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절결정(상)

사건번호:

2009후3916

선고일자:

201006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출원서비스표 “ ”에서는 ‘천진’이 ‘함흥냉면’과 함께 표기되어 있고, ‘함흥냉면’은 이미 그 자체로 냉면의 한 종류를 가리키는 관용표장으로 되었다 할 것인데, 일반적으로 음식이름을 포함하는 표장에서는 지역 명칭을 함께 표기하는 경우가 흔히 있으므로, 비록 중국의 지명을 한글로 표기할 때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르도록 되어 있는 외래어표기법에 의하면 ‘天津’을 중국식 발음인 ‘톈진’으로 표기한다 하더라도, 한자문화권인 우리의 언어관습상 위 출원서비스표의 ‘천진’ 부분은 일반 수요자나 거래자들에게 현저한 지리적 명칭인 중국의 도시명 ‘天津’의 한글 표기로 직감될 수 있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함흥냉면’ 부분은 위 출원서비스표의 지정서비스업과 관련하여 볼 때 식별력이 없고, ‘천진’과의 결합에 의하여 새로운 관념을 낳는다거나 전혀 다른 새로운 조어가 되었다고 할 수도 없으므로, 위 출원서비스표는 전체적으로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가 규정하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만으로 된 표장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상표법 제2조 제3항, 제6조 제1항 제4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특허청장 【원심판결】 특허법원 2009. 10. 8. 선고 2009허5233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특허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지정서비스업을 냉면전문식당업 등으로 하고 “ ”과 같이 구성된 이 사건 출원서비스표(출원번호 제***-****-****9호)의 구성 중 ‘천진’은 한자어 ‘天眞’의 한글 표기로 이해하면 ‘세파에 물들지 아니한 자연 그대로의 참됨’으로, 한자어 ‘天津’의 한글 표기로 이해하면 ‘백과사전 등에 중국의 3대 또는 4대 도시의 하나로 소개되어 있고,우리나라 중등 사회 교과서에도 수록되어 있는 중국 허베이성(河北省) 소재 중앙 직할시의 명칭’ 등으로 각 인식될 수 있는 다의적인 문자이기는 하다. 그러나 이 사건 출원서비스표에서는 ‘천진’이 ‘함흥냉면’과 함께 표기되어 있고, ‘함흥냉면’은 이 사건 거절결정시 이미 그 자체로 냉면의 한 종류를 가리키는 관용표장으로 되었다 할 것인데, 일반적으로 음식이름을 포함하는 표장에서는 지역 명칭을 함께 표기하는 경우가 흔히 있으므로, 비록 중국의 지명을 한글로 표기할 때 원칙적으로 중국어 표기법에 따르도록 되어 있는 외래어표기법에 의하면 ‘天津’을 중국식 발음인 ‘톈진’으로 표기한다 하더라도, 한자문화권인 우리의 언어관습상 이 사건 출원서비스표의 ‘천진’ 부분은 일반 수요자나 거래자들에게 현저한 지리적 명칭인 중국의 도시명 ‘天津’의 한글 표기로 직감될 수 있다고 봄이 상당하다. 그렇다면 ‘함흥냉면’ 부분은 이 사건 출원서비스표의 지정서비스업과 관련하여 볼 때 식별력이 없고, ‘천진’과의 결합에 의하여 새로운 관념을 낳는다거나 전혀 다른 새로운 조어가 되었다고 할 수도 없으므로, 이 사건 출원서비스표는 전체적으로 상표법 제6조 제1항 제4호가 규정하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만으로 된 표장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원심은 다의어인 ‘천진’이 국내의 일반 수요자나 거래자들에게 중국의 도시명으로 직감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이 사건 출원서비스표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만으로 된 표장이라고 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으니,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현저한 지리적 명칭의 판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안대희 차한성(주심) 신영철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사리원' 냉면집, 상표권 분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까? - 현저한 지리적 명칭 상표

널리 알려진 지명만으로 이루어진 상표는 누구나 자 freely 사용해야 하므로 특정인에게 독점권을 줄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사리원 냉면' 상표의 경우, '사리원'이라는 지명이 상표 등록 당시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상표#지명#사리원#냉면

특허판례

천마산곰탕, 상표 등록 안되는 이유?!

"천마산곰탕"이라는 서비스표에서 "천마산" 부분이 널리 알려진 지명이기 때문에 상표로 등록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천마산곰탕#상표등록거절#지명#천마산

특허판례

'CAMBRIDGE' 상표, 아무나 못 쓴다?! 지리적 명칭 상표 등록, 핵심 정리!

'캠브리지'라는 지명이 포함된 상표의 등록 가능성과 유사 상표 판단에 대한 대법원 판결. 과거 상표법에서는 지명 자체는 상표의 핵심 요소로 인정되지 않아, 지명을 포함한 상표라도 지명 부분은 유사성 판단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내용.

#지명상표#상표등록#유사성판단#구상표법

특허판례

상표의 핵심 요소, '지리적 명칭'은 독점할 수 없다!

'Cambridge'처럼 누구나 쓸 수 있는 지명은 상표의 핵심 요소로 볼 수 없으므로, 'Cambridge'가 포함된 두 상표가 유사하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상표#유사#CAMBRIDGE#지리적 명칭

특허판례

미국 지명 들어간 대학교 이름, 상표등록 될까?

미국에 있는 대학교가 'AMERICAN UNIVERSITY'라는 이름으로 한국에서 상표등록을 할 수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었으며, 대법원은 등록을 허용했습니다. 'AMERICAN'과 'UNIVERSITY'는 각각 지리적 명칭과 기술적 표현이지만, 결합하여 해당 대학교를 특정하는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식별력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미국 대학교#상표등록#AMERICAN UNIVERSITY#지리적 명칭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유사상표 등록은 어려워!

두 상표의 구성 부분에 일부 차이가 있더라도, 호칭이나 주는 느낌이 유사하여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우려가 있다면, 나중에 출원된 상표는 등록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유사상표#등록거절#소비자혼동#호칭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