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채권

사건번호:

2006다25424

선고일자:

2009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으로 그 효력을 상실한 구 파산법 제38조 제2호 본문을 적용한 원심을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파산법(2005. 3. 31. 법률 제7428호로 제정된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로 폐지되기 전의 것) 제38조 제2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대한민국 【피고, 상고인】 파산자 【원심판결】 부산고법 2006. 4. 7. 선고 2005나20071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한다.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다. 소송총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직권으로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원고 산하 공정거래위원회가 1999. 9. 11. 주식회사 ○○파이낸스에 대하여 부당광고행위를 이유로 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1999. 2. 5. 법률 제5814호로 개정되고, 2004. 12. 31. 법률 제7289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24조의2에 의하여 부과, 납부고지한 과징금 100,000,000원 및 이에 대한 1999. 11. 16.부터 위 회사 파산선고 전날인 2000. 1. 23.까지의 가산금 2,760,000원 합계 금 102,760,000원이 구 파산법(2005. 3. 31. 법률 제7428호로 제정된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부칙 제2조로 폐지되기 전의 것, 이하 ‘구 파산법’이라고만 한다) 제38조 제2호 소정의 재단채권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여 원고의 청구를 인용한 제1심판결을 유지하였다. 그런데 헌법재판소는 2009. 11. 26.자 2008헌가9 결정에 의하여 구 파산법 제38조 제2호 본문의 “국세징수의 예에 의하여 징수할 수 있는 청구권” 중에서, “ 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55조의5 제2항에 의하여 국세체납처분의 예에 따라 징수할 수 있는 청구권으로서 제24조의2의 규정에 의한 과징금 및 제55조의5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가산금에 해당하는 부분”은 헌법에 위반된다는 결정을 하였는바,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의 효력은 위헌제청을 한 당해사건인 이 사건에 미치는 것이므로, 원심이 위 위헌결정으로 그 효력을 상실한 구 파산법 제38조 제2호 본문을 적용하여 원고의 청구를 인용한 제1심의 판단을 유지한 조치는 위법함을 면할 수 없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되, 이 사건은 이 법원이 직접 재판하기에 충분하므로 자판하기로 하여 제1심판결을 취소하고,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며, 소송총비용은 패소자인 원고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박시환(주심) 안대희 신영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제2차 납세의무자의 구상권, 파산재단에 대한 재단채권일까?

회사가 망해서 세금을 못 내자, 대신 세금을 낸 다른 회사가 파산한 회사 재산에서 그 돈을 돌려받을 권리는 '재단채권'으로 인정된다는 판결입니다. '재단채권'이란 망한 회사의 다른 빚보다 먼저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제2차 납세의무#구상권#재단채권#파산

민사판례

파산 후에 부과된 세금, 파산재단으로 갚아야 할까요?

회사가 파산하기 전에 세금을 탈루한 경우에도, 파산 선고 후에 세무서에서 탈루 사실을 적발하여 세금을 부과했다면, 그 세금은 파산 재단에서 우선적으로 변제해야 하는 재단채권이 아닙니다.

#파산#소득금액변동통지#조세채권#재단채권

민사판례

파산 후 발생한 세금, 누가 내야 할까요? - 파산재단과 재단채권, 파산채권 이야기

파산 선고 전에 발생한 세금에 대한 가산금이 파산 선고 *후*에 발생했다면, 이는 재단채권(파산 절차에서 우선적으로 변제되는 채권)이 아닙니다. 또한, 파산 선고 후에 발생한 세금은 파산관재인이 아닌 파산채무자가 납부해야 합니다.

#파산#세금#가산금#재단채권

민사판례

파산 후 대손세액 공제에 따른 부가가치세, 재단채권일까?

물건을 납품한 업체가 파산한 회사에 대한 대손세액 공제를 받은 후, 파산관재인이 파산회사의 매입세액에서 그만큼을 차감해야 하는데, 이 차감액에 대한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는 파산선고 이후에 발생하므로 재단채권이 아니다.

#파산#대손세액#부가가치세#재단채권

민사판례

파산재단 관련 재단채권자의 권리 행사, 허용될까?

파산한 회사에 돈을 빌려준 채권자(재단채권자)가 자기 돈을 돌려받기 위해, 파산한 회사의 파산관재인이 해야 할 일을 대신해서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재단채권자가 채권자대위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판결했습니다.

#파산#재단채권자#채권자대위권#파산관재인

일반행정판례

회생절차와 과징금, 그 뗄 수 없는 관계

기업이 회생절차 개시 *전에* 입찰 담합에 가담했고, 이에 대한 과징금 부과 처분이 회생절차 개시 *후에* 이루어진 경우, 해당 과징금 청구권은 회생채권으로 인정된다. 하지만 과징금 청구권을 회생채권으로 신고하지 않으면, 회생절차 종료 후에는 면책되어 징수할 수 없다.

#회생절차#입찰담합#과징금#회생채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