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상과실치상

사건번호:

2005도3832

선고일자:

200706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태아가 사람으로 되는 시기 [2] 제왕절개 수술의 경우 ‘의학적으로 제왕절개 수술이 가능하였고 규범적으로 수술이 필요하였던 시기(時期)’를 분만의 시기(始期)로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3] 태아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행위가 임산부에 대한 상해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사람의 생명과 신체의 안전을 보호법익으로 하고 있는 형법의 해석으로는 규칙적인 진통을 동반하면서 분만이 개시된 때(소위 진통설 또는 분만개시설)가 사람의 시기(始期)라고 봄이 타당하다. [2] 제왕절개 수술의 경우 ‘의학적으로 제왕절개 수술이 가능하였고 규범적으로 수술이 필요하였던 시기(時期)’는 판단하는 사람 및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어, 분만개시 시점 즉, 사람의 시기(始期)도 불명확하게 되므로 이 시점을 분만의 시기(始期)로 볼 수는 없다. [3] 현행 형법이 사람에 대한 상해 및 과실치사상의 죄에 관한 규정과는 별도로 태아를 독립된 행위객체로 하는 낙태죄, 부동의 낙태죄, 낙태치상 및 낙태치사의 죄 등에 관한 규정을 두어 포태한 부녀의 자기낙태행위 및 제3자의 부동의 낙태행위, 낙태로 인하여 위 부녀에게 상해 또는 사망에 이르게 한 행위 등에 대하여 처벌하도록 한 점, 과실낙태행위 및 낙태미수행위에 대하여 따로 처벌규정을 두지 아니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우리 형법은 태아를 임산부 신체의 일부로 보거나, 낙태행위가 임산부의 태아양육, 출산 기능의 침해라는 측면에서 낙태죄와는 별개로 임산부에 대한 상해죄를 구성하는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해석된다. 따라서 태아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행위가 임산부 신체의 일부를 훼손하는 것이라거나 태아의 사망으로 인하여 그 태아를 양육, 출산하는 임산부의 생리적 기능이 침해되어 임산부에 대한 상해가 된다고 볼 수는 없다.

참조조문

[1] 형법 제268조 / [2] 형법 제268조 / [3] 형법 제268조, 형법 제257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2. 10. 12. 선고 81도2621 판결(공1982, 1116), 대법원 1998. 10. 9. 선고 98도949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피고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법무법인 율촌 담당변호사 윤홍근 【환송판결】 대법원 2004. 3. 26. 선고 2003도6570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1. 업무상과실치사의 점에 대하여 사람의 생명과 신체의 안전을 보호법익으로 하고 있는 형법의 해석으로는 규칙적인 진통을 동반하면서 분만이 개시된 때(소위 진통설 또는 분만개시설)가 사람의 시기라고 봄이 타당하다고 함은 종래 대법원이 취하여 온 견해이다( 대법원 1982. 10. 12. 선고 81도2621 판결, 대법원 1998. 10. 9. 선고 98도949 판결 등 참조). 위 법리에 비추어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이 공소외인에게 분만의 개시라고 할 수 있는 규칙적인 진통이 시작된 바 없었으므로 이 사건 태아는 아직 업무상과실치사죄의 객체인 ‘사람’이 되었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 등으로 이 부분 공소사실에 관하여 무죄를 선고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 또는 업무상과실치사죄의 객체에 관한 법리 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한편 검사는, 제왕절개 수술의 경우 임산부의 상태변화, 의료진의 처치경과 등 제반 사정을 토대로 ‘의학적으로 제왕절개 수술이 가능하였고 규범적으로 수술이 필요하였던 시기’를 사후적으로 판단하여 이를 분만의 시기로 볼 수 있고, 2001. 8. 11. 00:30경 출산을 위해 피고인의 조산원에 입원할 당시 공소외인은 임신성 당뇨증상 및 이미 두 번의 제왕절개 출산 경험이 있는 37세의 고령의 임산부이었고, 분만예정일을 14일이나 넘겨 이 사건 태아가 5.2㎏까지 성장한 상태이어서 의학적으로 자연분만이 부적절하여 제왕절개 수술이 유일한 출산방법이었으므로 공소외인의 위 입원시점을 분만의 시기로 볼 수 있다고도 주장하나, ‘의학적으로 제왕절개 수술이 가능하였고 규범적으로 수술이 필요하였던 시기’는 판단하는 사람 및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어, 분만개시 시점 즉, 사람의 시기도 불명확하게 된다는 점에서 채용하기 어렵다. 검사의 이 부분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2. 업무상과실치상의 점에 대하여 현행 형법이 사람에 대한 상해 및 과실치사상의 죄에 관한 규정과는 별도로 태아를 독립된 행위객체로 하는 낙태죄, 부동의 낙태죄, 낙태치상 및 낙태치사의 죄 등에 관한 규정을 두어 포태한 부녀의 자기낙태행위 및 제3자의 부동의 낙태행위, 낙태로 인하여 위 부녀에게 상해 또는 사망에 이르게 한 행위 등에 대하여 처벌하도록 한 점, 과실낙태행위 및 낙태미수행위에 대하여 따로 처벌규정을 두지 아니한 점 등에 비추어보면, 우리 형법은 태아를 임산부 신체의 일부로 보거나, 낙태행위가 임산부의 태아양육, 출산 기능의 침해라는 측면에서 낙태죄와는 별개로 임산부에 대한 상해죄를 구성하는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해석된다. 따라서 태아를 사망에 이르게 하는 행위가 임산부 신체의 일부를 훼손하는 것이라거나 태아의 사망으로 인하여 그 태아를 양육, 출산하는 임산부의 생리적 기능이 침해되어 임산부에 대한 상해가 된다고 볼 수는 없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 부분 공소사실에 관하여 무죄로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 및 태아와 모체와의 관계 또는 상해의 개념 등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검사의 이 부분 상고이유에 관한 주장은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3. 결 론 그러므로 검사의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능환(재판장) 김용담 박시환(주심) 박일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의료사고로 태아가 사망했을 때, 의사에게 상해죄가 적용될까?

