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교통방해

사건번호:

2005도7573

선고일자:

200710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형법 제185조 일반교통방해죄에서 ‘육로’의 의미 [2] 목장 소유자가 목장운영을 위해 목장용지 내에 임도를 개설하고 차량 출입을 통제하면서 인근 주민들의 일부 통행을 부수적으로 묵인한 경우, 위 임도는 공공성을 지닌 장소가 아니어서 일반교통방해죄의 ‘육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185조 / [2] 형법 제185조

참조판례

[1][2] 대법원 1999. 4. 27. 선고 99도401 판결(공1999상, 1116) / [1] 대법원 2002. 4. 26. 선고 2001도6903 판결(공2002상, 1310), 대법원 2005. 8. 19. 선고 2005도1697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노재환 【원심판결】 춘천지법 2005. 9. 16. 선고 2004노37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형법 제185조의 일반교통방해죄는 일반공중의 교통의 안전을 보호법익으로 하는 범죄로서 여기에서 육로라 함은 일반공중의 왕래에 공용된 장소, 즉 특정인에 한하지 않고 불특정다수인 또는 차마가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는 공공성을 지닌 장소를 말한다 ( 대법원 1999. 4. 27. 선고 99도401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그러한 사실관계에서 나타나는 다음과 같은 사정, 즉 피고인이 목장을 운영하기 위해 자신의 비용으로 자신의 목장용지 내에 이 사건 임도를 개설하였을 뿐이고 농가의 영농을 위한 농로로 개설된 것이 아닌 점, 당시 이 사건 임야 인근의 경작자들이나 성묘객들이 이용해오던 기존 통행로가 있었고 이 사건 임도가 개설된 이후에도 이 사건 임도와 기존 통행로가 같이 이용되어 왔던 점, 피고인이 1997년~1998년경부터 이 사건 임도에 차량들의 출입을 통제해 왔고, 인근의 경작자들도 그 통제에 따르던 중 김충남이 임의로 이 사건 임도와 자신의 밭을 연결하는 별도의 통행로를 개설하고 트랙터를 이용하여 계속 통행함으로써 문제가 되었고, 영월군에서 이 사건 철문이 설치된 부근까지 포장공사를 한 것은 피고인이 이 사건 임도에 차량들의 출입을 통제해 온 이후인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이 사건 임도는 그 소유자인 피고인이 개인적으로 사용하면서 인근 주민들의 통행을 부수적으로 묵인한 것에 불과하고, 불특정다수인 또는 차마가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는 공공성을 지닌 장소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조치는 정당하고, 원심판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사실오인 또는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주심) 김황식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내 땅에 담장 쌓았는데, 왜 교통방해죄일까? (일반교통방해죄와 육로의 의미)

개인 소유 토지 내에 있던 마을 주민 통행로를 막은 행위가 일반교통방해죄에 해당하는지 여부. 대법원은 해당 토지가 불특정 다수인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는 공공성을 지닌 장소로 보기 어렵다며 무죄 취지로 판단.

#일반교통방해죄#통행로폐쇄#사유지#공공성

형사판례

내 땅이라고 맘대로 막으면 안 돼요! - 일반교통방해죄

오랫동안 주민들이 공로로 나가는 유일한 길로 이용해 온 골목길을 자신의 땅이라는 이유로 좁게 막은 건물주에게 일반교통방해죄가 인정되었습니다.

#골목길#일반교통방해죄#건물주#육로

형사판례

농로 막으면 안 돼요! 일반교통방해죄, 알아봅시다.

일반 대중이 다니는 농로를 막는 행위도 일반교통방해죄에 해당한다. 땅 주인이든 아니든, 사람이 많이 다니든 적게 다니든 상관없이 '사실상' 공공의 통행로로 쓰이는 곳이면 '육로'로 본다.

#농로#일반교통방해죄#육로#통행

형사판례

내 땅에 있는 남의 가게 진입로, 막아도 될까? - 일반교통방해죄

타인 소유의 음식점으로 연결된 자기 땅의 진입로를 막은 행위가 일반교통방해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해당 진입로가 일반 대중이 사용하는 공공성을 가진 도로로 보기 어렵다는 이유로 일반교통방해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일반교통방해죄#사유지#진입로#공공성

민사판례

모두가 다닐 수 있는 길이라고 마음대로 막아도 될까요?

단순히 일반 대중이 이용하는 토지라고 해서 누구든지 통행 방해를 이유로 지장물 제거 등을 청구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특정인에게만 통행 방해가 발생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위법한 침해가 있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진입로가 있다면 그 진입로가 해당 토지 이용에 부적합하다는 점이 명확해야 주위토지통행권이 인정됩니다.

#통행 방해 배제 청구#주위토지통행권#일반 공중 통행 가능 토지#특정인 통행 방해

형사판례

🚧 공사장 토석, 도로 막았다고 무조건 유죄? 🚧

공사 중 발생한 토석을 허가 없이 야지에 쌓아둔 피고인이 산림법 위반과 일반교통방해죄로 기소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담당 공무원이 허가가 필요 없다고 잘못 안내한 경우, 피고인의 행위에 정당한 이유가 있는지 심리하지 않은 원심을 파기 환송했습니다. 일반 대중이 다니는 길을 막은 것에 대해서는 일반교통방해죄가 유죄로 인정되었지만, 산림법 위반에 대해서는 공무원의 안내를 믿은 점을 고려하여 다시 재판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토석#산림법 위반#일반교통방해죄#공무원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