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물수수·뇌물공여

사건번호:

2007도6129

선고일자:

200710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수사기관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제한에 관한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2항이 수사기관에서 조사받는 과정에서 피의자가 작성한 진술조서, 진술서 등의 증거능력에도 적용되는지 여부(적극)와 공범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에도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2] 수사기관에서 피의자로 조사하는 과정을 녹화한 비디오테이프, CD 등의 증거능력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2항 / [2]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92. 4. 14. 선고 92도442 판결(공1992, 1647), 대법원 1996. 7. 12. 선고 96도667 판결(공1996하, 2565), 대법원 2006. 1. 13. 선고 2003도6548 판결(공2006상, 277) / [2] 대법원 1992. 6. 23. 선고 92도682 판결(공1992, 2316), 대법원 1996. 10. 15. 선고 96도1669 판결(공1996하, 3484), 대법원 1997. 3. 28. 선고 96도2417 판결(공1997상, 1291)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진봉헌외 1인 【원심판결】 전주지법 2007. 6. 29. 선고 2007노249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1.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2항은 검사 이외의 수사기관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는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 그 피의자였던 피고인이나 변호인이 그 내용을 인정할 때에 한하여 증거로 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피의자의 진술을 녹취 내지 기재한 서류 또는 문서가 수사기관에서의 조사과정에서 작성된 것이라면 그것이 진술조서, 진술서, 자술서라는 형식을 취하였다 하더라도 당해 수사기관이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와 달리 볼 수 없다 ( 대법원 1992. 4. 14. 선고 92도442 판결, 대법원 2006. 1. 13. 선고 2003도6548 판결 등 참조). 그리고 위 규정은 검사 이외의 수사기관이 작성한 당해 피고인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를 유죄의 증거로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검사 이외의 수사기관이 작성한 당해 피고인과 공범관계가 있는 다른 피고인 또는 피의자에 대한 피의자신문조서를 피고인에 대한 유죄의 증거로 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대법원 1996. 7. 12. 선고 96도667 판결 등 참조). 원심이 검찰주사 작성의 피고인 3에 대한 제1, 2회 각 피의자신문조서, 검찰주사 작성의 피고인 3에 대한 제1, 2회 각 진술조서, 피고인 3 작성의 진술서는 피고인 3과 공범관계에 있는 피고인 1, 피고인 2가 법정에서 그 내용을 부인하고 있는 이상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2항에 의하여 모두 증거능력이 없다고 판단한 것은 위 법리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2항의 적용범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나 판례변경의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없다. 2. 원심은 피고인들에 대한 이 사건 공소사실 중 유죄로 인정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관하여 그 부합하는 증거들을 판시와 같은 사유를 들어 배척한 다음 범죄사실의 증명이 없다고 하여 이 부분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는바,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여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 등의 위법이 없다. 3. 수사기관에서 피의자로 조사하는 과정을 녹화한 비디오테이프, CD 또는 이에 준하는 것들은 실질적으로 피의자의 진술을 기재한 수사기관 작성의 피의자신문조서와 다를 바 없으므로 피의자신문조서에 준하여 그 증거능력을 가려야 할 것이다( 대법원 1992. 6. 23. 선고 92도682 판결 등 참조). 원심이 검찰주사 작성의 피고인 3에 대한 녹음·녹화 요약서(녹화참여자, 녹화일시 및 장소, 녹화된 CD에 담긴 진술요지 등을 기재한 서면이다)의 실질이 피의자신문조서와 다를 바 없어 피의자신문조서에 있어서와 마찬가지 이유로 증거능력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은 위 법리에 따른 것으로서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증거능력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고현철 김지형 전수안(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경찰 조서, 믿을 수 있을까? -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피고인이 범행을 부인하는 경우, 경찰이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는 피고인이 그 내용의 **사실 여부**를 인정해야만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단순히 조서에 기재된 내용대로 진술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또한, 증거목록에 없더라도 법정에서 탄핵 증거의 사용 목적과 내용이 명확히 제시되면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경찰 조서 증거능력#탄핵 증거#진실성 인정#증거목록

형사판례

공범 진술의 증거능력, 어디까지 인정될까?

이 판례는 공범의 경찰 진술조서는 피고인이 내용을 부인하면 증거로 쓸 수 없고, 다른 사람의 진술을 옮긴 전문진술은 원진술자가 진술할 수 없고 진술이 매우 신뢰할 만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경우에만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합니다. 이 사건에서는 증거 부족으로 살인교사 혐의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공범#피의자신문조서#증거능력#전문진술

형사판례

경찰 조서, 검찰 조서, 그리고 증거능력: 공범의 진술은 언제 증거가 될까?

검사가 아닌 경찰 등 수사기관에서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는 다른 공범의 재판에서 증거로 사용할 수 없지만, 검사가 작성한 공범의 피의자신문조서는 공범이 내용과 작성 과정에 문제가 없다고 인정하면 다른 공범이 반대하더라도 증거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범#피의자신문조서#증거능력#경찰

형사판례

경찰 작성 피의자신문조서, 나에게 불리하게 쓰일 수 있을까? - 공범 조서의 증거능력

경찰에서 조사받은 공범의 진술조서라도, 법정에서 피고인이 그 내용을 부인하면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공범#피의자신문조서#증거능력#부인

형사판례

공범의 경찰 진술조서, 내 재판에서 증거로 쓸 수 있을까?

공범이 경찰 조사에서 한 진술이 기록된 피의자신문조서가 있고, 법정에서 공범이 그 조서 내용과 똑같은 내용을 증언했다 하더라도, 그 증언은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

#공범#피의자신문조서#증거능력#법정증언

형사판례

공범의 경찰 진술조서, 내 재판에 증거로 쓸 수 있을까?

다른 사람의 경찰 진술조서는, 그 사람이 법정에서 진술하지 않거나 피고인이 내용을 부인하면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 피고인이 경찰에 작성한 진술서도 마찬가지다.

#공범 진술조서#증거불인정#피고인 부인#방어권 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