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위반

사건번호:

2007도4904

선고일자:

2007090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근로기준법 제15조에 정한 사용자의 한 유형인 ‘사업경영담당자’의 의미 및 판단 기준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근로기준법(2007. 4. 11 법률 제8372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조(현행 제2조 제1항 제2호 참조)

참조판례

대법원 1988. 11. 22. 선고 88도1162 판결(공1989, 38), 대법원 1997. 11. 11. 선고 97도813 판결(공1997하, 3907), 대법원 2006. 5. 11. 선고 2005도8364 판결(공2006상, 1092)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들 【원심판결】 전주지법 2007. 5. 31. 선고 2005노11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1. 피고인 2의 상고이유를 본다. 구 근로기준법(2007. 4. 11. 법률 제8372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15조는, “이 법에서의 사용자라 함은 사업주 또는 사업경영담당자 기타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위하는 자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여기에서 사업경영담당자란 사업경영 일반에 관하여 책임을 지는 자로서 사업주로부터 사업경영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포괄적인 위임을 받고 대외적으로 사업을 대표하거나 대리하는 자를 말하는바, 근로기준법이 같은 법 각 조항에 대한 준수의무자로서의 사용자를 사업주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사업경영담당자 등으로 확대한 이유가 노동현장에 있어서 근로기준법의 각 조항에 대한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적 배려에 있는 만큼, 사업경영담당자란 원칙적으로 사업경영 일반에 관하여 권한을 가지고 책임을 부담하는 자로서 관계 법규에 의하여 제도적으로 근로기준법의 각 조항을 이행할 권한과 책임이 부여되었다면 이에 해당하고, 반드시 현실적으로 그러한 권한을 행사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 대법원 1997. 11. 11. 선고 97도813 판결 참조). 위 법리 및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유한회사 신우종합건설의 공동대표이사인 피고인 2가 공동대표권을 피고인 1에게 위임하여 위 회사에서 실질적인 업무를 수행한 바 없다고 하여도 위 회사로부터 부여받은 임금 등의 지급에 관한 권한이나 책임이 소멸되지 않으므로 이 사건 금품청산의무위반에 대한 책임을 부담하여야 할 사용자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조치는 정당하고,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근로기준법의 목적과 정의실현, 법의 형평성에 반하거나, 근로기준법 소정의 사용자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 등이 없다. 2. 피고인 1의 상고에 대하여 피고인 1은 법정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였고 상고장에도 상고이유의 기재가 없으므로 형사소송법 제380조에 의하여 결정으로 상고를 기각하여야 하나, 피고인 2의 상고와 일괄하여 판결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한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주심) 김황식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요양병원 대표, 직원 임금 체불로 유죄 확정! 병원 '실질적 경영자' 책임 물어...

법적으로 대표가 아니더라도 실제로 회사를 운영한 사람이라면 근로자 임금 체불 등의 책임을 져야 한다.

#요양병원#임금 체불#실질적 경영자#처벌

형사판례

회사가 어려워도 임금은 꼭 줘야 할까? - '사용자'의 책임과 임금 체불

등기부상 대표이사에서 사임했더라도 실제로 회사를 경영하면 근로기준법상 '사용자'로서 임금 체불 등에 대한 책임을 진다. 또한, 회사 이사라도 실제로 근로를 제공하고 급여를 받았다면 근로기준법상 '근로자'로 인정될 수 있다.

#사용자#근로자#임금체불#대표이사

형사판례

회사 이사도 근로기준법상 '사용자'일까?

회사 이사가 근로자 고용, 급여 지급 등 실질적으로 근로자 관련 업무를 처리했다면, 근로기준법상 '사용자'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즉, 대표이사뿐 아니라 이사도 근로기준법 위반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이사#근로기준법#사용자#책임

형사판례

사장님이 대표 자리에서 물러나도 여전히 사장님? - 근로기준법상 사용자

명목상으로 대표이사에서 물러났더라도 실제로는 회사를 지배하고 경영하는 사람은 근로기준법상 '사용자'로서 책임을 져야 한다.

#사용자#실질적 경영권#대표이사 사임#근로기준법

형사판례

공동 경영하던 스포츠센터, 임금체불 책임은 누구에게?

동업으로 사업을 운영하더라도 사업자등록 명의자는 근로자에 대한 임금 지급 의무를 면할 수 없으며, 경영악화 등을 이유로 임금을 체불하면 형사처벌 대상이 된다.

#임금체불#사업자등록명의자#동업#형사처벌

형사판례

바지사장, 근로기준법 위반으로 처벌될까?

단순히 서류상으로만 대표이사로 등재되어 있고 실제로는 회사 경영에 전혀 관여하지 않는 명목상 대표이사는 근로기준법상 '사용자'로 볼 수 없다.

#명목상 대표이사#근로기준법#사용자#경영 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