의사의 과실로 태아가 사망했더라도, 이는 임산부에 대한 상해죄로 볼 수 없다.

#태아 사망#임산부#상해죄#불성립

민사판례

신생아 사망 사건, 병원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제왕절개로 태어난 신생아가 이틀 만에 사망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병원 측 의료진의 과실을 인정한 원심 판결을 뒤집고 병원 측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모순되는 감정 결과를 제대로 검토하지 않고 병원 측 과실을 인정한 원심 판결에는 문제가 있다고 본 것입니다.

#신생아 사망#의료과실 불인정#대법원 파기환송#모순된 감정결과

민사판례

의료사고, 병원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 질식분만으로 인한 신생아 사망 사례

질식분만 중 태아에게 이상 징후가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의사가 적절한 조치를 늦게 취하여 신생아가 사망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의사의 과실과 신생아 사망 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하고 병원 측의 손해배상 책임을 확정했습니다.

#의료과실#신생아 사망#병원 책임#인과관계

형사판례

조산 위험 산모 사망 사건, 의사의 과실은?

조산 위험이 있는 산모가 복통을 호소했을 때, 의사가 즉시 정밀 검사를 하지 않고 경과를 지켜본 것이 의료 과실인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의사의 행위가 합리적인 재량 범위 내에 있었다고 판단하여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했습니다.

#조산#의사#주의의무#진통

생활법률

뱃속 아기에게도 권리가 있을까? 태아의 권리능력 알아보기

태아는 원칙적으로 출생 후 권리능력을 가지지만, 법은 상속, 손해배상 등 특정 상황에서 태아가 살아서 출생할 것을 전제로 권리를 인정(태아의 권리능력)하고 보호한다.

#태아#권리능력#권리#출생

민사판례

의료사고, 어디까지 책임져야 할까? - 수인한도를 넘는 불성실한 진료

분만 과정에서 태아가 사망한 사건에서, 의사의 진료가 **일반인의 수인한도를 넘어 현저하게 불성실했는지** 여부가 손해배상 책임의 핵심 쟁점입니다. 이 사건에서는 의사의 진료가 그 정도로 불성실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대법원의 판단이 나왔습니다.

#태아 사망#의료과실#수인한도#불성실 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