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연기불승인처분취소

사건번호:

2007두4810

선고일자:

200809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요양 중인 근로자의 상병을 호전시키기 위한 치료가 아니라 단지 고정된 증상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치료만 필요한 경우,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 제16조 제1항에 규정된 치료종결사유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2006. 8. 31. 노동부령 제25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5호(현행 삭제), 제16조 제1항(현행 삭제)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근로복지공단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7. 2. 2. 선고 2006누2157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2006. 8. 31. 노동부령 제25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2조 제5호는 ‘치유라 함은 부상 또는 질병이 완치되거나 부상 또는 질병에 대한 치료의 효과를 더 이상 기대할 수 없게 되고 그 증상이 고정된 상태에 이르게 된것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제16조 제1항 제1문은 ‘공단은 요양중인 근로자의 상병이 계속 치료를 하더라도 의학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고, 그 증상이 고정된 상태에 이른 경우에는 당해 근로자의 치료를 종결시켜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규정들을 비롯한 산업재해보상보험법(2007. 4. 11. 법률 제837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40조(요양급여), 제40조의2(재요양), 제42조(장해급여), 제45조의2(후유증상의 진료) 등의 각 규정 내용 및 그 입법 취지 등을 종합하여 보면, 요양중인 근로자의 상병을 호전시키기 위한 치료가 아니라 단지 고정된 증상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치료만이 필요한 경우는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 제16조 제1항에 규정된 치료종결 사유에 해당한다고 봄이 상당하다. 원심판결 이유와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채택 증거를 종합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는 1984년 이후 20년 이상 계속하여 기관지천식에 관하여 약물치료를 받아 왔으나, 그 증상이 뚜렷한 호전이 없고 오히려 이미 기도의 변형이 동반되어 저하된 폐기능의 변화가 거의 없는 점, 이 사건 상병은 모두 완치 내지 근본적인 치료가 불가능하여 그 증상의 완화를 위해 약물치료 등이 필요할 뿐 현재로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불가능한 점,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에 규정된 ‘의학적인 효과’라 함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입법 취지 및 보험재정 등 여러 가지 점을 고려할 때 상병의 ‘호전가능성’이 있는 경우로 좁게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인 점, 의학적 소견 모두가 이 사건 상병의 악화가능성은 있지만 호전가능성은 없다고 하고 있는 점 등을 종합하면, 이 사건 상병은 그 증상이 고정되어 계속 치료를 하더라도 더 이상 의학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고 볼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이 사건 증상의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의 필요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 제1심 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위 법리 및 기록에 의하면,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와 같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시행규칙 제16조 제1항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현철(재판장) 김지형 전수안(주심) 차한성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산재 치료 종결, 어디까지 인정될까? - 악화 방지 치료만 필요한 경우

산업재해로 다친 근로자의 치료가 더 이상 상태를 호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악화되는 것만 막는 단계라면 산재보험에서 치료를 종결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산재#치료종결#증상악화방지#대법원

상담사례

더 이상 좋아지지 않는다면? 산재 치료, 언제까지 받을 수 있을까?

산재 치료는 더 이상 호전 가능성이 없고 악화 방지를 위한 치료만 남았다면 종결될 수 있습니다.

#산재#치료#종결#호전 가능성

일반행정판례

산재 치료, 언제까지 받을 수 있을까? - 증상 고정과 치료 종결

산업재해로 다친 근로자가 더 이상 치료로 호전될 가능성이 없고 증상이 고정된 상태라면, 악화 방지를 위한 치료만 남았더라도 요양을 종결할 수 있다.

#산재#요양종결#증상고정#치료종결

상담사례

더 이상 좋아지진 않아요... 산재 치료, 계속 받아야 할까요? (요양 종결)

산재 요양 중 더 이상 호전 가능성 없이 현상 유지 치료만 하는 경우, 치유로 간주되어 요양 종결될 수 있지만, 개별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관련 기관 문의 필요.

#산재#요양#종결#치유

상담사례

더 이상 좋아지진 않지만, 나빠지지도 않게... 이것도 치료 종결인가요?

산재 치료에서 병세 호전 가능성 없이 악화 방지를 위한 치료만 받는 경우, 대법원 판례에 따라 치료 종결로 간주될 수 있지만,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관련 기관에 문의해야 한다.

#산재#치료종결#악화방지#호전가능성

일반행정판례

산재 장해급여, 아무 때나 받을 수 있을까?

산재로 요양급여와 상병보상연금을 받는 환자는 임의로 요양을 중단하고 장해급여를 청구할 수 없다.

#산재#요양중단#장해급여#청구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