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06두18041

선고일자:

200711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비상장주식의 범위에 관한 구 소득세법 시행령 제157조 제5항 제2호에 정한 ‘대주주 등’의 의미 및 같은 법 시행령 제157조 제4항과 제5항 제2호가 ‘대주주 등’의 개념과 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하도록 하는 것이 조세법률주의에 위반하여 무효인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소득세법(2000. 12. 29. 법률 제62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제1항 제3호, 제94조, 구 소득세법 시행령(2000. 12. 29. 대통령령 제170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7조 제4항, 제5항 제2호(현행 삭제), 헌법 제59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양천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6. 10. 12. 선고 2006누420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구 소득세법(2000. 12. 29. 법률 제629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법’이라 한다)은 제4조 제1항 제3호에서 양도소득을 자산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으로 정하고 있고, 그 양도소득의 범위에 관하여 제94조는 당해연도에 발생하는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또는 출자지분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 제3호)’,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되지 아니한 주식 또는 출자지분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것의 양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소득( 제4호)’을 규정하며, 위 법 제94조 제3호의 규정에 따라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상장주식의 범위에 관하여 구 소득세법 시행령(2000. 12. 29. 대통령령 제1703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시행령’이라 한다) 제157조 제4항은 대주주 등이 양도하는 주식이라고 규정하면서, 그 양도주체인 ‘대주주 등’을 주식 등의 양도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 종료일 현재 ‘당해 법인의 주식 등의 합계액의 100분의 3 이상을 소유한 경우의 당해 주주 또는 출자자 1인(이하 ’주주 1인‘이라 한다) 및 그와 국세기본법 시행령 제20조의 규정에 의한 친족 기타 특수관계에 있는 자(이하 ’기타 주주‘라 한다) ( 제1호)’ 및 ‘주주 1인 및 기타 주주가 소유하고 있는 당해 법인의 주식 등의 시가총액이 100억 원 이상인 경우의 당해 주주 1인 및 기타 주주( 제2호)’로 규정하고, 이러한 ‘주주 1인’, ‘기타 주주’ 및 ‘대주주 등’의 개념을 거주자의 양도소득에 대한 납세의무에 관한 제3장에서 모두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보면, 위 법 제94조 제4호의 규정에 따라 양도소득세의 과세대상이 되는 비상장주식의 범위에 관하여 규정한 시행령 제157조 제5항 제2호에서의 ‘대주주 등’의 개념은 같은 조 제4항에서 ‘대주주 등’에 관하여 규정한 바와 같이 주식 등의 양도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 종료일 현재 ‘당해 주권상장법인 외의 법인의 주식 등의 합계액의 100분의 3 이상을 소유한 경우의 당해 주주 1인 및 기타 주주’와 ‘주주 1인 및 기타 주주가 소유하고 있는 당해 주권상장법인 외의 법인의 주식 등의 시가총액이 100억 원 이상인 경우의 당해 주주 1인 및 기타 주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시행령 제157조의 입법 취지와 함께 관련 소득세 법령의 각 규정들에 비추어 볼 때 시행령 제157조 제4항에서 대주주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정하고 있는 데다가 이는 주권상장법인의 경우뿐 아니라 협회등록법인의 경우에도 적용된다는 이유로, 시행령 제157조 제5항 제2호가 무효라는 취지의 원고 주장을 배척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것은 정당하고, 나아가 위 법 및 시행령에서 상장주식이나 비상장주식의 양도소득을 과세대상으로 하고 있는 입법 목적은 상장주식이나 비상장주식을 이용한 변칙증여 방지와 부동산 등 다른 자산을 양도하는 경우와의 과세형평에 있는 점, 비상장주식이라고 하더라도 상장주식 양도에 대한 양도소득세 부과와 마찬가지로 발생할 수 있는 주식시장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그 적용범위의 유연한 대응과 기업공개를 유도하기 위하여 과세대상 제외사유 등을 인정하여야 할 경제 정책적 필요가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시행령 제157조 제4항 및 제5항 제2호에서 상장주식이나 비상장주식의 양도소득 과세대상과 관련하여 ‘대주주 등’의 개념 및 기준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으로 입법이 이루어졌다고 하여, 이를 조세법률주의에 위반하여 무효라고 할 수는 없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시행령 제157조 제5항 제2호의 위법성을 무시하였다거나 판단을 유탈한 위법이 없다. 한편, 원고가 상고이유에서 들고 있는 대법원 1997. 7. 8. 선고 95누9822 판결은 이 사건과 사안을 달리하여 이 사건에서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못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현철(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부부가 보유한 상장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은?

상장회사 주식을 많이 보유한 대주주에게 양도소득세를 부과하는 기준이 헌법에 어긋나는지 여부를 다룬 소송에서, 대법원은 기준이 합헌이라고 판결했습니다.

#상장주식#양도소득세#대주주#합헌

형사판례

주식 양도세 대주주 판정과 세율 적용, 꼼꼼히 따져봐야 할까요?

상장회사 주식을 3% 이상 보유한 대주주에게 양도소득세를 부과하는데, 과거 주식을 보유하지 않다가 새로 취득하여 3% 이상을 소유하게 된 경우에도 대주주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양도소득세 계산 시 주식 취득 시점과 세율 적용이 정확했는지가 쟁점입니다. 법원은 새로 취득하여 3% 이상 보유하게 된 경우도 대주주에 포함되며, 양도소득세 계산 시 주식 취득 시점과 세율 적용에 오류가 있었다고 판단했습니다.

#상장주식#양도소득세#대주주#3%

세무판례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과 납세고지서의 적법성

3% 이상 주식을 보유한 대주주가 주식을 양도했을 때 부과되는 양도소득세 계산 방식과 관련된 소득세법 시행령 조항은 상위법에 위반되지 않고, 세금 고지서에 필요한 내용이 모두 기재되어 있으므로 적법하다는 판결입니다.

#주식#양도소득세#대주주#소득세법 시행령

세무판례

비상장주식 양도세 계산, 어떻게 할까요? (쟁점 정리)

1998년 이전에 취득한 비상장주식을 양도할 때, 양도소득세 계산을 위한 취득가액은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중소기업으로서 세금 감면을 받을 수 있는지는 언제를 기준으로 판단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비상장주식#양도소득세#취득가액#중소기업

세무판례

비상장주식 양도가액 평가와 관련된 증권거래세 & 증여세

비상장주식을 양도할 때 세금 계산의 기준이 되는 양도가액을 평가할 때, 가장납입금도 회사 재산에 포함해야 하고, 회사를 싸게 넘기면서 가장납입금을 빼는 식으로 세금을 적게 내려는 시도는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결.

#비상장주식#양도가액#가장납입금#저가양도

세무판례

증여세와 양도소득세 이중과세, 그리고 비상장주식 가치 평가 시 부외채무

비상장주식을 낮은 가격에 양도한 경우, 증여세와 양도소득세를 동시에 부과할 수 있는지, 그리고 주식 가치를 평가할 때 장부에 기록되지 않은 빚(부외채무)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법원은 증여세와 양도소득세는 별개의 세금이므로 둘 다 부과할 수 있고, 부외채무를 주식 가치 평가에 반영할지는 납세자가 입증해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증여세#양도소득세#중복과세#비상장주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