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범죄단속에관한특별조치법위반(부정의료업자)

사건번호:

2008도5930

선고일자:

2009072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포괄일죄에서 공소사실의 특정 정도 [2] 포괄일죄인 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5조 위반죄의 공소사실로 ‘피고인이 일정 기간 동안 손님들에게 눈썹문신, 아이라인, 입술문신을 시술해주고 해당 시술료를 받는 영업을 하였다’라고 기재한 것만으로는, 구성요건을 충족하는 사실이 특정되었다고 볼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 / [2]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4항, 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5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5. 1. 14. 선고 2004도6646 판결(공2005상, 347), 대법원 2007. 8. 23. 선고 2006도5041 판결, 대법원 2008. 12. 24. 선고 2008도9414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8. 6. 19. 선고 2008노1256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포괄일죄에 있어서 그 일죄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개의 행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특정하지 아니하더라도 그 전체 범행의 시기와 종기, 범행방법, 범행횟수 또는 피해액의 합계 및 피해자나 상대방을 명시하면 이로써 그 범죄사실은 특정되는 것이지만( 대법원 1992. 9. 25. 선고 92도1671 판결 등 참조), 공소사실에 범죄구성요건을 충족하는 구체적 사실은 기재되어야 하므로( 대법원 2004. 3. 26. 선고 2003도7112 판결 등 참조), 포괄일죄의 공소사실에도 대표적인 특정 범죄사실 또는 당해 범죄의 구체적인 범행방법 등을 거시한 다음 전체 범행의 시기와 종기, 범행횟수 또는 피해액의 합계 및 피해자나 상대방 등을 명시함으로써 당해 구성요건을 충족하는 구체적인 사실이 기재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런데 포괄일죄로 기소된 이 사건 공소사실에는 ‘피고인이 일정 기간 동안 손님들에게 눈썹문신, 아이라인, 입술문신을 시술해주고 해당 시술료를 받는 영업을 하였다’는 피고인의 영업 내용이 기재되어 있을 뿐, 보건범죄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5조 소정의 ‘의료행위’에 해당하는 구성요건사실로서 특정인에 대한 특정 치료행위 등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고, 전체 범행의 범행횟수나 수입액수 등 범행규모의 대강을 짐작할 수 있는 사항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사건 공소사실은 구성요건을 충족하는 사실이 특정되었다고 볼 수 없어 공소제기의 절차가 법률의 규정에 위반하여 무효인 때에 해당하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판결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와 같은 포괄일죄의 공소사실 특정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담(재판장) 박시환 안대희(주심) 신영철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무면허 의료행위, 어디까지 처벌될까? - 포괄일죄와 공소사실 특정

여러 사람에게 불법 의료행위를 반복한 경우, 각각의 행위를 정확히 특정하지 못하더라도 전체 범행 기간, 방법, 대략적인 횟수 등을 알면 처벌할 수 있습니다.

#무면허 의료행위#포괄일죄#처벌#불법 수술

형사판례

무면허 의료행위, 반복해서 하면 어떻게 될까요? (포괄일죄와 기판력)

돈을 벌 목적으로 불법 의료행위를 반복하다 적발된 경우, 이전에 비슷한 죄로 처벌받았다면 나중에 적발된 행위에도 이전 판결의 효력이 미쳐 추가 처벌을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 개의 불법 의료행위가 하나의 죄로 취급되는 '포괄일죄'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무면허 의료행위#포괄일죄#면소#판결 효력

형사판례

눈썹 문신, 의료행위일까 아닐까?

눈썹 문신처럼 피부에 색소를 주입하는 행위는 의료행위에 해당한다. 비의료인이 시술할 경우 감염이나 부작용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문신#의료행위#무면허#위생

형사판례

모발에서 마약 검출? 막연한 기소는 안돼요!

피고인의 모발에서 마약 성분이 검출되었지만, 검찰이 범행 일시, 장소, 방법 등을 명확히 특정하지 않고 기소하여 공소가 무효로 된 사례입니다. 모발 검사 결과만으로 막연하게 범행 기간을 추정하고, 장소와 방법을 불상으로 기소한 것은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한다고 판단되었습니다.

#마약#모발검사#공소사실 특정#방어권

형사판례

마약 투약 혐의, 막연한 공소사실은 무죄?

마약 투약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공소장에 범행의 시간, 장소, 방법 등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아 피고인의 방어권을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공소가 기각된 사례. 즉, 검사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마약을 투약했는지 제대로 적시하지 않아 무죄가 된 사례입니다.

#공소기각#마약투약#공소사실특정#방어권

형사판례

무면허 의료행위와 온라인 명예훼손, 어디까지 처벌될까?

의사 면허 없이 심천사혈요법을 가르치고 돈을 받은 행위는 불법 의료행위이며, 인터넷 카페에 타인의 글을 퍼오고 모욕적인 댓글과 허위사실을 게시한 행위는 명예훼손에 해당한다.

#무면허 의료행위#명예훼손#심천사혈요법#대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