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의성보호에관한법률위반(청소년강간등)

사건번호:

2007도4962

선고일자:

200710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고소능력의 정도 및 고소능력이 없던 피해자가 후에 고소능력이 생긴 경우 고소기간의 기산점(=고소능력이 생긴 때) [2] 강간 피해 당시 14세의 정신지체아가 범행일로부터 약 1년 5개월 후 담임교사 등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사실을 말하고 비로소 그들로부터 고소의 의미와 취지를 설명듣고 고소에 이른 경우, 위 설명을 들은 때 고소능력이 생겼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1] 고소를 함에는 고소능력이 있어야 하는바, 이는 피해를 받은 사실을 이해하고 고소에 따른 사회생활상의 이해관계를 알아차릴 수 있는 사실상의 의사능력으로 충분하므로 민법상의 행위능력이 없는 자라도 위와 같은 능력을 갖춘 자에게는 고소능력이 인정되고, 범행 당시 고소능력이 없던 피해자가 그 후에 비로소 고소능력이 생겼다면 그 고소기간은 고소능력이 생긴 때로부터 기산하여야 한다. [2] 강간 피해 당시 14세의 정신지체아가 범행일로부터 약 1년 5개월 후 담임교사 등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사실을 말하고 비로소 그들로부터 고소의 의미와 취지를 설명듣고 고소에 이른 경우, 위 설명을 들은 때 고소능력이 생겼다고 본 사례.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223조, 제230조 제1항 / [2] 형사소송법 제223조, 제230조 제1항,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10조 제4항,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19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87. 9. 22. 선고 87도1707 판결(공1987, 1681), 대법원 1995. 5. 9. 선고 95도696 판결(공1995상, 2147), 대법원 1999. 2. 9. 선고 98도2074 판결(공1999상, 510), 대법원 2004. 4. 9. 선고 2004도664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허명외 2인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7. 5. 31. 선고 2007노2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한이 경과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안에서)를 판단한다. 1. 고소를 함에는 소송행위능력, 즉 고소능력이 있어야 하는바, 고소능력은 피해를 받은 사실을 이해하고 고소에 따른 사회생활상의 이해관계를 알아차릴 수 있는 사실상의 의사능력으로 충분하므로 민법상의 행위능력이 없는 자라도 위와 같은 능력을 갖춘 자에게는 고소능력이 인정되고( 대법원 1999. 2. 9. 선고 98도2074 판결, 대법원 2004. 4. 9. 선고 2004도664 판결 참조), 범행 당시 피해자에게 고소능력이 없었다가 그 후에 비로소 고소능력이 생겼다면 그 고소기간은 고소능력이 생긴 때로부터 기산하여야 한다( 대법원 1987. 9. 22. 선고 87도1707 판결, 대법원 1995. 5. 9. 선고 95도696 판결 참조). 이 사건 공소사실은 친고죄인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10조 제4항에 해당하는 범죄로서 이 사건 고소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19조 제1항에 따른 고소기간인 1년이 경과된 후에 제기되기는 하였으나, 원심은 그 설시의 증거를 종합하여 피해자가 이 사건 범행 당시인 2004. 4. 23.경 14세 4개월 남짓의 나이였으나, 이 사건 범행 후 약 1년 7개월 후에 실시된 면담 및 심리검사결과에 따르면 심리검사 당시의 피해자의 나이는 15세 11개월 남짓임에도 그 지능지수 49로 정신지체 수준에 해당하고 발달성숙도 및 사회적응성이 10세 1개월 수준에 불과하다는 것이고, 비록 피해자가 자발적인 의사표현이 가능하고 기본적인 대상 명명 및 인식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자신의 이름과 가족 이름을 비롯한 나이, 집주소, 전화번호 등과 같은 기본적인 신변사항에 대하여 정확히 보고할 정도의 능력이 있으나, 10단위 이하의 간단한 덧셈과 뺄셈만 가능하고 그 이상의 계산이 불가능하여 수 개념 형성이 미흡한 상태이고 간단한 읽기와 쓰기 정도의 문자해독력을 가지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는 것인바, 이러한 피해자의 정신 상태와 지적 능력, 이 사건 범행일시는 위 심리검사일로부터 약 1년 7개월 이전이어서 이 사건 범행 당시의 피해자의 정신능력은 심리검사 당시의 정신능력에 비하여 더 낮은 수준이었을 것으로 보이는 점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범행 당시의 피해자로서는 자신이 피해를 받은 사실을 이해하고 고소에 따른 사회생활상의 이해관계를 알아차릴 수 있는 사실상의 의사능력이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없고, 이 사건 범행일로부터 약 1년 5개월 후인 2005. 9. 14. 피해자가 재학중이던 (이름 생략)학교(정신지체아 교육기관)의 기숙사 생활지도원과의 상담 중에 이 사건 범행사실을 말함으로써 담임교사와 할머니 등 주위 사람들에게 이 사건 범행사실이 알려지게 되어 피해자가 그들로부터 고소의 의미와 취지 등을 설명 듣고 그 무렵 비로소 고소능력이 생겨 그로부터 1년 내인 2006. 6. 5. 이 사건 고소에 이르게 된 것으로 봄이 타당하므로 이 사건 고소는 고소기간 내에 제기된 것으로 적법하다고 판단하였는바, 이러한 원심의 판단은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고소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원심은 그 설시의 증거를 종합하여 피고인이 판시와 같이 위력으로써 여자 청소년인 피해자를 간음한 사실을 인정하여 유죄로 판단하였는바, 이러한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사실심 법관의 합리적인 자유심증에 따른 것으로서 기록에 비추어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심리미진 또는 채증법칙 위반 등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황식(재판장) 김영란 이홍훈 안대희(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어린 나이에 범죄 피해를 입었다면? 고소기간은 언제부터?

