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소득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07두1415

선고일자:

200710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국내 자회사에 근무하는 자가 외국 소재 모회사로부터 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재직 중 행사하여 얻은 이익이 근로소득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2]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에 대한 납세신고기한과 부과제척기간

판결요지

참조조문

[1] 소득세법 제20조 제1항 제2호 (나)목 / [2] 소득세법 제20조 제1항 제2호 (나)목,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제1항 제2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용산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6. 12. 6. 선고 2005누2989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 내지 3점에 대하여 소득세법 제20조 제1항 소정의 근로소득은 지급형태나 명칭을 불문하고 성질상 근로의 제공과 대가관계에 있는 일체의 경제적 이익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근로의 대가 외에도 근로를 전제로 그와 밀접히 관련되어 근로조건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급여도 포함된다 할 것이다. 원심판결의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소외 1 주식회사의 대표이사로 1993. 3. 1.부터 2000. 5. 31.까지 근무하면서, 소외 1 주식회사가 발행한 주식의 100%를 소유하고 있는 미국 소재 법인인 (명칭 생략)회사의 모회사인 미국 (명칭 생략)USA회사로부터 호주 (명칭 생략)Australia회사에 관한 주식매수선택권(stock option)을 원고가 소외 1 주식회사에 계속 근무할 것과 주식매수선택권은 양도가 금지되며, 10년 이내에 행사하여야 한다는 조건으로 1996. 7. 5. 등 3회에 걸쳐 부여받은 후, 2000. 4. 5. 그 중 일부를 행사하여 행사 당시의 주식의 시가와 실제 매수가격의 차액에 상당하는 이익(이하 ‘이 사건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이라 한다)을 얻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사정이 그러하다면, 이 사건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은 (명칭 생략)회사의 모회사로서 (명칭 생략)회사와 소외 1 주식회사의 경영과 업무수행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미국 (명칭 생략)USA회사가 원고에게 지급한 것으로서, 원고가 소외 1 주식회사에 제공한 근로와 일정한 상관관계 내지 경제적 합리성에 기한 대가관계가 있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이 사건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은 소득세법 제20조 제1항 제2호 나목 소정의 을종근로소득에 해당되고, 원고와 미국 (명칭 생략)USA회사 사이에 직접적인 고용관계가 없다거나 고용계약의 사용자와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자가 다르다고 하여 달리 볼 바가 아니라고 할 것이다. 같은 취지의 원심 판단은 정당하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의 법적 성격 및 그 범위, 조세법률주의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4점에 대하여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은 행사시에 현실적으로 실현되었거나 적어도 실현가능성이 고도로 성숙·확정되어 귀속된다고 할 것이므로 종업원 등이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한 경우에는 소득세 신고기간 내에 행사이익을 신고하여야 하고, 이를 신고하지 아니한 경우에 그 부과제척기간은 국세기본법 제26조의2 제1항 제2호에 의하여 신고기간 만료일 다음날부터 7년이 된다고 할 것이다. 원심이 그 채택증거에 의하여, 원고가 2000. 4. 5. 이 사건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하여 취득한 이익에 대하여 신고기간 만료일인 2001. 5. 31.까지 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가 그 부과제척기간인 2001. 6. 1.부터 7년 이내에 이 사건 처분을 하였음은 역수상 분명하다는 이유로 원고의 주장을 배척한 것은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간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부과제척기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게 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현철(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외국계 회사 스톡옵션, 근로소득으로 과세된다?

외국계 회사의 한국 지사에서 일하는 직원이 외국 본사로부터 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해서 얻은 이익은 근로소득에 해당하며, 이익이 발생한 시점(주식을 산 시점)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해야 한다.

#외국모회사#주식매수선택권#행사이익#근로소득

세무판례

외국계 회사 주식매수선택권, 근로소득일까?

외국 회사의 한국 지점에서 일하는 직원이 외국 모회사로부터 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해서 얻은 이익은 근로소득으로 봐야 한다.

#주식매수선택권#행사이익#근로소득#외국계회사

세무판례

스톡옵션 행사이익, 근로소득 맞아? 세금 내야 할까?

회사 임직원이 근로의 대가로 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하여 얻은 이익은 근로소득에 해당하며, 이 이익은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당시의 시장 가격을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

#주식매수선택권#행사이익#근로소득#시장가격

세무판례

스톡옵션, 꼭 알아야 할 세금 혜택과 함정!

회사 재직 중 부여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퇴직 후 행사하여 얻은 이익은 근로소득이 아닌 기타소득으로 과세해야 한다. 또한, 세법에서 정한 특례 요건(재직 중 부여받고 3년 후 행사, 또는 3년 후 퇴직 시 3개월 내 행사)을 충족하지 못하면 세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주식매수선택권#퇴직#기타소득#근로소득

세무판례

스톡옵션, 과세는 어떻게? (feat. 부당행위계산 부인)

회사가 임직원에게 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권리(주식매수선택권)를 줬는데, 세금 혜택(과세특례)을 받을 수 있는 기준보다 더 싸게 줬다면, 이를 부당하게 회사 이익을 줄인 것으로 볼 수 있는지(부당행위계산 부인)에 대한 판결입니다. 결론적으로 과세특례 기준을 넘었다고 무조건 부당행위로 보는 것은 아니며, 여러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주식매수선택권#과세특례#부당행위계산부인#시가

세무판례

모회사가 준 성공보수, 근로소득일까 기타소득일까?

국내 자회사 직원이 외국 모회사의 주식 매각을 도와 성공보수를 받은 경우, 이는 근로소득에 해당한다.

#주식매각#성공보수#근로소득#기타소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