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선거법위반

사건번호:

2007도6503

선고일자:

2007111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3항에서 정한 ‘당내경선’의 의미와 범위 [2] 공직후보자추천심사위원회의 서류심사 및 면접의 방법으로 정당 내 지방의회 비례대표의원의 정당후보자를 추천한 것이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3항에서 정한 ‘당내경선’에 의한 정당후보자 추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3항의 입법 취지는 허위의 사실을 공표하여 당내경선에 참가하는 선거인의 올바른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규제함으로써 당내경선의 공정을 보장함에 있는바, 위 규정에서 말하는 ‘당내경선’이란 정당이 공직선거에 추천할 후보자를 선출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선거를 말하며, 공직선거법 제57조의2 제2항에 의하여 당내경선후보자로 등재된 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당내경선을 대체하는 여론조사를 포함하나, 정당이 선거나 이를 대체하는 여론조사가 아닌 방법으로 공직선거에 추천할 후보자를 결정하는 것은 당내경선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2] 공직후보자추천심사위원회의 서류심사 및 면접의 방법으로 정당 내 지방의회 비례대표의원의 정당후보자를 추천한 것이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3항에서 정한 ‘당내경선’에 의한 정당후보자 추천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3항 / [2]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3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박선아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7. 7. 12. 선고 2007노18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3항의 입법 취지는 허위의 사실을 공표하여 당내경선에 참가하는 선거인의 올바른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규제함으로써 당내경선의 공정을 보장함에 있는바, 위 규정에서 말하는 ‘당내경선’이란 공직선거법 제57조의2 내지 제57조의5의 규정을 종합하여 볼 때 정당이 공직선거에 추천할 후보자를 선출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선거를 말하며, 공직선거법 제57조의2 제2항에 의하여 당내경선후보자로 등재된 자를 대상으로 정당의 당헌·당규 또는 경선후보자 간의 서면합의에 따라 실시한 당내경선을 대체하는 여론조사를 포함한다고 할 것이나, 정당이 선거나 이를 대체하는 여론조사가 아닌 방법으로 공직선거에 추천할 후보자를 결정하는 것은 당내경선에 포함되지 아니한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열린우리당 대구광역시당이 공직후보자추천심사위원회의 서류심사 및 면접의 방법으로 대구광역시 수성구의회 비례대표의원의 정당후보자를 추천한 것은 당내경선에 의한 정당후보자 추천에 해당한다고 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공직선거법상 당내경선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채택 증거에 의하여 판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인이 공소외 1에게 한 말 중 일부는 의견표명에 불과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는 ‘허위의 사실’이라는 점에 관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의 위법이 없다. 3.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하여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그 채택 증거에 의하여 판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인이 공소외 2에 대한 부정적 사실 또는 의견을 표명함으로써 공소외 2가 열린우리당의 공천후보자가 되지 못하게 할 목적이 있었음을 인정할 수 있으나, 이를 넘어서서 공소외 2가 수성구의원에 당선되지 못하게 할 목적이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미필적 고의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일환(재판장) 김용담(주심) 박시환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당내 경선, 여론조사도 투표 방식으로 인정될까?

정당의 당내경선에서 투표권 행사 방식은 투표용지 기표에 한정되지 않고 여론조사 방식도 가능하며, 이 경우 공직선거법상 여론조사 관련 규제가 적용된다.

#정당#당내경선#여론조사#공직선거법

형사판례

정당 당내경선, 여론조사도 포함될까?

정당의 당내 경선에서 여론조사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여론조사 방식을 이용한 당내 경선에서 선거법 위반 행위가 있었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당내경선#여론조사#선거법위반#공직선거법

형사판례

정당 당내경선, 여론조사도 투표권 행사 방식으로 인정될까?

이 판례는 정당의 당내 경선에서 여론조사 방식을 이용한 투표도 유효하며, 이러한 경선에서의 불법 경선운동에 대한 공소시효는 최종 선거일 기준으로 계산된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당내경선#여론조사#투표#경선운동

형사판례

당내경선 여론조사, 투표권 부여로 볼 수 있을까?

이 판결은 정당의 당내경선에서 여론조사 방식으로 투표권을 행사하는 것이 가능한지, 당내경선 관련 선거범죄의 공소시효는 언제부터 시작하는지, 그리고 당내경선 관련 여론조사에도 공직선거법상 여론조사 규정이 적용되는지 등을 다룹니다.

#당내경선#여론조사#투표방식#경선운동

형사판례

당내 경선운동, 선거운동과 어떻게 다를까요?

이 판례는 정당의 공천을 받기 위한 당내 경선 활동이 공직선거법상 '선거운동'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당내 경선을 위한 조직이 '유사 선거운동 기구'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룹니다. 대법원은 당내 경선운동은 원칙적으로 선거운동과 구별되며, 경선운동을 빌미로 실질적인 선거운동을 하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선거운동으로 볼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당내 경선을 위한 조직은 선거운동 기구와 다르므로 유사 선거운동 기구 설치 금지 조항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당내 경선운동#선거운동#공직선거법#유사 선거운동 기구

형사판례

당내 경선 운동과 선거운동, 그 경계는 어디일까?

이 판례는 국회의원 후보 당내 경선 과정에서 발생한 선거법 위반 사건에 대한 것입니다. 핵심 쟁점은 당내 경선 활동이 선거 운동에 해당하는지, 검사의 공소장 변경이 적법한지, 압수수색 영장의 해석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등입니다.

#당내경선#선거운동#공소장변경#압수수색영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