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위반(부정의약품제조등)·약사법위반

사건번호:

2006도988

선고일자:

200708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약사법의 규제 대상이 되는 의약품의 개념 및 판단 기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약사법(2007. 4. 11. 법률 제836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4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8. 2. 13. 선고 97도2925 판결(공1998상, 830), 대법원 2001. 7. 13. 선고 99도2328 판결(공2001하, 1890), 대법원 2004. 1. 15. 선고 2001도1429 판결(공2004상, 368)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변 호 인】 법무법인 율목 담당변호사 이승민외 1인 【원심판결】 부산고법 2006. 1. 12. 선고 2005노660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 경과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1. 약사법의 입법목적과 취지 그리고 의약품을 정의한 구 약사법(2007. 4. 11. 법률 제836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약사법’이라고만 한다) 제2조 제4항의 규정내용과 그 취지에 비추어 보면, 구 약사법에서 말하는 의약품은 제2조 제4항 제1호의 대한약전에 수재된 것 외에 사람 또는 동물의 질병의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에 사용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거나 혹은 사람 또는 동물의 신체의 구조 또는 기능에 약리적 기능을 미치게 하는 것이 목적으로 되어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단 기계기구, 화장품 제외)이라고 할 것이고 반드시 약리작용상 어떠한 효능의 유무와 관계없이 그 성분, 형상(용기, 포장, 의장 등), 명칭, 거기에 표시된 사용목적, 효능, 효과, 용법, 용량, 판매할 때의 선전 또는 설명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사회일반인이 볼 때 한 눈으로 의약품 아닌 식품에 불과한 것으로 인식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것이 위 목적에 사용되는 것으로 인식되거나 약효가 있다고 표방된 경우에는 이를 모두 의약품으로 보아 구 약사법의 규제대상이 된다고 해석함이 상당하다 ( 대법원 2004. 1. 15. 선고 2001도1429 판결 등 참조). 위와 같은 법리에 따라 기록을 살펴보면, 이 사건 ‘경신보원’은 그 성분과 제조방법 및 제조목적, 판매 및 선전방법 등에 비추어,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인식되거나 약효가 있다고 표방된 것으로서 구 약사법 제2조 제4항 제2호의 의약품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구 약사법 제2조 제4항의 의약품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들은 한의사로서 이 사건 경신보원이 위와 같은 의미에서의 의약품에 해당한다는 사정을 미필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이와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등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김황식 이홍훈(주심)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생활법률

내 약, 제대로 알고 먹자! 의약품 확인 A to Z

의약품의 정의, 종류(일반/전문/희귀/국가필수), 포장에 표시되어야 할 필수 정보(제조정보, 제품명, 성분, 효능/효과 등), 그리고 기재사항 위반 시 처벌 규정까지,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위한 필수 정보를 제공합니다.

#의약품#의약품 확인#의약품 종류#일반의약품

형사판례

금산인삼약초특산품, 의약품일까? 아닐까?

여러 약재를 혼합하여 제조, 판매한 '금산인삼약초특산품'이 의약품으로 인정되어 약사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례. 제품의 성분, 형태, 판매 방식, 사회적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의약품 여부를 판단.

#금산인삼약초특산품#약사법 위반#의약품#무허가 제조·판매

형사판례

약재 판매, 의약품 판매로 처벌받을 수 있을까? - 한약재 판매와 약사법 위반

단순히 세척, 건조, 절단한 한약재를 판매한 행위는 약사법 위반이 아니다. 의약품으로 인정되려면, 약효가 있다는 표시를 하거나 의약품처럼 포장하는 등의 행위가 있어야 한다.

#한약재#약사법 위반#의약품 판매#약효 표시

일반행정판례

약국 밖에서의 의약품 판매, 안될까요?

약국 개설자는 약국 이외의 장소(예: 인터넷 쇼핑몰)에서 의약품을 판매할 수 없습니다. 동물병원에 판매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약국개설자#인터넷 의약품 판매#약사법 위반#약국 외 판매 금지

생활법률

내 건강 지키는 첫걸음, 의약외품 똑똑하게 확인하기!

의약외품(살균소독제, 마스크, 밴드 등) 구매 시 '의약외품' 표시와 제품명, 제조정보, 성분, 효능/효과, 용법/용량, 주의사항 등 표시사항을 확인하고 첨부문서를 꼼꼼히 읽어 안전하게 사용해야 한다.

#의약외품#확인#표시사항#성분

형사판례

건강보조식품 광고, 함부로 하면 안 돼요!

건강보조식품이라도 광고에서 질병 치료 효과를 표방하면 약사법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다.

#건강보조식품#질병치료효과 광고#약사법 위반#의약품 오인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