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세 경정거부 처분취소

사건번호:

2010두8591

선고일자:

201211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교육세 납세의무자인 甲 은행 등이 교육세 납세의무가 없는 신용카드회사들을 흡수합병한 후 신용카드업무 관련 수익을 과세표준에 산입하여 교육세를 신고·납부하였다가 위 수익을 과세표준에 포함시키지 않는 감액경정 청구를 하였으나 과세관청이 거부한 사안에서, 甲 은행 등의 수익금액 중 신용카드업에서 발생한 부분은 교육세의 과세표준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본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은행법 제3조의 금융기관으로서 교육세 납세의무자인 甲 은행 등이 교육세 납세의무가 없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제2조 제2호의 신용카드업을 영위하는 신용카드회사들을 흡수합병한 후 신용카드업무 관련 수익을 과세표준에 산입하여 교육세를 신고·납부하였다가 위 수익을 과세표준에 포함시키지 않는 교육세 감액경정 청구를 하였으나 과세관청이 거부한 사안에서, 교육세의 과세표준을 정한 구 교육세법(2010. 12. 27. 법률 제1040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3항, 구 교육세법 시행령(2007. 2. 28. 대통령령 제1989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제1항, 제2항 등은 금융·보험업자의 모든 수익금액을 교육세의 과세표준으로 삼고 있지 않고 실질적으로 영위하는 업무내용 등도 고려하여 교육세의 과세표준에 포함되는 수익금액의 범위를 규정한 것으로 보이는 점, 은행법 제3조의 금융기관이 신용카드업을 겸영하기 위해서는 여신전문금융업법에 의한 별도의 허가를 받아야 하므로, 甲 은행 등은 은행업을 영위하는 은행으로서의 지위와 별도로 신용카드업을 영위하는 신용카드업자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하는 점, 신용카드업자의 수익금액은 원래 교육세의 과세대상이 아님에도 은행이 신용카드업자를 흡수·합병하여 신용카드업을 겸영하게 되었다는 이유로 신용카드업에서 생긴 은행의 수익금액에 대하여 교육세를 과세하는 것은 불합리한 점 등을 종합하여, 甲 은행 등의 수익금액 중 신용카드업에서 발생한 부분은 교육세의 과세표준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본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은행법 제3조, 여신전문금융업법 제2조 제2호, 구 교육세법(2010. 12. 27. 법률 제1040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3항, 구 교육세법 시행령(2007. 2. 28. 대통령령 제1989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제1항,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한국외환은행 외 2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율촌 담당변호사 소순무 외 4인) 【피고, 상고인】 남대문세무서장 외 1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케이씨엘 담당변호사 유지담 외 3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0. 4. 16. 선고 2009누21095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들이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경과한 후에 제출된 상고이유보충서의 기재는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내에서)를 판단한다. 원심은 제1심판결 이유를 인용하여, 은행법 제3조의 규정에 의한 금융기관으로서 교육세 납세의무자인 원고들이 교육세 납세의무가 없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제2조 제2호의 규정에 의하여 신용카드업을 영위하는 신용카드회사들을 흡수합병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① 교육세의 과세표준을 정한 구 교육세법(2010. 12. 27. 법률 제1040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제3항, 구 교육세법 시행령(2007. 2. 28. 대통령령 제1989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조 제1항, 제2항 등은 금융·보험업자의 모든 수익금액을 교육세의 과세표준으로 삼고 있지 않고 실질적으로 영위하는 업무내용 등도 고려하여 교육세의 과세표준에 포함되는 수익금액의 범위를 규정한 것으로 보이는 점, ② 은행법 제3조의 규정에 의한 금융기관이 신용카드업을 겸영하기 위해서는 여신전문금융업법에 의한 별도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원고들은 은행업을 영위하는 은행으로서의 지위와 별도로 신용카드업을 영위하는 신용카드업자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보아야 하는 점, ③ 신용카드업자의 수익금액은 원래 교육세의 과세대상이 아님에도 은행이 신용카드업자를 흡수·합병하여 신용카드업을 겸영하게 되었다는 이유로 신용카드업에서 생긴 은행의 수익금액에 대하여 교육세를 과세하는 것은 불합리한 점 등을 종합하여 보면, 원고들의 수익금액 중 신용카드업에서 발생한 부분은 교육세의 과세표준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관련 법령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조세법률주의나 실질과세의 원칙 등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이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영철(재판장) 이상훈 김용덕(주심) 김소영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은행의 지분법평가이익과 대출채권매각이익은 교육세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금융기관이 투자한 주식의 가치 상승으로 얻은 이익(지분법 평가이익)과 대손충당금을 과다하게 설정했다가 나중에 돌려받는 이익(대손충당금 환입으로 인한 대출채권매각이익)은 '내부이익'에 해당되어 교육세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교육세#지분법 평가이익#대손충당금 환입이익#내부이익

세무판례

변액보험 특별계정 수익, 교육세 과세 대상 맞아요!

변액보험 특별계정에 들어오는 보험료와 그 운용수익은 보험회사의 교육세 과세 대상에 포함된다.

#변액보험#특별계정#수익금#교육세

생활법률

신용카드, 알고 쓰면 더 쏠쏠해요! 똑똑한 신용카드 활용법 A to Z

신용카드 발급, 납부, 소득공제 등 사용 전반에 걸친 법률 및 규정(여신전문금융업법, 국세/지방세징수법, 도로교통법, 할부거래법, 조세특례제한법 등) 안내를 통해 알뜰하고 안전한 신용카드 사용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신용카드#사용 가이드#여신전문금융업법#국세납부

일반행정판례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담합, 과징금폭탄? 과도한 과징금은 안돼요!

여러 카드사가 함께 가맹점 수수료율을 정한 것이 부당한 공동행위(담합)라는 것은 인정되지만, 공정거래위원회가 부과한 과징금이 지나치게 많아 재량권을 남용했다는 판결.

#신용카드#가맹점수수료#담합#과징금

세무판례

카드사 합병과 대손충당금 설정: 세금 줄이기? 꼼수? 아닙니다!

여신전문금융회사가 합병될 때, 피합병회사가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지 않아도, 합병회사가 나중에 설정해서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이는 회계상,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여신전문금융회사#합병#대손충당금#세금

형사판례

위조 신용카드를 이용한 거래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일까?

진짜 신용카드가 아닌 위조 신용카드를 이용한 거래는 '신용카드 불법 자금융통'으로 처벌할 수 없다.

#위조 신용카드#자금융통#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무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