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

사건번호:

2007도1780

선고일자:

200705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기망행위를 수단으로 한 권리행사가 사기죄를 구성하는 경우 [2] 산업재해보상보험 요양신청서에 부상 발생경위를 허위로 기재하는 등의 부정한 방법으로 요양신청을 하여 산업재해보상 보험급여를 지급받은 경우 사기죄에 있어서의 기망행위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347조 / [2] 형법 제347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7. 10. 14. 선고 96도1405 판결(공1997하, 3551), 대법원 2003. 6. 13. 선고 2002도6410 판결(공2003하, 1557), 대법원 2003. 12. 26. 선고 2003도4914 판결(공2004상, 298)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서부지법 2007. 2. 2. 선고 2006노127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기망행위를 수단으로 한 권리행사의 경우 그 권리행사에 속하는 행위와 그 수단에 속하는 기망행위를 전체적으로 관찰하여 그와 같은 기망행위가 사회통념상 권리행사의 수단으로서 용인할 수 없는 정도라면 그 권리행사에 속하는 행위는 사기죄를 구성한다( 대법원 2003. 6. 13. 선고 2002도6410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이름 생략)연합회의 하계수련대회를 진행하던 중 술에 취한 상태에서 위 연합회의 다른 임원들과 말다툼을 하다가 홧김에 스스로 화장실 유리문을 발로 차는 바람에 깨진 유리조각에 오른쪽 발을 찔리는 상해를 입은 사실, 그럼에도 피고인은 “회사 하계수련대회 기간에 체력증진을 위한 훈련을 하던 중 모래사장을 맨발로 뛰다가 유리에 발을 찔려 상처를 입었다”라고 허위 내용의 산업재해보상보험 요양신청서를 작성한 후 피해자 근로복지공단에 제출하여 산업재해보상 보험급여를 지급받은 사실을 인정할 수 있는바, 피고인이 위와 같이 산업재해보상보험 요양신청서에 부상 발생경위를 허위로 기재하는 등의 부정한 방법으로 요양신청을 하여 산업재해보상 보험급여를 지급받았다면, 이는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자체로 이미 사회통념상 권리행사의 수단으로서 용인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서 사기죄에 있어서의 기망행위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설령 피고인이 산업재해보상 보험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는 지위에 있었다고 하더라도 위와 같은 판단에 영향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피고인을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유지한 것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업무상 재해 또는 사기죄에 있어서의 기망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황식(재판장) 김영란 이홍훈 안대희(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산재 보험금 부정 수급, 사기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업무상 재해를 입은 사실이 없는데도 허위 서류로 산재보험금을 받으면 사기죄가 성립한다.

#허위 산재 신청#사기죄#산재보험금#기망행위

상담사례

쉬는 시간 회사 헬스장에서 운동하다 다쳤는데… 산재 될까요?

회사 헬스장에서 쉬는 시간에 운동하다 다쳐도 업무 관련성을 입증하면 산재 승인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회사 헬스장#운동 중 부상#산재#판례

생활법률

회사 행사, 야유회에서 다치면 산재일까? (feat. 제3자 폭행)

회사 행사 중 사고는 회사의 지배·관리 하에 있고, 사회통념상 노무관리 또는 사업 운영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또는 제3자 가해 행위를 유발할 수 있는 성질의 업무 중 발생한 경우 산재로 인정될 수 있다.

#회사 행사#야유회#산재#사고

상담사례

회사 축구 동호회, 다치면 산재 될까요? ⚽️🤕

회사 동호회 활동 중 부상은 회사의 관여(주최/지시, 시간/장소, 참여 강제성, 지원, 업무 관련성 등) 정도에 따라 산재 인정 여부가 결정된다.

#회사동호회#산재#부상#회사관여

일반행정판례

회사 체력단련실에서 사고, 산재 인정될까?

회사가 제공한 체력단련실에서 작업 전 근력 운동을 하다가 사고로 사망한 경우, 업무상 재해로 인정된다는 판례입니다.

#업무상 재해#체력단련실#사망#근력운동

생활법률

🤯 회사에서 다쳤어요! 산재 될까요? (업무상 재해 인정 범위)

직장 내 사고는 근로계약에 따른 업무수행, 업무상 필요적 부수행위, 회사 시설 결함 등으로 발생 시, 그리고 휴게시간 중이라도 회사의 지배·관리 하에 있거나 천재지변 등으로 사업장 내에서 일어난 경우 산재로 인정될 수 있다. 하지만 개별 사건의 상황에 따라 판단이 달라질 수 있다.

#산재#업무상 재해#업무수행#근로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