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압류및전부명령

사건번호:

2008마1608

선고일자:

20081224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부대체적 작위채무의 이행을 명하는 가처분결정과 그 의무위반에 대한 간접강제결정이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 간접강제결정에 기한 강제집행을 가처분의 집행기간 내에 하여야 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부대체적 작위채무의 이행을 명하는 가처분결정과 함께 그 의무위반에 대한 간접강제결정이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에는 간접강제결정 자체가 독립된 집행권원이 되고 간접강제결정에 기초하여 배상금을 현실적으로 집행하는 절차는 간접강제절차와 독립된 별개의 금전채권에 기초한 집행절차이므로, 그 간접강제결정에 기한 강제집행을 반드시 가처분결정이 송달된 날로부터 2주 이내에 할 필요는 없다. 다만, 그 집행을 위해서는 당해 간접강제결정의 정본에 집행문을 받아야 한다.

참조조문

민사집행법 제261조, 제292조, 제301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1. 1. 29.자 99마6107 결정(공2001하, 1439)

판례내용

【채권자, 재항고인】 【원심결정】 광주지법 2008. 10. 9.자 2008라271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광주지방법원 본원합의부로 환송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부대체적 작위채무의 이행을 명하는 가처분결정과 함께 그 의무위반에 대한 간접강제결정이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에는 간접강제결정 자체가 독립된 집행권원이 되고 간접강제결정에 기초하여 배상금을 현실적으로 집행하는 절차는 간접강제절차와 독립된 별개의 금전채권에 기초한 집행절차이므로, 그 간접강제결정에 기한 강제집행을 반드시 가처분결정이 송달된 날로부터 2주 이내에 할 필요는 없다 할 것이고, 다만 그 집행을 위해서는 당해 간접강제결정의 정본에 집행문을 받아야 한다. 위 법리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부대체적 작위채무의 이행을 명하는 가처분결정과 함께 그 의무위반에 대한 간접강제결정이 동시에 이루어진 경우에도 가처분에 대한 재판의 집행기간이 있고 이 사건 가처분의 집행기간이 도과한 후 이 사건 간접강제결정에 기하여 강제집행을 신청하는 것만으로도 신청권의 남용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에는 간접강제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재판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으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재항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재항고인이 집행문을 부여받았다고 볼 수 있는 자료가 있는지 여부 등에 대하여 심리한 후 사건을 다시 판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으로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아울러 항고법원은 단독판사 등이 한 인가처분에 대한 항고 또는 즉시항고로 보아 재판절차를 진행하므로 제1심결정은 사법보좌관의 결정이 아닌 단독판사의 결정을 기재하여야 함을 지적하여 둔다). 대법관 박일환(재판장) 양승태(주심) 박시환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간접강제금 내고도 가처분 취소 안 된다고?

점포 점유권을 보호하기 위한 가처분을 받은 후 상대방이 가처분을 위반하여 간접강제금을 물게 되었더라도, 그 사실만으로 가처분을 계속 유지할 필요는 없다는 판결.

#가처분#간접강제금#보전의 필요성#점유권

민사판례

간접강제금, 언제 받을 수 있을까? - 집행문 부여 조건에 대한 이야기

법원의 간접강제 결정에 따라 돈을 받으려면 '집행문'이 필요한데, 이 집행문을 받기 위한 조건이 결정 내용에 따라 다르다는 판례입니다. 결정문에 배상금 지급 의무 발생 조건이 명확히 적혀있으면 바로 집행문을 받을 수 있지만, 조건이 불명확하면 그 조건이 충족되었다는 것을 증명해야 집행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간접강제#집행문#조건 명확성#집행문 부여의 소

민사판례

가처분 기간 지난 후 간접강제? 효력 없어요!

기간을 정해둔 가처분 명령의 기간이 끝난 뒤에 이를 어겼다고 해서 간접강제를 신청해도 효력이 없으며, 관련 소송은 가처분 결정을 내린 법원(합의부)에서 담당해야 한다.

#가처분#기간만료#간접강제#효력상실

민사판례

서비스표 사용금지 가처분과 간접강제, 그 후 이야기

서비스표 사용금지 가처분의 금지기간이 끝났더라도, 간접강제 결정이 함께 내려진 경우에는 채무자가 가처분 취소를 위한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가처분#간접강제#이의신청#금지기간 종료

민사판례

가처분과 간접강제, 2주 기간의 함정!

법원의 가처분 결정을 어긴 상대방에게 간접강제(벌금)를 물리려면, 가처분 결정문을 받은 날로부터 2주 안에 신청해야 합니다. 이미 가처분 결정 전부터 위반 행위를 하고 있었다면, 결정문을 받은 즉시 2주 안에 신청해야 합니다.

#가처분#간접강제#신청기간#2주

민사판례

간접강제금 받았으면 손해배상금 또 받을 수 있을까?

같은 이유로 이미 간접강제금을 받았다면, 별도의 손해배상 소송에서 이긴다고 해도 간접강제금을 넘는 부분만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간접강제금#손해배상#중복#차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