이의 특정한 법률관계에서 비롯되는 모든 분쟁을 중재에 의하여 해결하기로 정한 것으로 봄이 상당하다. 원심판결의 이유를 위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 부분 원심의 설시에 다소 부적절한 점이 있으나, 이 사건 중재합의 당시에 판시 공사대금의 산정요소 중 단가에 대한 합의가 있었음을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고 보고, 나아가 “상기 합의내용이 이행되지 않을 경우 즉시 제3기관의 중재를 받는다.”라는 내용의 이 사건 합의서 제4조가 중재법이 적용되는 유효한 중재합의에 해당함을 전제로 이 사건 중재합의의 대상인 분쟁, 즉 같은 합의서상의 공사대금청구권 자체에 대한 판단 권한이 이 사건 중재판정부에 있으므로 이 사건 중재판정이 중재합의의 대상이 아닌 분쟁을 다룬 사실 또는 중재판정이 중재합의의 범위를 벗어난 사항을 다룬 사실{ 중재법 제36조 제2항 제1호 (다)목의 요건}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결론에 있어서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결론에 영향을 미친 채증법칙 위반 내지는 중재합의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건설산업기본법(2004. 12. 31. 법률 제7306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6조 및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2005. 3. 31. 법률 제748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6조는 하수급인의 보호를 위한 규정으로서 원도급금액을 초과하여 하도급금액을 정하고 이를 지급하는 것 자체를 금지하는 취지는 아니라 할 것이다.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중재판정의 집행이 대한민국의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위배되지 아니한다고 한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위 두 법률 조항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원심판결의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이 사건 중재절차에서 이루어진 제2차 감정절차와 관련하여 원고에게도 의견 및 자료 제출의 기회가 동등하게 부여되었다고 봄이 상당하고 그밖에 원고가 제2차 감정 결과 및 이를 믿은 이 사건 중재판정의 위법을 주장하는 것은 결국 감정 결과 및 그에 터잡은 중재판정의 인정 금액이 과다함을 탓하는 것에 불과하여 이 사건 중재절차가 중재법에 위반되었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게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황식(재판장) 김영란 이홍훈 안대희(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하도급대금 직접지급,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을까?

하도급업체가 발주자에게 하도급대금 직접지급을 청구할 때 여러 가지 법적 근거를 들어 청구했는데, 법원이 그중 하나의 근거에 대해서만 판단하고 나머지 근거에 대한 판단을 누락한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입니다.

#하도급대금 직접지급#선택적 청구 병합#판단 누락#위법

민사판례

하도급 대금 직접 지급, 선급금과 상계될까?

공사 도중 계약이 해지되면 원칙적으로 미지급 공사대금은 선급금으로 충당되지만, 하도급 업체에 대한 대금 직접 지급 조항이 있는 경우, 발주자는 선급금을 이유로 하도급 대금 지급을 거부할 수 없다.

#하도급대금 직접지급#선급금 상계#원사업자 부도#발주자 지급의무

민사판례

대규모 건설 하도급 계약, 무엇을 주의해야 할까요?

수백억 원대 대규모 건설 하도급 공사에서 단순히 견적서, 이행각서, 하도급보증서 제출만으로는 계약 성립으로 볼 수 없으며, 상대방에게 계약 체결에 대한 정당한 신뢰를 부여한 후 정당한 이유 없이 계약을 거부하면 불법행위가 성립될 수 있다.

#건설 하도급#계약 성립#견적서#이행각서

민사판례

하도급 대금 증액 약정 없어도 계약은 유효!

원사업자가 발주자로부터 추가금액을 받더라도 하도급 대금을 증액하지 않기로 한 계약은 구 하도급법(1995년 개정 전) 제16조 위반이지만, 그렇다고 하도급 계약 자체가 무효인 것은 아니다.

#하도급#대금증액#약정#유효

민사판례

조정 또는 중재, 둘 중 하나 선택하는 계약에서 중재 효력은?

계약서에 "조정 또는 중재로 분쟁을 해결한다"라고 쓰여있는 경우, 양쪽 모두 중재에 동의해야만 중재 효력이 발생합니다. 한쪽이 중재를 신청했더라도, 상대방이 중재에 동의하지 않으면 중재로 해결할 수 없습니다.

#선택적 중재조항#중재합의#중재 효력#소송

민사판례

중재 합의가 있는 경우, 소송 전에 중재를 먼저 받아야 할까요?

계약에 분쟁 발생 시 중재를 먼저 거치도록 정해진 경우, 소송에서 "중재부터 해야 한다"는 항변은 본안에 대한 주장을 하기 *전*에 해야 합니다. 본안에 대한 주장을 하고 나서 재판이 시작된 후에는 이런 항변을 할 수 없습니다.

#중재선행의무#본안전 항변#중재합의#관할항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