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무효(특)

사건번호:

2006후2455

선고일자:

200706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특허법 제47조, 제48조, 제49조에 정한 보정의 한계로서 요지변경에 해당하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특허출원서에 최초로 첨부된 명세서 등에 기재된 사항’의 의미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특허법(2001. 2. 3. 법률 제641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7조, 제48조, 제49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2. 9. 27. 선고 2000후2781 판결(공2002하, 2620), 대법원 2003. 2. 28. 선고 2001후638, 645 판결(공2003상, 942)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주식회사 선진비알티 【피고, 피상고인】 사이버씨브이에스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리사 이노성) 【원심판결】 특허법원 2006. 7. 7. 선고 2005허545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기간이 지난 후 제출된 보충이유는 이를 보충하는 범위에서)를 본다. 구 특허법(2001. 2. 3. 법률 제641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7조, 제48조, 제49조에 의하면 특허출원인은 일정한 기간 내에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특허출원서에 첨부된 명세서 또는 도면을 보정할 수 있고, 위와 같은 보정이 특허권의 설정등록이 있은 후에 인정된 때에는 그 특허출원 전체의 출원일이 그 보정서를 제출한 때로 늦추어지게 되는 것인바, 특허출원서에 최초로 첨부된 명세서 또는 도면(이하 ‘최초 명세서 등’이라 한다)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안에서 특허청구범위를 증가·감소 또는 변경하는 보정은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보지만, 여기에서 ‘최초 명세서 등에 기재된 사항’이란 최초 명세서 등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사항이거나 또는 명시적인 기재가 없더라도 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한다)라면 출원시의 기술상식에 비추어 보아 보정된 사항이 최초 명세서 등에 기재되어 있었다고 인정할 수 있을 정도로 자명한 사항이라야 하고, 이와 같은 ‘최초 명세서 등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를 벗어나는 보정은 요지의 변경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 대법원 2003. 2. 28. 선고 2001후638, 645 판결 참조).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그 판시와 같은 사정을 들어 명칭을 “바코드가 인쇄된 문서와 지로장표의 무인 접수 시스템 및 방법”으로 하는 원고의 이 사건 특허발명(특허번호 제407576호)의 특허청구범위의 보정은 요지변경에 해당한다고 본 다음, 이 사건 특허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제1 내지 4항은 그 보정서 제출일 이전에 공개된 이 사건 특허발명의 공개특허공보(특2001-106280)에 의하여 그 진보성이 부정된다고 판단하였음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명세서의 보정과 요지변경, 발명의 진보성 등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고현철 김지형 전수안(주심)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특허 보정, 어디까지 가능할까? - 요지 변경과 그 결과

특허 출원 후 명세서 등을 보정할 때, 처음 출원 내용의 핵심을 바꾸면(요지변경) 보정일이 새로운 출원일이 된다. 이 경우, 보정일 이전에 이미 공개되거나 사용된 기술이라면 특허가 무효될 수 있다.

#특허#보정#요지변경#무효

특허판례

특허 정정, 어디까지 고칠 수 있을까? - 정정 보정의 허용 범위

특허 정정 심판에서, 이미 청구한 정정 내용을 나중에 수정하려면 (보정), 처음 정정 청구의 핵심 내용을 바꾸지 않는 작은 수정만 허용된다. 완전히 새로운 정정을 추가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특허 정정 심판#정정 보정#허용 범위#경미한 수정

특허판례

디자인 출원 보정, 어디까지 허용될까?

의장등록출원 후 보정(수정)을 할 때, 원래 출원 내용의 핵심을 바꾸는 '요지변경'에 해당하는 보정은 별도의 결정 절차를 거쳐 확정해야 합니다. 심사 과정에서 이를 간과했다면 항고심판에서라도 바로잡아야 합니다.

#의장등록출원#보정#요지변경#보정각하결정

특허판례

실용신안 보정, 어디까지 허용될까? 요지 변경의 의미와 범위

실용신안 출원 후 명세서나 도면을 수정하는 '보정'은 단순히 불명확한 내용을 명확하게 하는 것은 허용되지만, 발명의 핵심 내용을 바꾸는 '요지 변경'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 판례는 보정과 요지 변경의 경계를 명확히 합니다.

#실용신안#보정#요지변경#칸막이

특허판례

특허 명세서 보정, 어디까지 허용될까? - 요지 변경의 함정

특허 출원 후 명세서를 보정할 때, 최초 출원 내용의 핵심을 바꾸면 안 된다는 판례입니다. 단순히 설명을 명확하게 하는 수준을 넘어, 발명의 범위나 핵심 기술 사상을 변경하는 보정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특허 명세서 보정#요지 변경#단일패스형#다중패스형

특허판례

특허 심사 과정에서의 청구항 보정, 어디까지 허용될까?

특허 출원 후 심사 과정에서 청구항을 보정할 때, 기존 명세서에 포함된 내용을 바탕으로 단순히 내용을 추가하는 경우는 실질적인 변경으로 보지 않는다는 판결.

#특허#청구항 보정#실질적 변경#명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