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금

사건번호:

2010다31792

선고일자:

201008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239조,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423조, 제424조, 제447조, 제458조, 제462조, 제46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퍼스트코프의 소송수계인 파산자 주식회사 퍼스트코프의 파산관재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2010. 3. 11. 선고 2009나70939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당사자가 파산선고를 받은 때에 파산재단에 관한 소송절차는 중단되고( 민사소송법 제239조), 채무자에 대하여 파산선고 전의 원인으로 생긴 재산상의 청구권인 파산채권은 파산절차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행사할 수 없으므로(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423조, 제424조), 파산채권에 관한 소송이 계속하는 도중에 채무자에 대한 파산선고가 있게 되면 소송절차는 중단되고, 파산채권자는 파산사건의 관할법원에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이 정한 바에 따라 채권신고를 하여야 한다. 채권조사절차에서 그 파산채권에 대한 이의가 없어 채권이 신고한 내용대로 확정되면 위 계속 중이던 소송은 부적법하게 되고, 채권조사절차에서 그 파산채권에 대한 이의가 있어 파산채권자가 그 권리의 확정을 구하고자 하는 때에는 이의자 전원을 소송의 상대방으로 하여 위 계속 중이던 소송을 수계하고 청구취지 등을 채권확정소송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대법원 2009. 9. 24. 선고 2009다50506 판결 등 참조). 2.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주식회사 엔티컴이 주식회사 퍼스트코프(이하 ‘퍼스트코프’라고 한다)에 대하여 가지는 이 사건 매매계약의 이행불능으로 인한 손해배상채권을 양수하였음을 청구원인으로 하여 퍼스트코프를 상대로 위 손해배상액의 지급을 구하는 이 사건 소를 제기한 사실, 제1심법원은 2009. 7. 22. “이 사건 매매계약은 2007. 11. 28. 퍼스트코프의 귀책사유 없이 이행불능이 되었다”는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기각한 사실, 원고는 이에 불복하여 항소한 후 2009. 10. 7. 위 손해배상청구를 주위적 청구로 변경하는 한편, 퍼스트코프가 이 사건 매매계약의 대금으로 수령한 금액의 반환을 구하는 부당이득반환청구를 예비적 청구로 추가한 사실, 퍼스트코프는 원심 소송계속 중인 2009. 11. 30. 파산선고를 받은 사실, 원심은 2009. 12. 23. 원고가 퍼스트코프의 파산관재인인 피고를 소송수계인으로 한 소송수계신청을 하자 이를 받아들여 2010. 1. 21. 변론을 종결한 다음 2010. 3. 11. 원고의 예비적 청구를 일부 인용하여 “피고는 원고에게 1,210,094,531원과 이에 대한 법정이자 및 지연손해금을 지급하라”는 취지의 판결을 선고한 사실을 알 수 있다. 3. 그러나 원고가 피고에 대하여 이 사건 소송으로 구하는 채권은 퍼스트코프의 파산선고 전의 원인으로 생긴 재산상의 청구권으로서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상의 파산채권임이 명백하므로, 앞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원심으로서는 원고가 위 채권에 관하여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에 정한 절차에 따른 채권신고를 하였는지, 채권신고를 하였다면 채권조사기일의 조사절차를 거쳤는지, 그때 파산관재인 또는 다른 채권자가 이의를 하였는지 등의 여부에 따라 소송절차를 유지할 필요성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고, 속행되는 경우라면 소송의 형태를 채권확정소송으로 변경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원심은 이 점에 관한 조사 및 심리를 하지 아니한 채 변론을 종결하고 부당이득금의 이행을 명하는 판결을 선고하고 말았으니, 원심판결에는 파산선고와 파산채권의 효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4.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영철(재판장) 박시환 안대희(주심) 차한성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파산 후 소송은 어떻게 될까요? 파산채권과 소송수계 절차

회사가 파산하면, 파산하기 전에 발생한 돈을 받을 권리(파산채권)에 대한 소송은 일단 멈추고, 파산관재인 등이 소송을 이어받을 수 있는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특히 1심 판결 이후에 파산 선고가 났다면, 채권에 이의가 있는 쪽에서 소송을 이어받아야 합니다.

#파산#소송수계#파산채권#이의제기

민사판례

파산 선고 후 소송은 어떻게 될까요? 채권자취소소송과 파산

빚을 갚지 못해 파산한 사람(채무자)이 재산을 빼돌렸다고 의심되어 채권자가 제기한 소송(채권자취소소송)이 진행 중이었는데, 소송 중에 채무자가 파산 선고를 받았음에도 법원이 이를 모르고 소송을 계속 진행하여 판결을 내렸다면, 그 판결은 무효입니다. 파산 선고 후에는 파산관재인이 소송을 이어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파산#채권자취소소송#소송수계#파산관재인

민사판례

회사가 파산하면 소송은 어떻게 될까?

회사가 파산하면, 파산 전에 걸려있던 소송은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파산 이후 소송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파산한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진행 중이었다면, 파산 절차에 따라 채권 신고를 해야 하고, 소송은 중단됩니다. 법원이 회사의 파산 사실을 모르고 판결을 내렸다면 그 판결은 효력이 없습니다.

#파산#소송중단#채권신고#소송수계

민사판례

파산과 소송: 회사가 파산하면 진행 중인 소송은 어떻게 될까?

회사가 파산 선고를 받으면 관련 소송은 중단되어야 하는데, 법원이 이를 모르고 판결을 내렸다면 그 판결은 효력이 없습니다.

#파산선고#소송중단#판결무효#파산채권

상담사례

파산하면 진행 중인 소송은 어떻게 되나요? (채권자대위소송)

파산 선고 시 진행 중인 채권자대위소송은 중단되고 파산관재인이 소송을 이어받아 진행한다.

#파산#소송중단#채권자대위소송#파산관재인

민사판례

빚진 사람이 파산하면 소송은 어떻게 될까?

빚진 사람(채무자)이 파산 선고를 받은 후, 법원이 이 사실을 모르고 파산관재인의 소송 인수(소송수계) 없이 채권자취소소송을 진행하여 판결을 내렸다면, 그 판결은 잘못된 것입니다.

#파산#채권자취소소송#소송수계#파산관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