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등급결정처분취소

사건번호:

2005두8566

선고일자:

200512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4조 [별표 3] 상이등급구분표상 3급 31호의 ‘한 다리가 무릎관절 이상 상실된 자’에서의 ‘상실’의 의미

판결요지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3] ‘상이등급구분표’는 신체 중 어느 부위 자체가 상실(물리적 상실)된 경우에는 ‘상실’이라고만 규정하고 있는 반면, 신체 중 어느 부위가 기능적으로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기능적으로 완전 상실’ 또는 ‘고도의 기능장애’라고 규정하고 있음에 비추어 볼 때, 위 상이등급구분표상 3급 31호의 ‘한 다리가 무릎관절 이상 상실된 자’에서의 ‘상실’이란 절단 등과 같은 물리적 상실만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고, 한 다리가 무릎관절 이상 기능적으로 상실되는 것까지 포함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참조조문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4조 [별표 3]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원고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진남) 【피고, 상고인】 인천보훈지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6. 16. 선고 2004누15002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환송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3] ‘상이등급구분표’는 신체 중 어느 부위 자체가 상실(물리적 상실)된 경우에는 ‘상실’이라고만 규정하고 있는 반면, 신체 중 어느 부위가 기능적으로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기능적으로 완전 상실’ 또는 ‘고도의 기능장애’라고 규정하고 있음에 비추어 볼 때, 위 상이등급구분표상 3급 31호의 ‘한 다리가 무릎관절 이상 상실된 자’에서의 ‘상실’이란 절단 등과 같은 물리적 상실만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고, 한 다리가 무릎관절 이상 기능적으로 상실되는 것까지 포함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할 것이다. 원심은 이와 달리, 판시 인정 사실에 터 잡아, 원고가 현재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제1형’을 앓고 있고, 그 증상에 비추어 위 시행령 [별표 3] 상이등급구분표상 3급 31호인 ‘한 다리가 무릎관절 이상 상실된 자’에 해당하는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면서, 위 상이등급구분표상 3급 31호에서의 ‘상실’이란 반드시 절단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고 한쪽 다리가 무릎관절 이상 상실될 정도의 심각한 기능상실도 이에 포함된다고 해석하였으니, 이는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3] 상이등급구분표상 3급 31호 소정의 ‘상실’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잘못을 저지른 것이고,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다만, 원심으로서는 원고가 그 주장과 같이 위 상이등급구분표상 3급 31호의 ‘한 다리가 무릎관절 이상 상실된 자’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위 상이등급구분표상 3급 89호(한 다리의 고도기능장애와 같은 쪽 둔부결손, 뼈의 손상, 엉덩이관절, 무릎관절의 강직으로 정상좌위가 불가능한 자), 4급 112호(한 다리의 3대 관절에 고도의 기능장애가 있는 자), 5급 29호(한 다리가 신경마비, 관절강직, 가관절, 인공관절, 뼈 손상, 반흔변형, 혈행장애 등으로 인하여 고도의 기능장애가 있는 자), 5급 77호(한 다리의 3대관절 중 2개 관절에 고도의 기능장애가 있는 자) 등 다른 항목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하여도 심리·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강신욱(재판장) 고현철 양승태(주심) 김지형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판정, 뇌 손상 아니라고 배제하면 안 돼요!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판정 시, 법령에 '중추신경계(뇌)' 관련 장애라고 쓰여있더라도, 실제로는 뇌가 아닌 다른 부위 (말초신경 등)의 장애도 포함될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신경통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뇌신경과 척추신경이라고만 쓰여있어도 말초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통도 포함하여 판단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국가유공자#상이등급#법령해석#중추신경계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판정, 무릎관절 기능장애 인정 기준은?

무릎 관절 기능장애로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7급 인정을 요구한 소송에서, 관련 시행규칙이 상위법의 위임 범위를 벗어나지 않았고, 원고의 장애 정도가 7급 기준에 미달한다고 판단하여 원고 패소 판결.

#국가유공자#상이등급#7급#시행규칙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7급 상이등급 인정 기준, 기능장애가 핵심!

무릎 연골판 손상으로 국가유공자 7급 상이등급을 받으려면, 단순히 엑스레이 등에서 퇴행성 변화가 보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로 인해 실제로 경도의 기능장애가 있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국가유공자#상이등급 7급#무릎 연골판 손상#기능장애

일반행정판례

뇌경색으로 인한 장애, 국가유공자 상이등급 판정은 어떻게?

뇌경색으로 인한 편마비와 언어장애는 별개의 장애가 아니라 하나의 신경계통 장애로 보아 국가유공자 상이등급을 판정해야 한다.

#뇌경색#편마비#언어장애#신경계통 장애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7급 상이등급 인정 기준, 무릎 관절염은 어떻게 볼까요?

무릎 연골판 손상으로 인한 외상 후 관절염이 국가유공자 7급 상이등급(7급 8122호)으로 인정되려면 단순히 엑스레이 상 퇴행성 변화가 보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로 인한 기능 장애가 다른 7급 기준과 비슷한 수준이어야 합니다.

#국가유공자#7급#상이등급#무릎 관절염

민사판례

다리 부분 부상, 절단보다 더 큰 노동능력상실 인정될까?

다리 부분에 여러 장해가 복합적으로 발생한 경우, 그로 인한 노동능력상실률이 다리를 절단했을 때의 노동능력상실률보다 더 높게 평가될 수 있다.

#다리#복합장해#노동능력상실률#절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