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위반

사건번호:

2010도10721

선고일자:

201102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노동조합 전임자’의 근로계약상 지위 및 파업기간 중 사용자의 노동조합 전임자에 대한 급여지급의무 유무의 판단 기준 [2] 회사 대표이사인 피고인이 노동조합 전임자에게 급여를 지급하기로 되어 있는 단체협약에 반하여 근로자들의 파업기간에 해당하는 부분의 급여를 지급하지 않아 ‘단체협약의 내용 중 편의제공에 관한 사항’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단을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노동조합 전임자는 사용자에 대하여 기본적 노사관계에 따른 근로자로서의 신분을 그대로 가지지만, 근로제공의무가 면제되고 사용자의 임금지급의무도 면제된다는 점에서 휴직상태에 있는 근로자와 유사하고, 사용자가 단체협약 등에 따라 노동조합 전임자에게 일정한 돈을 지급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근로의 대가인 임금이라고 할 수는 없으며, 파업기간 중에 사용자가 노동조합 전임자에 대하여 급여를 지급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는 구체적 사건마다 당해 사업장의 단체협약 기타 노사합의의 내용 및 당해 사업장의 노사관행 등을 참작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2] 회사 대표이사인 피고인이 노동조합 전임자에게 급여를 지급하기로 되어 있는 단체협약에 반하여 파업기간 중의 급여를 지급하지 않아 ‘단체협약의 내용 중 편의제공에 관한 사항’을 위반하였다는 이유로 구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2010. 1. 1. 법률 제99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위 회사와 노동조합이 체결한 단체협약 제9조의 규정은 노동조합 전임자를 근로계약상 본래의 근로제공 업무에 종사하는 일반조합원보다 불리한 처우를 받지 않도록 하는 범위 안에서 노동조합 전임자에게 일정한 급여를 지급하기로 한 것이므로, 일반조합원들이 무노동 무임금의 원칙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파업기간 중의 임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노동조합 전임자도 일반조합원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급여를 청구할 수 없다는 내용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는 이유로,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단을 정당하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구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2010. 1. 1. 법률 제99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4조,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31조,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1호, 제5호 / [2] 구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2010. 1. 1. 법률 제993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4조, 제92조 제1호 (마)목[현행 제92조 제2호 (마)목 참조],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제31조, 제44조, 형사소송법 제325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5. 11. 10. 선고 94다54566 판결, 대법원 1996. 12. 6. 선고 96다26671 판결(공1997상, 195), 대법원 1998. 4. 24. 선고 97다54727 판결(공1998상, 1456), 대법원 2003. 9. 2. 선고 2003다4815, 4822, 4839 판결(공2003하, 1945)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창원지법 2010. 7. 23. 선고 2010노12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노동조합 전임자는 사용자와의 사이에 기본적 노사관계는 유지되고 근로자로서의 신분도 그대로 가지는 것이지만 근로제공의무가 면제되고 사용자의 임금지급의무도 면제된다는 점에서 휴직상태에 있는 근로자와 유사하고, 사용자가 단체협약 등에 따라 노동조합 전임자에게 일정한 금원을 지급한다고 하더라도 이를 근로의 대가인 임금이라고 할 수는 없으며( 대법원 1995. 11. 10. 선고 94다54566 판결, 대법원 1998. 4. 24. 선고 97다54727 판결 등 참조), 파업기간 중에 사용자가 노동조합 전임자에 대하여 급여를 지급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는 구체적 사건마다 당해 사업장의 단체협약 기타 노사합의의 내용 및 당해 사업장의 노사관행 등을 참작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사정을 들어 이 사건 단체협약 제9조의 규정은 노동조합 전임자를 근로계약상 본래의 근로제공 업무에 종사하는 일반조합원보다 불리한 처우를 받지 않도록 하는 범위 안에서 노동조합 전임자에게 일정한 급여를 지급하기로 한 것이라고 판단한 후, 위와 같은 단체협약의 규정을 둔 목적이나 취지 등에 비추어 볼 때, 이는 일반조합원들이 무노동 무임금의 원칙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파업기간 중의 임금을 지급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노동조합 전임자도 일반조합원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급여를 청구할 수 없다는 내용으로 해석함이 상당하다고 보아, 노동조합 전임자에게 근로자들의 파업기간에 해당하는 부분의 급여를 지급하지 아니한 피고인의 공소사실 행위에 대하여 무죄를 선고하였는바, 원심판결의 이유 설시에 다소 적절하지 아니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위 공소사실을 무죄로 본 원심의 결론 자체는 앞서 본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정당하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단체협약의 해석 또는 그 위반에 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박시환 차한성 신영철(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노조 전임자, 파업 기간 중 급여 받을 수 있을까?

노동조합 전임자는 파업 기간 중 급여를 받을 수 없다.

#노조 전임자#파업#급여 불가#근로 대가 아님

상담사례

노조 전임자, 월급 받을까 말까? 🧐

노조 전임자는 회사 일은 하지 않지만, 단체협약 등에 따라 회사로부터 임금이 아닌 활동 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며, 파업 중 급여 지급 여부는 개별 상황에 따라 다르다.

#노조 전임자#급여#근로자#휴직자

민사판례

노조 전임자 급여, 회사가 끊을 수 있을까?

회사가 어려워지면 노조와 합의하여 노조 전임자에게 주던 급여를 중단할 수 있다.

#노조 전임자#급여 지급 중단#경영 악화#합의

민사판례

노조 전임자의 임금, 무노동 무임금 원칙 적용될까?

노동조합 전임자는 근로 제공 의무가 없으므로, 일반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할 수 없다.

#노조 전임자#임금 청구#무노동 무임금 원칙#소액사건심판법

민사판례

노조 전임자 급여 지급, 언제까지 허용될까? 단체협약 유효기간과 전임자 급여

2010년 7월 1일부터 노조 전임자에게 급여를 주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그 전에 맺은 단체협약에서 전임자 급여 지급을 약속한 경우, 협약의 유효기간까지는 급여를 줘야 한다는 판결입니다. 이 규정은 자동갱신된 단체협약에도 적용됩니다.

#노조 전임자#급여 지급#단체협약#효력 유지

민사판례

노조 전임자 퇴직금,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회사에서 노조 활동에 전념하도록 배정된 노조 전임자에게 회사가 지급하는 돈은 임금이 아니므로, 퇴직금 계산 시 전임 활동 기간에 받은 돈을 기준으로 하면 안 되고, 같은 직급·호봉의 일반 직원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노조 전임자#급여(임금 아님)#퇴직금#평균임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