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박개장(변경된죄명:도박개장방조)

사건번호:

2007도8050

선고일자:

200711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종범의 성립요건 [2] 인터넷 게임사이트의 온라인게임에서 통용되는 사이버머니를 구입하고자 하는 사람을 유인하여 돈을 받고 위 게임사이트에 접속하여 일부러 패하는 방법으로 사이버머니를 판매한 사람에 대하여, 정범인 위 게임사이트 개설자의 도박개장행위를 인정할 수 없는 이상 종범인 도박개장방조죄도 성립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32조 / [2] 형법 제32조, 제247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대구지법 2007. 8. 28. 선고 2007노56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종범은 정범의 실행행위 전이나 실행행위 중에 정범을 방조하여 그 실행행위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말하므로 정범의 실행행위가 있어야 성립한다. 원심판결 이유를 살펴보면, 원심은 채용증거를 종합하여 유한회사 물게임이 개설한 ‘물게임’이라는 인터넷 게임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 사람들은 온라인을 통하여 위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물맞고, 물로우바둑이, 물포커 등의 게임물을 이용하여 고스톱, 바둑이, 포커 등의 게임을 하고, 피고인은 위 게임을 이용하는 사람들 중 위 사이트의 온라인게임에서 통용되는 사이버머니를 구입하고자 하는 사람을 유인하여 돈을 받고 위 게임사이트에 접속하여 일부러 패하는 방법으로 사이버머니를 판매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정범인 도박개장죄의 실행행위인 도박개장사실 즉, 위 게임사이트를 개설한 자가 위 게임을 그 회원들에게 단순 오락용 게임으로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회원간에 사이버머니를 현금화하는 것을 허용한다거나 사실상 현금처럼 사용하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위 게임을 도박의 수단으로 제공하고 그에 따른 이익을 취득하였다는 사실을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그 종범으로 기소된 피고인의 도박개장방조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는바, 이러한 원심의 조치는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 또는 심리미진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황식(재판장) 김영란 이홍훈 안대희(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게임머니 판매, 불법 환전에 해당할까?

게임에서 얻은 아이템이나 게임머니를 돈 받고 파는 행위도 게임산업법상 금지된 '환전'에 포함된다.

#게임머니#판매#환전#게임산업법

형사판례

온라인 고스톱, 포커 사이트 운영하면 도박개장죄?

현금화 가능한 게임코인을 걸고 온라인 고스톱, 포커 등을 할 수 있도록 사이트를 운영하며 수수료를 챙긴 운영자는 도박개장죄로 처벌받는다.

#인터넷 도박#게임코인#도박개장죄#수수료

형사판례

게임장 상품권 환전, 사행성 조장 방조로 처벌될 수 있다!

게임 상품권 발행업체 대표가 상품권 환전을 통해 부정한 이익을 취하고, 사행성 게임장 운영을 방조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상품권#환전#사행성 게임#배임수재

형사판례

PC방에서 불법 도박게임 제공? 도박장 개설과 게임 등급분류에 대해 알아보자!

성인 PC방에서 손님들에게 인터넷 도박게임을 제공하고 수수료를 받은 운영자에게 도박개장죄가 인정된 사례. 등급분류 받지 않은 해외 서버 게임 제공 역시 불법.

#도박개장죄#게임산업법 위반#인터넷 도박#성인 PC방

형사판례

가짜 선물거래 사이트 운영, 금융투자업 위반일까? 도박개장일까?

실제 시세정보와 연동된 모의 선물거래 사이트를 운영하며 수수료를 받는 행위는 무인가 금융투자업에 해당하지 않아 자본시장법 위반으로 처벌할 수 없다. 단, 도박개장죄는 성립할 수 있다.

#모의 선물거래#무인가 금융투자업#자본시장법 위반#도박개장죄

형사판례

게임머니 불법 환전, 어디까지 처벌할 수 있을까? - 게임물의 비정상적인 이용에 대한 해석

게임 회사 내부 직원이 권한을 받아 게임 아이템을 생성하고 이를 판매한 행위는 게임산업법 위반에 해당하지 않는다. 법률에서 금지하는 '게임물의 비정상적인 이용'에는 해당하지 않기 때문이다.

#게임산업법 위반#게임 아이템 판매#게임물의 비정상적인 이용#권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