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보취소

사건번호:

2008마711

선고일자:

20080701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가압류취소를 받기 위하여 제공된 담보와 관련하여, 가압류채권자가 가압류 청구채권 중 일부만을 본안소송으로 청구하였다는 사실만으로 본안 청구금액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담보사유가 소멸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가압류취소를 받기 위해 제공된 담보는 가압류명령 기재 청구채권을 직접 담보하고 있으므로, 가압류채권자가 당해 가압류 청구채권인 손해배상청구채권 중 일부만에 관하여 본안소송을 제기하였다고 하여 그 사실만으로 본안 청구금액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담보사유가 소멸하였다고 할 수 없다.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2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신청인, 재항고인】 디.컴퍼니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엄윤상외 1인) 【신청인, 상대방】 주식회사 참원에셋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지평 담당변호사 이소영) 【원심결정】 부산고법 2008. 4. 30.자 2008카담27 결정 【주 문】 원심결정 중 담보취소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에 대한 담보취소신청을 기각한다. 소송총비용은 상대방이 부담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를 본다. 원심은, 재항고인(이하 ‘담보취소 피신청인’이라 한다)이 당초 상대방(이하 ‘담보취소 신청인’이라 한다)의 불법행위로 인한 100억 원의 손해배상청구채권을 피보전권리로 하여 담보취소 신청인 소유의 부동산에 대한 가압류를 신청함에 따라 가압류결정이 내려진 사실, 그 후 법원의 담보제공명령에 따라 담보취소 신청인이 10억 원을 공탁하고 보험가입금액을 50억 원으로 한 공탁보증보험증권을 제출함에 따라 민사집행법 제288조 제1항 제2호의 규정에 의한 가압류결정의 취소가 있었던 사실, 그런데 담보취소 피신청인은 본안소송을 제기함에 있어서는 가압류신청과 달리 1억 원의 위자료 및 이에 대한 지연손해금의 지급만을 구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와 같은 사실에 의하면, 담보취소 피신청인이 본안소송에서 구하고 있는 위 1억 원 및 그에 대한 지연손해금에 대한 담보로 충분하다고 보이는 1억 1,000만 원을 제외한 나머지 담보사유는 소멸하였다고 봄이 상당하다는 이유로 울산지방법원 2007카합332 가압류취소신청 사건에 관하여 담보취소 신청인이 공탁한 10억 원 및 보증보험증권으로 제출한 50억 원의 담보 중 현금 1억 1,000만 원을 제외하고 나머지 담보를 취소하는 결정을 하였다. 그러나 가압류취소를 받기 위해 제공된 담보는 가압류명령 기재 청구채권을 직접 담보하고 있으므로, 가압류채권자가 당해 가압류 청구채권인 손해배상청구채권 중 일부만에 관하여 본안소송을 제기하였다고 하여 그 사실만으로 담보사유가 소멸되었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원심결정 중 담보취소부분을 파기하고 당원이 직접 재판하기에 충분하므로 자판하기로 하여, 이 부분에 대한 담보취소신청을 기각하며, 소송총비용은 상대방이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박일환(재판장) 양승태(주심) 박시환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가압류 취소됐는데, 담보는 언제 돌려받을 수 있나요?

가압류가 취소되었더라도 관련된 본안소송이 진행 중이라면 가압류를 위해 제공했던 담보는 바로 돌려받을 수 없다. 본안소송이 끝나야 담보 반환을 요청할 수 있다.

#가압류 취소#본안소송#담보 반환#소송 완결

민사판례

가압류 담보 공탁금, 돌려받을 수 있을까?

부당한 가압류로 인한 손해배상액이 확정되면, 그 금액을 초과하는 담보 공탁금은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법원은 손해배상액을 정확히 계산하여 초과 금액을 반환해야 합니다.

#가압류#담보공탁금#손해배상#초과금액반환

민사판례

가압류 취소, 본안소송 취하됐다고 무조건 되는 건 아니에요!

채권자가 가압류를 걸어놓고 나중에 소송을 취하했더라도, 다시 소송을 제기하면 가압류를 유지할 의사가 있다고 보아 가압류를 취소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단, 채권자가 가압류를 유지할 의사가 없다고 볼 만한 다른 사정이 있다면 가압류는 취소될 수 있습니다.

#가압류#취소#사정변경#소송취하

민사판례

가압류 취소, 그 기준은 무엇일까요?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권리를 담보로 설정한 가압류는, 본안 소송에서 단지 권리 발생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청구가 기각되더라도 가압류를 바로 취소할 수 없다.

#가압류#장래 발생 권리#본안 소송 기각#취소 사유 부정

민사판례

가압류 취소와 사정변경, 그리고 권리의 유용에 대한 이야기

본안 소송에서 처음 주장했던 채권이 인정되지 않으면 가압류는 취소되어야 하며, 다른 채권을 위해 기존 가압류를 유용할 수 없습니다. 특히 채권자가 다른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가압류 취소#사정 변경#채권 유용 불가#본안 소송 패소

민사판례

가압류 잘못 걸었다간 큰일 납니다! 부당한 가압류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

가압류 등 보전처분 후 본안소송에서 패소하면 채무자에게 손해배상 책임이 있으며, 청구 금액이 과도하게 높았다면 고의나 과실이 추정된다. 다만, 법원은 상황에 따라 배상 책임을 제한할 수 있다.

#가압류#본안소송 패소#손해배상#과도한 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