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범위확인(상)

사건번호:

2010후982

선고일자:

2010072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특허

사건종류코드:

400106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표등록이 무효가 된 경우, 그에 대한 권리범위확인심판을 청구할 이익은 물론 그 심결의 취소를 구할 소의 이익도 소멸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상표법 제71조 제3항, 제75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8. 12. 11. 선고 2006후3434, 3441(병합), 3458(병합), 3465(병합) 판결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특허법원 2010. 3. 5. 선고 2009허8300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이 사건 소를 각하한다. 소송총비용은 각자가 부담한다. 【이 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상표권의 권리범위확인에 관한 청구는 현존하는 상표권의 범위를 확정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상표등록이 무효로 되었다면 그에 대한 권리범위확인심판을 청구할 이익은 물론 그 심결의 취소를 구할 소의 이익도 소멸된다[ 대법원 2008. 12. 11. 선고 2006후3434, 2006후3441(병합), 2006후3458(병합), 2006후3465(병합)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등록상표(등록번호 제729819호)는 이 사건 소가 상고심에 계속 중 그 등록이 무효로 확정되었으므로, 이 사건 상표권은 처음부터 없었던 것으로 되었고, 따라서 이 사건 심판의 심결은 결과적으로 존속하지 않는 상표권을 대상으로 판단한 셈이 되어 위법한 것이라 하겠으나, 한편 이 사건 상표권이 소멸된 결과 이 사건 심판의 심결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도 없어졌다고 할 것이어서 이 사건 소 자체가 부적법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이 법원이 직접 재판하기로 하여 이 사건 소를 각하하며, 소송총비용은 각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차한성 신영철(주심)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특허권 소멸 후 권리범위확인 심판 청구는 무의미하다!

특허권이 소멸된 후에는 그 특허권의 범위를 확인해달라고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특허권 소멸#권리범위확인소송#실익 상실#소각하

특허판례

상표등록취소 소송 중 상표등록 무효 확정 시 소송은 어떻게 될까요?

이미 무효가 확정된 상표에 대해서는 취소소송을 진행할 실익이 없으므로 소송은 각하된다.

#상표등록취소#상표등록무효#소송각하#실익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등록취소 심판 중에도 권리범위 확인 가능할까?

상표등록이 취소되더라도, 취소 확정 이전에는 상표권이 존재했으므로 그 기간 동안의 권리범위 확인을 구할 소의 이익이 인정된다.

#상표등록취소심판#권리범위확인심판#소의이익#상표권 존속

특허판례

특허권 소멸 후 권리범위 확인, 의미 없다!

특허권이 소멸된 후에는 그 권리 범위를 확인해달라고 요청할 실익이 없으므로, 관련 소송은 각하된다.

#특허권 소멸#권리범위확인심판#소각하

형사판례

상표권 침해? 등록 무효되면 처음부터 없었던 일?!

원래 상표권이 무효인 경우, 설령 그 전에 누군가가 그 상표를 사용했더라도 상표권 침해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상표등록무효#상표권침해#무죄#소급효

특허판례

상표권 존속기간 갱신과 상표 등록 무효

이미 등록된 상표의 존속기간 갱신등록이 나중에 무효가 된 경우, 해당 상표는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취급됩니다. 따라서 나중에 출원된 상표가 그 무효가 된 상표와 유사하더라도 '선출원에 의한 타인의 등록상표'에 해당하지 않아 무효가 되지 않습니다.

#존속기간갱신등록무효#선출원상표#상표권#소급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