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제출명령에대한이의

사건번호:

2008마546

선고일자:

20100119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민사소송법 제344조 제2항에서 말하는 ‘공무원 또는 공무원이었던 사람이 그 직무와 관련하여 보관하거나 가지고 있는 문서’의 의미 및 이러한 공문서의 공개에 관하여 적용되는 법률(=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

판결요지

민사소송법 제344조 제2항은 같은 조 제1항에서 정한 문서에 해당하지 아니한 문서라도 문서의 소지자는 원칙적으로 그 제출을 거부하지 못하나, 다만 ‘공무원 또는 공무원이었던 사람이 그 직무와 관련하여 보관하거나 가지고 있는 문서’는 예외적으로 제출을 거부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여기서 말하는 ‘공무원 또는 공무원이었던 사람이 그 직무와 관련하여 보관하거나 가지고 있는 문서’는 국가기관이 보유·관리하는 공문서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고, 이러한 공문서의 공개에 관하여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절차와 방법에 의하여야 할 것이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34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재항고인, 피신청인】 대한민국 【신 청 인】 신청인 1외 1인 【원심결정】 대전고법 2008. 3. 31.자 2008라2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전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판단한다. 민사소송법 제344조 제2항은 같은 조 제1항에서 정한 문서에 해당하지 아니한 문서라도 문서의 소지자는 원칙적으로 그 제출을 거부하지 못하나, 다만 ‘공무원 또는 공무원이었던 사람이 그 직무와 관련하여 보관하거나 가지고 있는 문서’는 예외적으로 제출을 거부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여기서 말하는 ‘공무원 또는 공무원이었던 사람이 그 직무와 관련하여 보관하거나 가지고 있는 문서’는 국가기관이 보유·관리하는 공문서를 의미한다고 할 것이고, 이러한 공문서의 공개에 관하여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절차와 방법에 의하여야 할 것이다.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신청인이 이 사건에서 제출을 신청한 문서는 재항고인 소속의 대전지방검찰청 공주지청 검사 등이 보관하고 있는 검찰인사명령서와 제3자에 대한 수사기록 또는 진정사건 기록으로서 모두 민사소송법 제344조 제1항 각 호의 문서에는 해당되지 않고, 나아가 이들은 ‘공무원 또는 공무원이었던 사람이 그 직무와 관련하여 보관하거나 가지고 있는 문서’에 해당하므로, 피신청인으로서는 위 문서들의 제출을 거부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이와 다른 견해에서 신청인의 이 사건 문서제출명령 신청을 받아들인 제1심결정을 적법하다고 보아 그대로 유지하고 말았으니, 원심결정에는 문서제출명령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재판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 점을 지적하는 재항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나머지 재항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할 것 없이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이홍훈 김능환(주심) 민일영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소송에서 인용한 문서, 제출해야 할까? 정보공개법상 비밀은?

소송에서 자기 주장의 근거로 언급한 문서는 설령 그 문서가 공무원이 직무상 보관하는 비밀문서라 하더라도 법원의 판단에 따라 제출해야 합니다.

#소송#인용문서#제출의무#정보공개법

민사판례

법원의 문서 제출 명령, 알고 계신가요?

법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금융거래 정보 등에 대한 문서제출명령은 적법하며, 관련 법률은 헌법에 위반되지 않고, 제3자에 대한 심문절차 누락은 본안소송 당사자가 아닌 제3자만이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는 판결.

#문서제출명령#재항고기각#금융거래정보#합헌

민사판례

금융감독원 문서, 아무나 볼 수 없어요! 정보공개 청구하세요!

금융감독원이 업무상 작성한 문서는 민사소송에서 바로 제출할 수 없고, 정보공개법에 따라 공개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금융감독원#문서제출#정보공개법#민사소송

일반행정판례

소송에서 문서를 언급만 해도 제출해야 할까?

소송에서 자기 주장의 근거로 특정 문서의 존재와 내용을 언급했다면, 그 문서가 공무원이 직무상 보관하는 문서라 하더라도 법원의 명령에 따라 제출해야 한다.

#소송#문서제출의무#인용문서#공무원

일반행정판례

정보공개청구, 이메일로 답변받을 수 있을까?

법원이 재판기록 공개를 거부할 때, 정보공개법과 민사소송법 중 어떤 법을 적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거부 결정을 이메일 등 전자문서로 통지해도 되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법원은 민사소송법이 정보공개법보다 우선 적용되며, 전자문서 통지도 가능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정보공개#거부결정#통지방법#전자문서

일반행정판례

정보공개, 어디까지 가능할까? 알 권리와 공공기관의 직무수행 사이의 줄다리기

이 판례는 정보공개청구 소송에서 ① 이미 다른 경로로 알려진 정보도 공개해야 하는지, ② 어떤 정보가 직무수행을 현저히 곤란하게 하는 정보인지, ③ 검찰 내부 연구자료를 공개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정보공개청구#공개된 정보#직무수행 곤란 정보#내부 검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