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산림)·절도·산림법위반

사건번호:

2006도3270

선고일자:

20070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피고인이 자작나무 조림지에서 자생하는 소나무를 굴취하여 다른 곳에 가식(假植)한 사안에서, 위 자작나무 조림지가 어린나무 가꾸기 대상임지이고 피고인의 소나무 굴취행위가 어린나무 가꾸기 작업에 해당한다고 보아 피고인의 위 행위가 구 산림법 시행규칙 제94조 제4항 제3호에 정한 허가예외사유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산림법(2005. 8. 4. 법률 제7678호로 폐지되기 전의 것) 제90조 제1항, 구 산림법 시행규칙(2006. 8. 4. 농림부령 제1533호로 폐지되기 전의 것) 제94조 제4항 제3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장기욱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6. 4. 27. 선고 2005노230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구 산림법(2005. 8. 4. 법률 제7678호로 폐지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90조 제1항은 산림 안에서 입목의 벌채, 임산물의 굴취ㆍ채취를 하고자 하는 자는 농림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장·군수 또는 지방산림관리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구 산림법 시행규칙(2006. 8. 4. 농림부령 제1533호로 폐지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94조 제4항 제3호는 ‘어린나무 가꾸기 또는 간벌대상임지에서 입목을 솎아내어 옮겨 심는 경우’ 위 허가없이 임산물을 굴취·채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과 대조하여 살펴보면, 피고인이 강원 정선군 임계면 임계리 (네 필지, 지번 생략) 각 임야 내 자작나무 조림지에서 자생하는 소나무를 굴취하여 다른 곳에 가식(假植)한 이 사건에서, 위 자작나무 조림지는 식재 후 7년 가까이 경과한 점, 이 사건 소나무는 조림목인 자작나무 사이에 자생하는 것으로 자작나무의 생장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유해수종에 해당하는 점 등에 비추어 위 각 임야 내 자작나무 조림지는 어린나무 가꾸기 대상임지이고, 피고인의 이 사건 소나무 굴취행위는 어린나무 가꾸기 작업에 해당하므로 피고인의 위 행위가 구 산림법 시행규칙 제94조 제4항 제3호 소정의 허가예외사유에 해당한다고 본 원심의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다고 할 것이다. 비록 피고인이 조경수목으로 판매할 목적으로 이 사건 소나무를 굴취하였고, 그 중 일부를 다른 곳에 판매하였다 하더라도 사후 용도에 따라 허가의 필요성 여부가 달라진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며, 또한 반드시 임목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낮은 지역으로 옮겨 심는 경우에만 위 제3호 소정의 허가예외사유에 해당한다고 볼 수도 없다. 따라서 원심판결에 구 산림법 시행규칙상 허가예외사유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는 취지의 상고논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능환(재판장) 김용담 박시환(주심) 박일환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나무를 옮겨 심으려면 허가가 필요할까? - 공익을 위한 나무 굴취 허가 거부

국토와 자연환경 보전 등 공익상 필요하다면 나무 굴취 허가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나무 굴취#허가 거부#공익#자연환경 보전

형사판례

도로구역 내 나무 굴취, 허가 받아야 할까?

도로 확장 공사로 도로구역에 포함된 땅의 나무를 소유자의 동의를 받아 굴취했을 경우, 관련 허가를 받지 않았더라도 처벌 대상이 아닐 수 있다는 판결.

#도로구역#나무굴취#허가의제#산림법위반

형사판례

나무 굴취, 어디까지 허락될까? - 뿌리 1/4 남아있으면 '굴취' 아니다!

허가 없이 나무를 굴취하는 것은 불법이지만, '굴취'는 나무가 땅에서 완전히 분리된 경우에만 해당합니다. 뿌리의 일부라도 땅에 남아있다면 굴취로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나무 굴취#완전 분리#뿌리#무죄

형사판례

산림훼손, 허가는 언제 필요할까? 행정기관의 안내를 믿었다면?

산림을 훼손하려면 산림법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다른 법률에 따라 허가가 면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공무원의 잘못된 안내를 믿고 허가 없이 산림을 훼손했더라도, 그 믿음에 정당한 이유가 있다면 처벌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산림훼손허가#면제요건#법률착오#정당한이유

형사판례

개발제한구역 내 나무 심기와 가지치기, 불법일까요?

개발제한구역 안에서 이미 골라진 땅에 관상수를 심고, 기존 임도에 나무를 심은 것은 땅의 형질 변경으로 보지 않아 무죄. 하지만, 관상수를 만들기 위해 나무의 굵은 줄기를 잘라낸 것은 산림 훼손으로 유죄.

#개발제한구역#나무심기#산림훼손#형질변경

민사판례

산림계가 조림사업 했다고 땅 주인이 되는 건 아니에요!

마을 산림계가 조합의 계획에 따라 나무를 심고 관리했더라도, 그 땅의 주인처럼 행세한 것이 아니라 위탁받아 일한 것이므로 땅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다.

#조림사업#자주점유#소유권#산림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