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자금법위반

사건번호:

2007도4721

선고일자:

200711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정치자금법 제34조에 따라 회계책임자와 정치자금 예금계좌를 신고한 후 지출하는 정치자금의 경우, 그 지출사유의 발생시기에 관계 없이 회계책임자와 위 예금계좌를 통하여 지출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2] 정치자금법 제34조에 따라 회계책임자와 정치자금 예금계좌를 신고한 후에는, 그 전에 이미 지출사유가 발생한 정치자금이라 하더라도 정치자금법 제36조가 적용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정치자금법 제34조 / [2] 정치자금법 제34조, 제3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7. 5. 30. 선고 2007노84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1. 정치자금법 제34조는, 공직선거의 후보자·예비후보자(선거사무소 및 선거연락소의 회계책임자를 선임하는 경우를 말한다)는 정치자금의 수입과 지출을 담당하는 회계책임자 1인을 공직선거의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자 중에서 선임하여 지체 없이 관할 선거관리위원회에 서면으로 신고하여야 하고( 제1항), 회계책임자를 신고하는 때에는 정치자금의 수입 및 지출을 위한 예금계좌를 첨부하여야 한다( 제4항)고 규정하고 있고, 제36조는, 공직선거의 후보자·예비후보자의 정치자금 수입·지출은 그 회계책임자(공직선거의 후보자·예비후보자의 경우 그 선거사무소·선거연락소의 회계책임자를 말한다)만이 이를 할 수 있고( 제1항), 회계책임자가 정치자금을 수입·지출하는 경우에는 제34조(회계책임자의 선임신고 등) 제4항의 규정에 의하여 관할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된 예금계좌를 통해서 하여야 한다( 제2항)고 규정하고 있는바, 정치자금법이 정치자금의 적정한 제공을 보장하고, 그 수입과 지출내역을 공개하여 투명성을 확보하며 정치자금과 관련한 부정을 방지함으로써 민주정치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점, 정치자금법 제36조가 그 적용범위를 그 지출사유가 그 회계책임자 및 정치자금 예금계좌의 신고 후에 발생한 정치자금으로 한정하고 있지 아니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정치자금법 제34조에 따라 회계책임자 및 정치자금 예금계좌를 신고한 후 지출되는 정치자금의 경우에는 그 지출사유의 발생시기에 관계없이 회계책임자에 의하여, 그 신고된 예금계좌를 통하여 지출되어야 한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달리 정치자금법 제34조에 따라 회계책임자 및 정치자금 예금계좌를 신고하기 이전에 이미 그 지출사유가 발생한 정치자금에 대하여는 정치자금법 제36조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취지의 상고이유의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2. 원심은, 그 채용증거들을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들을 인정하고, 그 인정사실들과 정치자금법의 관련 규정들에 의하면, 피고인이 공소외인에게 지급한 합계 1,400만 원은 2006. 5. 31. 실시된 제4대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의 송파구청장으로의 당선과 한나라당의 서울 송파구청장 후보 공천과 관련하여 정치컨설팅 등을 받은 대가로 지급한 돈으로서 설령 선거비용에 해당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예비후보자인 피고인의 정치활동을 위하여 소요된 비용으로서 정치자금법에서 정한 정치자금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을 모두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는바, 관련 법리 및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 인정 및 판단은 옳고,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채증법칙을 위반하거나 정치자금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 등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주심)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선거 자금, 누가 관리하나요? 회계책임자와 보조자의 역할

선거 후보자가 회계책임자를 겸임하며 보조자에게 단순히 송금 지시만 한 경우, 보조자의 정치자금 지출은 위법이 아니다.

#정치자금법#회계책임자#보조자#지출

형사판례

선거자금? 내 돈 빌려 쓴 것도 신고해야 하나요?

선거 후보자가 개인에게서 돈을 빌려 선거자금으로 쓰고, 그 돈을 신고된 계좌에 입금했더라도, 회계 보고 시 빌린 돈이라는 사실을 밝히지 않았다고 해서 처벌할 수는 없다는 판결.

#선거자금#차용금#회계보고#무죄

형사판례

선거비용, 회계책임자 선임 전에는 내 맘대로 써도 될까?

선거 후보자가 회계책임자를 정식으로 선임하고 신고하기 *전*에는 선거비용을 위한 계좌를 만들어 신고할 의무가 없으므로, 계좌 없이 선거비용을 지출했다 하더라도 처벌할 수 없다.

#선거비용#회계책임자#선임 전#예금계좌

형사판례

정치자금, 후원회 통해야만 받을 수 있을까요? 후원회 없이 직접 받으면 불법일까요?

선거 후보자가 후원회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정치자금을 받으면 정치자금법 위반입니다. 직접 받더라도 30일 이내에 후원회에 전달하면 괜찮지만, 그러지 않으면 처벌받습니다.

#정치자금법 위반#후원회#직접 기부#30일 이내 전달

형사판례

정치자금, 함부로 쓰면 안 돼요! 횡령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정치자금은 정치활동에만 써야 하며, 개인적인 용도나 부정한 목적으로 사용하면 안 됩니다. 법원은 돈을 쓴 목적, 상대방, 금액, 전후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부정 사용 여부를 판단합니다.

#정치자금#부정사용#판단기준#사적경비

형사판례

정치자금, 개인적으로 받으면 안 돼요!

정당의 지구당 위원장이 후원금을 개인적으로 받아 사용한 경우, 후원회 명의의 영수증을 발급했더라도 불법 정치자금 수수로 처벌받는다.

#불법 정치자금 수수#지구당 위원장#후원금#개인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