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무 부존재 확인

사건번호:

2011그65

선고일자:

20110714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본소 피고가 항소 후 지방법원 합의부의 관할에 속하는 반소를 제기하면서 이송신청을 하였는데, 원심이 민사소송법 제34조, 제35조를 들어 이송결정을 한 사안에서, 본소에 대하여 제1심법원의 토지관할 및 변론관할이 인정되어 위 소송의 항소심은 제1심법원의 항소사건을 담당하는 원심법원의 관할에 속하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지방법원 단독판사의 판결에 대한 항소사건을 제2심으로 심판하는 도중에 지방법원 합의부의 관할에 속하는 반소가 제기되었더라도 이미 정하여진 항소심 관할에는 영향이 없고, 민사소송법 제35조는 전속관할인 심급관할에는 적용되지 않아 손해나 지연을 피하기 위한 이송의 여지도 없다는 이유로 원심결정을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사소송법 제18조, 제30조, 제34조, 제35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2. 5. 12. 선고 92다2066 판결(공1992, 1846)

판례내용

【특별항고인】 【원심결정】 의정부지법 2011. 2. 11.자 2010나13283, 2011나956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의정부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재항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이 사건은 비록 특별항고사건으로 접수되었지만 항고법원의 이송결정에 대한 불복이므로 민사소송법 제39조, 제442조에 따라 이를 재항고사건으로 보고 판단하기로 한다). 기록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의 피고들 중 1인인 신청외인이 항소 후 원고인 재항고인을 상대로 지방법원 합의부의 사물관할에 속하는 금액의 위자료 등의 지급을 구하는 반소를 제기하면서 서울고등법원으로의 이송신청을 하자 위 사건이 자신의 관할에 속하지 않는다면서 민사소송법 제34조, 제35조를 들어 위 사건을 인천지방법원 민사항소부로 이송하는 내용의 이 사건 결정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사건은 그 본소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과 관련한 채무부존재확인소송으로서 제1심법원은 민사소송법 제18조에 따라 불법행위지에 근거한 토지관할이 인정될 뿐만 아니라, 기록에 의하면 피고가 제1심법원에서 관할 위반의 항변을 하지 않고 본안에 관하여 변론하였음을 알 수 있어 민사소송법 제30조에 따른 변론관할도 인정되고, 또한 심급관할은 제1심법원의 존재에 따라 그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전속관할이어서 이 사건 소송의 항소심은 제1심법원의 항소사건을 담당하는 원심법원의 관할에 당연히 속하며, 지방법원 합의부가 지방법원 단독판사의 판결에 대한 항소사건을 제2심으로 심판하는 도중에 지방법원 합의부의 관할에 속하는 반소가 제기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미 정하여진 항소심의 관할에는 영향이 없다( 대법원 1992. 5. 12. 선고 92다2066 판결 참조). 따라서 이 사건 소송의 항소심은 원심법원의 관할에 속할 뿐만 아니라, 원심이 이유에서 함께 들고 있는 민사소송법 제35조는 전속관할인 심급관할에는 적용되지 않아 손해나 지연을 피하기 위한 이송의 여지도 없으므로 원심의 이 사건 결정은 어느 모로 보나 위법하다.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안대희(재판장) 김능환 민일영 이인복(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법원 관할에 대한 이의 제기, 어떻게 해야 할까요?

법원이 잘못된 곳에서 재판한다고 이전해달라고 신청했는데, 법원이 거부한 결정에 불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판결입니다. 대법원 다수의견은 법원이 재판 장소를 정하는 것은 직권이므로 이에 대한 이송 신청은 법원의 직권 발동을 촉구하는 의미일 뿐이고, 거부 결정에 불복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반면 소수의견은 피고인에게도 관할 법원에서 재판받을 권리가 있으며, 이송 신청 거부 결정에 불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관할위반#이송신청#기각#재항고

민사판례

법원이 잘못된 곳에서 재판을 한다면? 이송신청과 특별항고 이야기

법원이 관할을 잘못 정한 경우, 당사자가 이송을 신청할 수 있지만, 이는 법원의 직권으로 판단할 사항이므로 이송신청 기각 결정에 불복하는 특별항고는 할 수 없습니다.

#관할위반#이송신청#기각#특별항고

민사판례

법원, 항소 후에는 1심 이송신청 각하결정에 대한 다툼 이익 없다고 판단

1심 판결이 나오고 항소심에 들어간 후에는, 1심 법원의 이송(사건을 다른 법원으로 옮기는 것) 거부 결정에 대해 더 이상 다툴 필요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1심 판결#항소심#이송#관할

민사판례

법원 관할, 내 마음대로 정할 수 없어요!

재판을 진행할 법원을 잘못 정했을 때, 소송 당사자가 직접 법원에 이송을 신청할 권리는 없고, 법원이 스스로 판단하여 이송해야 한다. 또한, 이송 결정에 대한 항고(이의제기)는 가능하지만, 항고심의 결정에 대해서는 재항고(다시 이의제기)할 수 없다.

#관할위반#이송신청권#즉시항고#재항고

민사판례

항소심에서 1심 판결 취소 후 바로 판결? 환송 안 해도 되나요?

항소심에서 제1심 판결을 취소하더라도, 무조건 1심 법원으로 사건을 돌려보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항소심#제1심판결취소#환송#심급제도

민사판례

특허권 등 지식재산권 침해 소송, 항소심은 어디로 가야 할까요?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 상표, 품종보호권 등 지식재산권 침해 소송은 1심 판결 후 항소하면 무조건 특허법원에서 재판받아야 합니다. 1심을 지방법원 단독판사가 담당했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지식재산권#침해소송#항소#특허법원