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료반환등

사건번호:

2010다37905

선고일자:

201009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되는 상가건물의 공유자인 임대인이 같은 법 제10조 제4항에 의하여 임차인에게 갱신거절의 통지를 하는 것이 공유물의 관리행위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공유자가 공유물을 타인에게 임대하는 행위 및 그 임대차계약을 해지하는 행위는 공유물의 관리행위에 해당하므로 민법 제265조 본문에 의하여 공유자의 지분의 과반수로써 결정하여야 한다.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되는 상가건물의 공유자인 임대인이 같은 법 제10조 제4항에 의하여 임차인에게 갱신 거절의 통지를 하는 행위는 실질적으로 임대차계약의 해지와 같이 공유물의 임대차를 종료시키는 것이므로 공유물의 관리행위에 해당하여 공유자의 지분의 과반수로써 결정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265조,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10조 제4항

참조판례

대법원 1962. 4. 4. 선고 62다1 판결(집10-2, 민61)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0. 4. 23. 선고 2009나33831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살펴본다. 1. 공유자가 공유물을 타인에게 임대하는 행위 및 그 임대차계약을 해지하는 행위는 공유물의 관리행위에 해당하므로 민법 제265조 본문에 의하여 공유자의 지분의 과반수로써 결정하여야 하는바 ( 대법원 1962. 4. 4. 선고 62다1 판결 등 참조),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 적용되는 상가건물의 공유자인 임대인이 같은 법 제10조 제4항에 의하여 임차인에게 갱신 거절의 통지를 하는 행위는 실질적으로 임대차계약의 해지와 같이 공유물의 임대차를 종료시키는 것이므로, 공유물의 관리행위에 해당하고, 따라서 공유자의 지분의 과반수로써 결정하여야 한다 . 2.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상가인 이 사건 건물의 공유자로서 임대인 중 1인인 원고가 피고들과의 각 임대차계약에 관하여 갱신거절의 의사를 표시하였음을 들어 피고들의 각 임차 부분의 명도를 청구하는 원고의 이 사건 청구에 대하여, 원심은, 원고는 이 사건 건물의 1/2 지분권자에 불과하고 위 갱신거절에 관하여 나머지 1/2 지분권자인 소외인이 동의하였음을 인정할 증거가 없으므로 원고의 갱신거절의 의사표시가 유효하다고 볼 수 없다는 이유로 원고의 청구를 배척하였는바,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정당하여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상의 묵시의 갱신 또는 공유물의 관리행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능환 민일영(주심)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상가 공동 소유주가 맘대로 갱신 거절? 🚫 내 권리는 내가 지킨다!

공동소유 상가의 임대차 갱신 거절은 소유자 과반수 동의가 필요하며, 한 명의 소유자가 단독으로 갱신 거절 시 효력이 없을 수 있다.

#상가임대차보호법#공유물#갱신거절#과반수 동의

상담사례

두 명의 건물주, 한 명만 갱신 거절한다면? 상가 임대차 갱신, 알아두면 쓸모있는 상식!

상가건물 공동소유 시 임대차 계약 갱신 거절은 지분 과반수 동의가 필요하며, 동의 없이는 갱신 거절이 효력 없다.

#상가 임대차#갱신 거절#공동소유#과반수 동의

민사판례

상가 임대차 갱신과 공유 건물 부당이득 반환 청구에 대한 법원의 판단

2018년 상가임대차보호법 개정 이후에도, 개정 전에 맺은 임대차 계약이 이미 5년을 채웠다면 더 이상 갱신 요구를 할 수 없다. 또한 공유 건물의 경우, 공유자는 자신의 지분만큼만 부당이득 반환을 청구할 수 있으며 배우자의 지분에 대해서는 소송대리권 없이 청구할 수 없다.

#상가임대차갱신요구#공유건물#부당이득반환#지분

민사판례

상가 임대차, 계약 갱신 거절은 언제든 가능!

상가 임차인이 계약 만료 1개월 전까지 갱신 거절을 통지하면, 계약은 만료일에 바로 끝난다. 묵시적 갱신은 안 된다.

#상가임대차#갱신거절#계약종료#묵시적갱신

민사판례

상가 임대차, 갱신요구권과 차임 인상 제한에 대한 모든 것!

임대인의 갱신 거절 통지가 있더라도 임차인은 정당한 사유가 없다면 갱신 요구를 할 수 있고, 이 경우 새로운 계약이라도 갱신된 것으로 본다. 또한, 법으로 정해진 차임 인상률을 초과한 금액은 임차인이 돌려받을 수 있다.

#상가임대차#갱신거절#갱신요구#차임인상제한

상담사례

옛날 상가 계약 갱신, 나도 할 수 있나요? 차임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옛날 상가 임대차계약에서 임대인의 갱신 거절 사유가 정당하지 않다면, 새로 계약했더라도 갱신된 것으로 간주되어 법정 인상률 초과 임대료는 돌려받을 수 있다.

#옛날 상가법#계약갱신요구권#임대료 인상 제한#부당이득반환청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