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운전면허취소처분취소

사건번호:

2006두15035

선고일자:

200701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음주운전 시점으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 측정한 혈중알코올농도를 기초로 위드마크 공식만을 적용하여 산출한 혈중알코올농도 수치가 운전면허취소 등 행정처분의 기준이 될 수 있는지 여부(한정 소극)

판결요지

음주운전 시각이 혈중알코올농도가 최고치를 향하여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 속하는지 아니면 최고치에 이른 후 하강하고 있는 상황에 속하는지 확정할 수 없고 오히려 상승하는 상황에 있을 가능성이 농후한 경우에는, 그 음주운전 시점으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 측정한 혈중알코올농도를 기초로 이른바 위드마크 공식 중 시간경과에 따른 분해소멸에 관한 부분만을 적용하여 혈중알코올농도 측정시점으로부터 역추산하여 음주운전 시점의 혈중알코올농도를 확인할 수는 없으므로, 위와 같은 경우 그러한 위드마크 공식만을 적용한 역추산 방식에 의하여 산출해 낸 혈중알코올농도 수치는 해당 운전자에 대한 운전면허취소 등 행정처분의 기준이 될 수 없다.

참조조문

구 도로교통법(2005. 5. 31. 법률 제7545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41조(현행 제44조 참조), 제78조(현행 제93조 참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경기지방경찰청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6. 8. 10. 선고 2005누2713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음주운전 시각이 혈중알코올농도가 최고치를 향하여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 속하는지 아니면 최고치에 이른 후 하강하고 있는 상황에 속하는지 확정할 수 없고 오히려 상승하는 상황에 있을 가능성이 농후한 경우에는, 그 음주운전 시점으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 측정한 혈중알코올농도를 기초로 이른바 위드마크 공식 중 시간경과에 따른 분해소멸에 관한 부분만을 적용하여 혈중알코올농도 측정시점으로부터 역추산하여 음주운전 시점의 혈중알코올농도를 확인할 수는 없다 할 것이므로, 위와 같은 경우 그러한 위드마크 공식만을 적용한 역추산 방식에 의하여 산출해 낸 혈중알코올농도 수치는 해당 운전자에 대한 운전면허취소 등 행정처분의 기준이 될 수 없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고는 2005. 1. 29. 19:10 내지 19:50경 사이에 술을 마신 상태에서 같은 날 20:10경 자신의 자동차를 운전하였고, 같은 날 21:50경 호흡측정기에 의해 측정한 원고의 혈중알코올농도는 0.111%, 같은 날 23:25경 채취한 혈액을 감정 의뢰하여 측정한 원고의 혈중알코올농도는 0.114%이었으며, 약간의 개인차가 있기는 하나 통상 음주 후 30~90분이 경과하면 혈중알코올농도가 최고치에 이르는 사실, 피고가 혈액감정에 의해 측정한 위 혈중알코올농도 0.114% 및 위 혈액채취시로부터 호흡측정기에 의한 측정시까지의 95분을 기초로 이른바 위드마크 공식 중 시간경과에 따른 분해소멸에 관한 부분만에 의해 역추산하여 원고의 혈중알코올농도를 0.126%{=0.114%+0.012%(=0.008%×95분/60분)}로 인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2005. 3. 9. 원고의 제1종 자동차운전면허를 취소하는 이 사건 처분을 한 사실 등을 알 수 있다. 위에서 본 법리 및 여러 사실에 비추어 보면, 달리 볼 자료가 없으므로 원고에게 가장 유리한 전제사실, 즉 최종 음주 후 90분이 경과한 다음 혈중알코올농도가 최고치에 이른다는 것을 기초로 계산할 경우, 원고의 혈중알코올농도가 최고치에 이르는 시점은 원고의 최종 음주시각인 위 같은 날 19:50경으로부터 90분이 경과한 위 같은 날 21:20경이라고 할 것이고 원고의 위 운전시점은 그로부터 70분 전이어서 혈중알코올농도가 상승하는 상황에 있었다고 할 것인데, 피고가 이 사건 처분의 기준으로 삼은 원고의 위 혈중알코올농도 0.126%는 원고의 위 운전시점으로부터 195분이 경과한 후에 측정한 혈중알코올농도를 기초로 이른바 위드마크 공식 중 시간경과에 따른 분해소멸에 관한 부분만을 적용하여 역추산한 것이고, 더구나 원고의 위 운전시점의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한 것도 아니어서 이 사건 처분의 기준이 될 수 없고, 달리 원고가 위 운전시점에 혈중알코올농도 0.1% 이상의 주취상태에 있었음을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피고의 이 사건 처분은 부적법하여 취소를 면할 수 없다.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반, 심리미진, 도로교통법 제44조 소정의 술에 취한 상태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고현철 김지형 전수안(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혈중알코올농도 역추산, 위드마크 공식과 그 증명력에 대해 알아보자!

운전 직후 혈중알코올농도 측정이 불가능할 경우, 위드마크 공식을 이용해 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운전자에게 가장 유리한 최저 알코올 감소치(시간당 0.008%)를 적용해 계산한 결과는 증거로서 효력이 충분합니다.

#음주운전#혈중알코올농도#위드마크 공식#최저 감소치(0.008%)

형사판례

음주운전 혈중알코올농도 계산, 함부로 하면 안되는 이유

음주 측정 시점과 실제 운전 시점 사이에 시간 차가 있는 경우, 위드마크 공식을 이용해 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할 수 있지만, 이때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해야 하며, 특히 혈중알코올농도가 처벌 기준치를 근소하게 초과하는 경우에는 더욱 주의해야 한다는 판례.

#음주운전#혈중알코올농도#위드마크 공식#역추산

형사판례

술 마시고 운전? 위드마크 공식, 함부로 쓰면 안 돼요!

음주측정 시점과 실제 운전 시점 사이에 시간차가 있을 경우, 위드마크 공식을 사용하여 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를 추정할 수 있지만, 이때 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계산해야 하며, 특히 혈중알코올농도 수치가 법적 기준을 아슬아슬하게 넘는 경우에는 더욱 주의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위드마크 공식#음주운전#혈중알코올농도#개별 특성

형사판례

혈중알코올농도 역추산,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교통사고 후 시간이 지나 측정된 혈중알코올농도를 토대로 사고 당시의 혈중알코올농도를 역추산하는 위드마크 공식은 여러 변수를 고려해야 하며, 특히 계산 결과가 처벌 기준치를 근소하게 초과하는 경우라면 더욱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음주운전#혈중알코올농도#위드마크 공식#역추산

형사판례

혈중알코올농도 0.051%... 음주운전일까, 아닐까?

혈중알코올농도 측정 시점과 실제 운전 시점 사이에 시간차가 있는 경우, 위드마크 공식을 적용하여 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를 추정할 때는 개인의 특성과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특히, 계산된 혈중알코올농도가 법적 기준치를 아주 조금 넘는 경우라면 더욱 엄격하게 판단해야 한다.

#음주측정#위드마크 공식#시간차#신중한 판단

일반행정판례

음주운전 면허취소, 위드마크 공식, 그리고 입증책임

운전 후 시간이 지나 혈중알코올농도를 측정한 경우, 위드마크 공식을 이용해 운전 당시 혈중알코올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에게 가장 유리한 수치를 적용해도 0.05%를 넘으면 음주운전으로 인정될 수 있다.

#음주운전#위드마크 공식#혈중알코올농도#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