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위반(집단·흉기등공갈)

사건번호:

2010도5795

선고일자:

201007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흉기 기타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고 공갈죄를 범하여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에 의해 가중처벌되는 경우 친족상도례 규정이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2] 피고인과 친족관계에 있는 피해자에 대한 ‘흉기휴대 공갈’의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죄’에 친족상도례에 관한 형법 제354조, 제328조를 적용하여 공소를 기각한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1] 형법 제354조, 제328조의 규정에 의하면, 직계혈족, 배우자, 동거친족, 동거가족 또는 그 배우자 간의 공갈죄는 그 형을 면제하여야 하고 그 외의 친족 간에는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는바, 흉기 기타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고 공갈죄를 범하여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제2조 제1항 제3호에 의하여 가중처벌되는 경우에도 형법상 공갈죄의 성질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고, 특별법인 위 법률에 친족상도례에 관한 형법 제354조, 제328조의 적용을 배제한다는 명시적인 규정이 없으므로, 형법 제354조는 ‘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위반죄’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2] 피고인과 친족관계에 있는 피해자에 대한 ‘흉기휴대 공갈’의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죄’를 형법 제354조, 제328조에 의하여 피해자의 고소가 있어야 논할 수 있는 친고죄로 보고, 제1심판결 선고 전에 피고인의 처벌을 바라지 아니하는 의사가 표시된 합의서가 제출되었다는 이유로,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5호에 의하여 공소를 기각한 원심판결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1]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항 제3호, 제3조 제1항, 형법 제328조, 제354조 / [2]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항 제3호, 제3조 제1항, 형법 제328조, 제354조,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5호

참조판례

[1] 대법원 1989. 6. 13. 선고 89도582 판결(공1989, 1103), 대법원 1994. 5. 27. 선고 94도617 판결(공1994하, 1877), 대법원 2000. 10. 13. 선고 99오1 판결(공2000하, 2363), 대법원 2008. 10. 23. 선고 2008도7614 판결, 대법원 2010. 2. 11. 선고 2009도12627 판결(공2010상, 604)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변호사 정훈진 【원심판결】 대전지법 2010. 4. 22. 선고 2010노60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형법 제354조, 제328조의 규정에 의하면, 직계혈족, 배우자, 동거친족, 동거가족 또는 그 배우자 간의 공갈죄는 그 형을 면제하여야 하고 그 외의 친족 간에는 고소가 있어야 공소를 제기할 수 있는바, 흉기 기타 위험한 물건을 휴대하고 공갈죄를 범하여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제2조 제1항 제3호에 의하여 가중처벌되는 경우에도 형법상 공갈죄의 성질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고, 특별법인 위 법률에 친족상도례에 관한 형법 제354조, 제328조의 적용을 배제한다는 명시적인 규정이 없으므로, 형법 제354조는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제3조 제1항 위반죄에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대법원 1994. 5. 27. 선고 94도617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과 친족관계에 있는 피해자에 대한 흉기휴대 공갈의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죄를 형법 제354조, 제328조에 의하여 피해자의 고소가 있어야 논할 수 있는 친고죄로 보고, 제1심판결 선고 전에 피고인의 처벌을 바라지 아니하는 의사가 표시된 합의서가 제출되었다는 이유로, 형사소송법 제327조 제5호에 의하여 공소기각의 판결을 선고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간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죄에 있어서 친족상도례의 적용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창수(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가족 사기, 면죄부는 없다? 친족상도례에 대한 오해와 진실

가족 간의 일부 재산 범죄에 대해서는 처벌하지 않는 '친족상도례'라는 제도가 있는데, 피고인이 피해자와 가족이 아니라고 법정에서 진술하면 법원은 더 이상 이 제도의 적용 여부를 심리하지 않아도 된다는 판결입니다.

#친족상도례#피고인 진술#심리 불필요#유죄

형사판례

밤에 공갈하면 친족이라도 용서받을 수 있을까? - 친족상도례 적용 여부

밤에 공갈죄를 저질러서 가중처벌을 받는 경우에도, 친족 간에는 피해자의 고소가 있어야 처벌할 수 있다는 "친족상도례"가 적용된다는 판결입니다.

#야간공갈죄#친족상도례#가중처벌#고소

형사판례

가족 간 사기죄, 처벌 받을까? 친족상도례에 대해 알아보자!

배우자의 직계혈족을 상대로 사기를 쳐도 친족상도례가 적용되어 처벌받지 않는가? - 네, 적용됩니다.

#배우자 직계혈족#사기죄#친족상도례#형법 제328조

형사판례

가족끼리도 횡령죄가 성립할까? - 횡령죄와 친족상도례

돈이나 물건을 맡아 관리하는 사람(위탁자)이 다른 사람의 소유물을 횡령한 경우, 횡령범이 소유자와 위탁자 *모두*와 친족 관계여야만 처벌을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둘 중 한 명과만 친족이라면 처벌을 피할 수 없습니다.

#횡령죄#친족상도례#위탁자#소유자

형사판례

가족 간 횡령, 금액이 커도 친족상도례 적용될까?

가족이나 친척 간의 횡령은 피해 금액이 아무리 커도 고소가 없으면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이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특경법) 위반으로 가중처벌되는 횡령에도 적용됩니다.

#친족횡령#특경법#친족상도례#고소

형사판례

흉기 위협 공갈죄? 단체 위협 공갈죄? 공소장 변경 없이는 안 돼!

흉기를 휴대해서 공갈을 했다는 혐의로 기소된 피고인에게, 법원이 공소장 변경 없이 집단의 위력으로 공갈했다고 유죄 판결을 내린 것은 잘못됐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범죄 행위의 종류가 다르면 피고인의 방어 전략도 달라지기 때문에, 법원은 공소장 변경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흉기 휴대 공갈#집단 공갈#공소장 변경#유죄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