미성년자가 성범죄 피해를 당했을 경우, 고소할 수 있는 나이가 된 시점부터 고소 기간을 계산합니다.

#미성년자 성범죄#고소기간#고소능력#형사소송법

민사판례

아동·청소년 성폭력, 손해배상 청구는 언제까지 가능할까?

아동·청소년 성폭력 사건에서 피해자가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의 소멸시효가 언제부터 시작되는지 판단하는 기준을 명확히 제시. 단순히 피해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불법행위라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인지해야 소멸시효가 시작됨. 특히 성폭력 사건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피해자가 법적 대응에 나서게 된 경위, 가해자의 태도, 형사재판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함.

#아동·청소년 성폭력#손해배상#소멸시효#기산점

생활법률

성폭력, 더 이상 침묵하지 마세요: 고소, 시효, 그리고 당신의 권리

성폭력 고소는 피해자 본인, 법정대리인, 사망 시 특정 유족이 가능하며, 친고죄 폐지로 고소 없이도 수사 가능하고, DNA 증거 확보 시 공소시효 연장, 특정 경우 공소시효 적용 배제 등 피해자 보호가 강화되었다.

#성폭력 고소#고소권자#고소 방식#친족 고소

형사판례

지적 장애 청소년과의 성관계, 처벌 가능할까?

지적 장애가 있는 미성년자와 성관계를 갖고 사진을 촬영한 행위는, 해당 미성년자가 자신의 행위에 대한 판단 능력이 미약하다면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처벌받는다. 설령 미성년자가 동의했더라도, 그 동의가 진정한 자발적 의사에 의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면 법률 위반이다.

#지적장애#미성년자#성관계#사진촬영

상담사례

딸아이가 학폭, 그 이상의 피해를 입었다면... 시간이 지나도 괜찮을까요?

미성년 자녀가 성범죄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을 경우, 부모가 아는 시점부터 3년 이내라면 소멸시효와 관계없이 손해배상 청구가 가능하므로 혼자 고민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미성년자 성범죄#소멸시효#손해배상 청구#법정대리인

형사판례

지적장애 여성에 대한 성폭행, 항거불능 상태 인정될까?

지적 능력이 4~8세 수준인 여성을 간음한 사건에서, 피해 여성의 정신장애로 인해 저항하기 어려운 '항거불능' 상태였음을 인정하여 유죄 판결.

#지적장애#간음#항거불능#유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