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연금신청거부처분취소

사건번호:

2007두18314

선고일자:

2008082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유족연금수급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점에 관한 구 군인연금법 제8조 제1항의 ‘급여의 사유가 발생한 날’의 의미

판결요지

군인연금법상의 유족연금과 관련하여 구 군인연금법(1991. 1. 14. 법률 제431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제1항의 ‘급여의 사유가 발생한 날’은 같은 법 제26조 제1항 제1호에서 규정하는 ‘퇴역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자가 사망한 때’를 말한다.

참조조문

구 군인연금법(1991. 1. 14. 법률 제431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제1항, 제26조 제1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국방부장관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7. 8. 22. 선고 2007누504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판결 및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의 ‘구 군인연금법’은 구 군인연금법(1991. 1. 14. 법률 제431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군인연금법’이라 한다)을 가리키는 것임이 분명하고, 원심은 위 법률에 기하여 원고 청구의 당부를 판단하였음을 알 수 있으므로, 원심판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법률 적용을 그르친 위법 등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구 군인연금법 제8조 제1항은 “급여를 받을 권리는 그 급여의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5년간 이를 행사하지 아니할 때에는 시효로 인하여 소멸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유족연금에 있어서 ‘급여의 사유가 발생한 날’이라 함은 구 군인연금법 제26조 제1항 제1호에서 규정하는 ‘퇴역연금을 받을 권리가 있는 자가 사망한 때’를 말한다고 할 것이다.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제1심판결의 이유를 인용하여, 1983. 2. 28. 전역 후 구 군인연금법에 의한 퇴역연금을 받아오던 소외인이 1990. 4. 7. 사망하였음에도 2002. 11. 무렵까지 원고가 망인 명의의 예금계좌로 망인의 퇴역연금을 수령하여 온 사실, 피고가 망인의 사망사실을 확인하고 2003. 2. 18. 원고가 수령한 퇴역연금을 환수하는 한편, 원고의 유족연금수급권이 시효로 소멸되었음을 통보하자 원고가 2006. 5. 19. 피고에게 유족연금의 지급을 청구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원고의 유족연금수급권은 소외인이 사망하여 급여의 사유가 발생한 때로부터 5년이 경과함으로써 이미 시효로 인하여 소멸하였다고 판단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유족연금수급권의 소멸시효에 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양승태 박일환 김능환(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군인 유족연금, 언제까지 받을 수 있을까? 상실과 이전, 그리고 소멸시효

군인 유족연금은 수급권자가 바뀌더라도 그 자체로는 소멸시효가 적용되지 않고, 매달 받을 연금(월별 수급권)에 대해서만 5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 또한, 나중에 수급권을 이전받는 유족은 국방부장관의 승인을 받아야 연금을 받을 수 있으며, 이 승인을 받지 않고 바로 소송을 제기할 수는 없다.

#군인 유족연금#소멸시효#수급권 이전#국방부장관 승인

일반행정판례

군인 유족연금, 배우자도 연금 받으면 절반만?

군인 유족연금은 상속이 아닌 유족 고유의 권리이며, 연금을 받던 군인이 사망한 시점에 발생한다. 또한, 유족연금 감액 규정은 사망 시점에 따라 적용된다.

#군인 유족연금#상속 아닌 고유권#발생시점 사망시#감액규정 사망시 적용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유족연금, 누가 받을 수 있을까요?

국가유공자의 자녀가 유족연금을 받으려면 유족 등록 신청 당시 미성년자이거나 생활능력이 없는 장애 성년자여야 합니다. 성인이 되어서 또는 장애가 없어 생활능력이 있는 상태에서 신청하면 유족연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국가유공자#유족연금#자녀#미성년

일반행정판례

61세 이후 재혼 배우자, 군인연금 받을 수 있을까?

군인이었던 사람이 퇴직 후 61세 이후에 재혼한 배우자는, 과거에 혼인했던 전 배우자라 하더라도 군인연금법상 유족연금을 받을 수 없다.

#군인연금#유족연금#재혼#61세

일반행정판례

국가유공자 유족 연금, 언제 개정된 법을 적용해야 할까요?

국가유공자 유족 연금 수급 순위가 법 개정으로 변경된 경우, 연금 지급은 신청 시점이 아닌 **처분 시점(최종 결정 시점)의 법**을 따른다.

#국가유공자#유족연금#수급순위#처분시점

생활법률

배우자의 재혼, 유족연금 받을 수 있을까요?

배우자가 재혼하면 산재보험, 국민연금, 공무원연금 등 모든 유족연금 수급권을 상실한다.

#배우자 재혼#유족연금 수급권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