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범죄처벌법위반

사건번호:

2008도8793

선고일자:

200811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낮에 자신의 집 앞 복도에서 타인과 실랑이를 벌이며 욕설을 섞어 조용히 하라는 말 한두 마디를 한 행위가 경범죄처벌법상 인근소란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경범죄처벌법 제1조 제26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부산지법 2008. 9. 12. 선고 2008노173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은 경범죄처벌법 제4조의 남용금지 규정의 취지 및 같은 법 제1조 제26호에 규정된 다른 유형의 소란 행위와의 균형 등을 고려할 때 같은 호에서 규정한 ‘큰소리로 떠들어 이웃을 시끄럽게 한’ 경우는 단순히 큰 소리로 한두 마디 내뱉은 정도를 넘어 이웃의 일상생활에 평온을 해할 정도로 지장을 주는 등 상당한 정도의 소란을 발생케 한 경우를 지칭한다고 해석한 다음, 그 채용 증거들에 의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들을 각 인정하고, 그 인정 사실들을 종합하면 피고인은 자신의 집 현관문 앞 복도에서 조용히 하라는 말과 욕설을 섞어 한두 마디 정도의 말을 한 것인데 당시 시간이 낮이었고 말한 시간도 아주 짧았다는 점에서 위와 같은 행위가 바로 이웃의 일상생활의 평온을 해칠 정도였다고 보기는 어려운 점, 피고인과 실랑이를 벌이던 공소외인 외에는 피고인의 행동을 제지하거나 이의를 제기한 다른 주민이 없었고 공소외인 역시 피고인이 큰 소리로 떠들어 이웃을 시끄럽게 하고 있다는 내용으로 신고한 것은 아니었던 점, 피고인이 욕설을 한 행위가 형법상의 다른 범죄에 해당하는 것은 별론으로 하고 집 앞에서 큰 소리로 한두 마디 정도의 말을 한 것이 의사표현의 자유의 한계를 넘어 허용될 수 없는 행위라고 보기는 어려운 점 등에 비추어 볼 때 피고인의 행위가 경범죄처벌법 제1조 제26호에 정한 큰 소리로 떠들어 이웃을 시끄럽게 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하여 이 사건 공소사실을 무죄로 판단하였는바, 원심에서의 증거의 취사선택과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여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 심리미진, 법리오해 및 판단유탈의 위법이 없다. 그리고 이 사건에서 채증법칙위반에 이르지 않는 사실오인 주장은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박시환 박일환(주심)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윗집에 대한 쿵쿵 소음, 스토킹으로 처벌될 수 있다?

아래층 거주자가 윗집에 불만을 품고 고의적으로 소음을 반복해서 발생시킨 경우, 상대방이 실제로 불안이나 공포를 느꼈는지와 상관없이 스토킹으로 처벌될 수 있다.

#층간소음#스토킹#처벌#고의

생활법률

쿵! 쿵! 윗집 소음, 층간소음일까? 아닐까?

층간소음(직접충격/공기전달 소음, 급수·배수 소음 제외)으로 피해 시 관리사무소, 층간소음 이웃사이센터(1661-2642) 등을 통해 중재, 분쟁조정, 소송, 경범죄/스토킹 처벌 등 법적 대응까지 가능하다.

#층간소음#공동주택#소음 종류(직접충격#공기전달)

민사판례

층간소음 항의, 어디까지 허용될까? - 과도한 항의는 인격권 침해!

아래층 거주자가 층간소음에 항의하기 위해 위층 거주자에게 과도한 전화, 문자, 방문 등을 한 경우, 이는 정당한 권리행사를 넘어선 위법행위로 판단되어 접근금지 가처분과 간접강제가 인정될 수 있습니다.

#층간소음#과도한 항의#접근금지 가처분#간접강제

형사판례

층간소음 신고 출동한 경찰관에게 칼 휘두른 사건, 무죄 판결 파기 환송

이웃의 소음 신고로 출동한 경찰관에게 욕설하고 칼을 휘두른 피고인에 대해, 경찰관의 전기 차단 조치가 적법한 직무집행이었는지, 피고인의 행위가 공무집행방해에 해당하는지가 쟁점이 된 사건입니다. 대법원은 원심의 무죄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환송했습니다.

#심야 소음#공무집행방해#전기 차단#적법성

상담사례

층간소음, 어디까지 참아야 할까요? (feat. 아이 키우는 집 😥)

아이가 뛰는 소음은 낮 43dB/밤 38dB(평균), 낮 57dB/밤 52dB(최고) 이하, TV/악기 소음은 낮 45dB/밤 40dB(5분 평균) 이하를 유지해야 하지만, 법적 기준보다 서로 배려하고 소통하는 것이 층간소음 문제 해결의 핵심이다.

#층간소음#아이 키우는 집#데시벨(dB)#직접충격 소음

생활법률

윗집 발망치, 아랫집 피아노 소리... 층간소음, 어떻게 해결할까요? (feat. 법적 기준)

공동주택 층간소음은 다른 입주자에게 피해를 주는 직접충격 소음과 공기전달 소음으로, 정해진 기준(주간 39/45dB, 야간 34/40dB)을 넘으면 관리주체나 층간소음 전문기관(☎ 1661-2642)에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

#층간소음#기준#직접충격 소음#공기전달 소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