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교통법위반(음주운전)

사건번호:

2008도2170

선고일자:

200805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도로교통법 제44조 제2항에서 말하는 ‘측정'의 의미(=호흡측정기에 의한 측정) 및 운전자가 혈액채취 방법에 의한 혈중알콜농도 측정을 요구할 수 있는 시한 [2] 음주운전자가 경찰공무원이 실시한 호흡측정기에 의한 혈중알콜농도 측정 결과에 불복한 사안에서, 호흡측정기에 의한 1차 측정 후 상당한 시간 내에 명시적으로 재측정 또는 혈액채취의 방법에 의한 측정을 요구하지 않았던 점 등에 기하여 1차 호흡측정기에 의한 결과를 근거로 음주운전 사실을 인정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도로교통법 제44조 제2항, 제3항 / [2] 도로교통법 제44조 제2항, 제3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0. 4. 21. 선고 99도5210 판결(공2000상, 1336), 대법원 2002. 3. 15. 선고 2001도7121 판결(공2002상, 944)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대전지법 2008. 2. 13. 선고 2007노215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원심판결 중 판결선고 일자를 “2008. 2. 13.”로 경정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도로교통법 제44조 제2항에 의하여 경찰공무원이 운전자가 술에 취하였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는 측정은 호흡을 채취하여 그로부터 주취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환산하는 측정 방법 즉, 호흡측정기에 의한 측정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고, 또한 운전자가 경찰공무원에 대하여 호흡측정기에 의한 측정 결과에 불복하여 그 즉시, 또는 2차, 3차 호흡측정을 실시하여 그 재측정 결과에도 불복하면서 혈액채취의 방법에 의한 측정을 요구할 수 있는 것은 경찰공무원이 운전자에게 호흡측정의 결과를 제시하여 확인을 구하는 때로부터 상당한 정도로 근접한 시점에 한정된다 할 것이고, 운전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위 시점으로부터 상당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야 호흡측정 결과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2차 호흡측정 또는 혈액채취의 방법에 의한 측정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이를 정당한 요구라고 할 수 없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경찰공무원이 2차 호흡측정 또는 혈액채취의 방법에 의한 측정을 실시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1차 호흡측정기에 의한 측정의 결과만으로 음주운전 사실을 증명할 수 있다 ( 대법원 2002. 3. 15. 선고 2001도7121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이 사건 음주운전으로 단속당할 당시 단속경찰관에게 호흡측정기에 의한 혈중알콜농도 측정 결과에 불복하면서 상당한 시간 내에 명시적으로 2차 호흡측정 또는 혈액채취에 의한 혈중알콜농도 측정을 요구하였음을 인정할 자료가 없고, 또한 피고인에 대한 호흡측정기에 의한 혈중알콜농도 측정 결과가 피고인의 실제 음주 정도보다 높게 나왔다고 인정할 만한 객관적 사정도 없는 이상, 이 사건 음주운전단속 당시 피고인에 대한 호흡측정기에 의한 혈중알콜농도 측정 결과의 신빙성을 부정할 수 없다 할 것이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1차 호흡측정기에 의한 측정 결과 등을 근거로 피고인의 음주운전 사실을 유죄로 인정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한 것은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원심판결의 판결선고 일자는 오기임이 명백하므로 이를 경정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능환(재판장) 양승태 박시환(주심) 박일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음주측정 거부, 어디까지 처벌될까? 혈액채취 측정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음주운전 단속 시 호흡측정을 거부하더라도 정당한 이유 없다면 음주측정 거부로 처벌받을 수 있으며, 경찰은 혈액채취 측정에 대해 굳이 알려줄 의무는 없다.

#음주측정거부#혈액채취#고지의무#호흡측정

형사판례

음주측정 두 번 할 수 있을까? - 호흡측정 후 혈액검사도 가능한 경우

호흡측정 후에도 측정 오류가 의심될 만한 객관적 정황이 있고 운전자가 자발적으로 동의한다면 혈액채취를 통한 음주측정이 가능하다.

#음주측정#혈액채취#호흡측정#측정오류

형사판례

술 마시고 음주측정 거부하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술 마신 것으로 의심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는 상황에서 경찰의 음주측정 요구를 거부하면, 실제 혈중알코올농도가 법정 기준치(0.05%)를 넘지 않았더라도 음주측정거부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음주측정거부#음주측정거부죄#유죄#의심

형사판례

숨 못 쉬면 음주측정 거부 아니다? 교통사고 후 음주측정 거부 논란, 법원의 판단은?

교통사고로 부상을 입어 호흡이 곤란한 운전자가 음주측정에 제대로 응하지 못했더라도, 신체적 이유로 불가능했던 경우 음주측정불응죄로 처벌할 수 없다.

#교통사고#부상#음주측정불가#음주측정불응죄

형사판례

음주감지기 반응만으로 음주측정 불응죄? 무죄!

단순히 음주감지기에 반응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는 경찰의 음주측정 요구를 거부한 운전자에게 음주측정 불응죄를 적용할 수 없다. 음주측정 불응죄가 성립하려면, 운전자가 음주운전 처벌 기준치(혈중알코올농도 0.05%) 이상으로 술에 취했다고 볼 만한 다른 객관적인 정황 증거가 있어야 한다.

#음주측정불응죄#음주감지기#객관적 증거#혈중알코올농도

형사판례

혈액검사 vs. 호흡측정, 음주운전 단속 시 어떤 결과를 믿어야 할까?

음주운전 단속 시 호흡측정기와 혈액검사 결과가 다를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혈액검사 결과를 더 신뢰한다.

#음주측정#호흡측정기#혈액검사#신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