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처분취소

사건번호:

2006마829

선고일자:

20060928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제소명령 불이행을 이유로 한 보전처분 취소결정에 대한 즉시항고에 관하여 적용되는 법령(=민사소송법상 즉시항고에 관한 규정)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집행법 제15조, 민사소송법 제444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5. 8. 2.자 2005마201 결정(2005하, 1544), 대법원 2006. 5. 22. 자 2006마313 결정

판례내용

【신청인, 상대방】 【피신청인, 재항고인】 【원심결정】 대전고법 2006. 7. 7.자 2005라79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전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1. 원심의 판단 원심은, 제소명령 불이행을 이유로 민사집행법 제287조 제3항에 따라 이 사건 가처분을 취소한 제1심결정에 불복하여 피신청인이 제기한 즉시항고에 대하여, 제소명령 불이행을 이유로 한 가처분 취소결정도 집행절차에 관한 집행법원의 재판에 해당하고, 그 즉시항고에 관해서는 민사집행법상 즉시항고에 관한 규정인 민사집행법 제15조가 적용됨을 전제로, 피신청인이 즉시항고장에 항고이유를 적지 아니하였고 항고장을 제출한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항고이유서를 제출하지도 않았다는 이유로 이 사건 즉시항고를 각하한 제1심법원의 결정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2. 당원의 판단 그러나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수긍하기 어렵다. 보전처분에 대한 제소명령절차는 집행에 관한 절차가 아니므로, 제소명령 불이행을 이유로 한 보전처분 취소결정은 민사집행법 제15조의 ‘집행절차에 관한 집행법원의 재판’에 해당한다고 볼 수는 없고 ( 대법원 2005. 8. 2.자 2005마201 결정, 2006. 5. 22.자 2006마313 결정 등 참조), 따라서 그에 대한 즉시항고에 관해서는 민사집행법 제15조가 아니라 민사소송법상 즉시항고에 관한 규정이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가처분 취소결정에 대한 즉시항고에 관하여 민사집행법 제15조가 적용됨을 전제로 이 사건 즉시항고를 각하한 제1심결정을 그대로 유지한 데에는 제소명령절차와 민사집행법 제15조의 적용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재판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할 것이다. 3. 결 론 그러므로 재항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고현철 김지형 전수안(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가처분 인용 결정에 불복하는 방법

법원이 가압류 또는 가처분 신청을 받아들인 결정에 대해서는 재항고나 즉시항고를 할 수 없고, 이의신청만 가능합니다.

#가압류#가처분#인용결정#재항고불가

민사판례

가처분 취소 후 간접강제결정에 대한 불복, 어떻게 해야 할까?

법원의 가처분 결정이 취소된 후, 그에 따라 이루어진 간접강제결정의 취소에 불복할 때는 즉시항고가 아니라 '집행에 관한 이의'를 제기해야 합니다. 설령 즉시항고장을 제출하더라도 법원은 이를 집행에 관한 이의로 보아 처리해야 합니다.

#가처분 취소#간접강제결정 취소#집행에 관한 이의#즉시항고

민사판례

즉시항고이유서 미제출과 즉시항고 각하

강제집행정지 신청이 기각되고, 이에 대한 특별항고마저 기각된 경우, 이 기각 결정에 불복하여 제기하는 즉시항고는 민사집행법이 아닌 민사소송법의 적용을 받으므로, 즉시항고이유서 미제출을 이유로 즉시항고를 각하할 수 없다.

#강제집행정지#특별항고 기각#즉시항고#민사소송법

민사판례

집행이의신청 기각 결정에 대한 불복 방법: 즉시항고 vs. 특별항고

집행에 관한 이의신청 기각 결정에 대해 잘못된 항고 방식(즉시항고)을 사용했더라도, 법원은 이를 특별항고로 보고 내용을 심리해야 한다.

#특별항고#즉시항고#집행이의#대법원

민사판례

가집행 판결에 대한 강제집행 정지, 어떻게 불복할까요?

가집행선고가 붙은 판결에 불복하여 상소하면서 강제집행 정지를 신청했을 때, 법원이 이를 인용하거나 기각한 결정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항고가 아닌 특별항고만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신청 자체의 형식적인 요건을 갖추지 못해 각하된 경우에는 즉시항고가 가능합니다.

#가집행선고#강제집행정지#특별항고#즉시항고

민사판례

가처분 취소와 제소명령, 소송대리권에 관하여

가처분 신청을 대리한 변호사는 별도의 위임 없이도 가처분과 관련된 제소명령 사건도 대리할 수 있으며, 제소명령에서 정해진 기간 내에 소송을 제기하지 않으면 가처분은 취소됩니다.

#가처분#제소명령#소송대리권#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