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류관리에관한법률위반(향정)

사건번호:

2006도941

선고일자:

200604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마약류 수사에 협조하기로 하고 마약류 매매행위의 알선에 착수하였으나 수사기관의 지시나 위임의 범위를 벗어나 마약류 매매대금을 개인적으로 취득할 의도하에 매매행위를 한 경우, 마약류 매매 범행의 범의가 인정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13조, 마약류관리에 관한 법률 제4조 제1항, 제60조 제1항 제3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6. 1. 12. 선고 2004노381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피고인이 수사기관의 마약류 수사에 협조하기로 하고 마약류의 매수인을 검거하고 마약류를 압수하기 위하여 마약류 매매행위의 알선에 착수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수사기관에 매매의 일시, 장소, 매수인 등에 관한 구체적인 보고를 하지 아니한 채 수사기관의 지시나 위임의 범위를 벗어나 마약류 매매대금을 개인적으로 취득할 의도하에 마약류 매매 행위를 하였다면, 피고인에게 마약류 매매 범행의 범의가 없었다고 할 수는 없다.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을 종합하여 판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인이 검찰의 마약류 수사에 협조하는 과정에서 수사기관으로부터 필로폰 매수인을 물색할 것을 허락받았고 그 과정에서 매수인을 검거하고 필로폰을 압수할 수 있도록 협조할 의사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피고인이 검찰에 필로폰 거래의 진행관계나 필로폰 매매대금의 처리문제 등에 관하여 아무런 보고도 하지 아니한 채 그 허락의 범위를 벗어나 필로폰 매수인으로부터 실제로 필로폰 대금을 지급받아 자신이 사용할 의도하에 필로폰을 판매하고자 한 이상, 피고인에게는 필로폰 매매에 관한 고의가 인정된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관계 증거와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고 채증법칙을 위반하여 사실을 오인하거나 범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으며, 원심의 증거취사와 재판과정에 어떤 위법이 있었던 것으로 인정되지도 아니한다. 또한,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피고인이 이 사건 범행 당시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심신장애의 상태에 있었다고 볼 수도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이강국 손지열(주심) 김용담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함정수사, 죄를 짓게 만드는 수사는 안 돼요!

경찰이 죄를 지을 생각이 없던 사람에게 덫을 놓아 죄를 짓게 만드는 함정수사는 위법하며, 이를 통해 얻은 증거로 기소된 경우 무죄가 된다.

#함정수사#무죄#위법수집증거#범죄유도

형사판례

함정수사, 어디까지 허용될까?

이 판례는 함정수사가 위법인지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합니다. 단순히 범행을 부탁하는 것만으로는 함정수사가 아니며, 수사기관이나 그 관련자가 적극적으로 범의를 유발했는지가 중요합니다.

#함정수사#위법성#판단기준#적극적 범의 유발

형사판례

함정수사로 잡힌 마약사범, 무죄?

수사기관이 범의가 없던 사람에게 계략을 써서 범죄(필로폰 수입)를 저지르도록 유도한 함정수사는 위법하며, 이를 근거로 한 기소는 무효입니다.

#함정수사#필로폰#수입#공소기각

형사판례

함정수사 아닌가요? 히로뽕 매매 미수 사건 이야기

이미 마약을 하려는 생각이 있던 사람에게 수사기관이 범행 기회를 제공한 것은 함정수사가 아니라는 판결.

#함정수사#히로뽕#매매미수#유죄

형사판례

함정수사와 확정된 판결에 대한 재심 청구

이 판례는 함정수사로 얻은 증거는 무효이며, 이미 대법원에서 판단이 끝난 부분은 다시 다툴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함정수사#확정판결#재상고#증거무효

형사판례

마약 팔려고 가지고만 있어도 처벌받나요?

마약을 팔려고 가지고 있다가 실제로 팔았거나 팔려고 시도했더라도, 판매 목적 소지죄는 따로 처벌받는다. 즉, 판매죄와 판매 목적 소지죄는 별개의 죄로 취급되어 동시에 처벌될 수 있다.

#마약#판매목적소지죄#판매죄(미수)#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